대형어류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형어류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어류의정의
2.어류의특징
3.어류의진화
4경골어류
5.녹새치설명과그림
6.돛새치설명과그림
7.황새치설명과그림
8.붉평치 9.날개다랑어 10.개복치 11.투라치 12.철갑상

본문내용

속기관과 몸통과 연결되는 부위)의 끝부분보다 더 뒤쪽에 있다. 꼬리지느러미는 초승달 모양을 하고 있다. 몸빛깔은 등쪽이 금속 광택의 어두운 푸른색, 배쪽과 옆구리는 흰색이다. 옆구리를 따라 무지개빛의 띠가 있다. 제1등지느러미는 선명한 노란색을 띠며, 제2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는 연한 노란색을 띤다. 뒷지느러미 뒤쪽의 토막지느러미는 어둡고, 꼬리지느러미 뒷가장자리는 희다. 표층 근처부터 중층(일반적으로 380m, 최대 600m까지 내려감)에 주로 서식하나, 수온 15.6∼19.4℃의 표층에서 가장 많이 서식한다. 수심이 깊은 곳에서 살고 있는 큰 개체는 13.5∼25.2℃에서 많이 산다. 대서양의 경우 큰 개체는 냉수역에, 작은 개체는 열대 해역에 많이 서식한다. 태평양과 대서양에서는 북반구와 남반구의 두 계군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다른 다랑어류와 군집을 이루어 이동을 하기도 한다. 미성숙한 어류의 성비(性比)는 1:1 정도이나, 성숙한 개체는 수컷이 많다. 태평양·대서양·인도양의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한다
10. 개복치
겉으로 보기에는 개복치는 다른 물고기와 달리 꼬리가 없으며, 둥그런 몸통이 이를 대신하고 있다. 수직으로는 아주 평평하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가 아주 길기 때문에 3.2미터나 되는 개체가 발견된 적도 있다. 몸길이는 대게 1.8미터 정도이며, 무게는 1,000킬로그램이다. 하지만 몸길이가 3.3미터,지느러미 길이가 4.2미터 정도이며, 2.3톤이나 나가는 개체가 채집된 바 있다. 개복치의 척추골은 다른 어류에 비해 적은 편이며 또한 짧기도 하다. 예를 들어 2.1미터 정도 길이 개체의 척수는 고작 2.5센티미터밖에 되지 않는다. 개복치는 경골어류이지만, 뼈가 대개 연골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른 물고기에 비해 몸집이 비정상적으로 커질 수 있다.개복치는 부레가 없다. 또한 개복치의 내장에서 복어목에서 발견되는 신경독이 발견된다는 말도 있고, 그렇지 않다는 말도 있다.
11. 투라치
이악어목 투라치과 어종으로 동해남부에서 많이 목격된다. 체형은 마치 갈치처럼 길고 측편돼 있으며, 입이 접이식으로 돼 있어 주둥이를 뻗느냐 오무리느냐에 따라 머리 모양이 크게 달라진다. 입 크기는 머리에 비해 작으며, 아래턱 안쪽에는 송곳 모양으로 된 이빨이 줄지어 나 있다. 일반적으로 눈이 퇴화된 심해어와는 달리 몸에 비해 눈이 크다는 점도 특징이다. 매우 희귀한 어종이라 생태나 습성에 관해 밝혀진 내용이 거의 없다. 다만 심해어임에도 연안에서 간혹 목격되는 이유로는 산란과 관련이 있다는 설과 수명을 다하거나 병든 개체가 조류에 떠밀려 온것이란 의견이 있다.
12. 철갑상어
철갑상어(鐵甲-)는 철갑상어과에 속하는 26종을 통칭할 때 쓰인다. 철갑상어 (Acipenser sinensis)만을 가리키는 명칭이 되기도 한다. 이름과는 달리 상어와는 전혀 관련이 없는 조기어강에 속한다.
경골어류 중에서 가장 오랫동안 존재했으며 아열대, 온대, 아한대 지역의 강및 호수, 그리고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의 해안선에 서식한다. 이들은 전반적으로 길쭉한 몸을 지니고 있고 비늘이 없으며 몸길이는 대개 2 ~ 3.5 m이다. 대부분 철갑상어는 저면에서 먹이를 찾으며 산란은 상류에 하면서 먹이는 삼각주와 해안에서 찾는 것이 특징이다. 어떠한 종은 오로지 민물에만 서식하며, 해안선 더 멀리 나가는 것은 드물다.
많은 철갑상어는 캐비아를 위해 채취된다. 느린 성장률은 이들을 남획에 취약하게 만드며, 수질오염과 서식지 상실 또한 철갑상어의 생존에 영향을 미친다. 많은 철갑상어종이 멸종위협을 받는 종이거나 위기에 놓여 있으며, 어떠한 종은 심각한 멸종위기종이기도 하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7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