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목차
내용이 많아 생략하겠습니다 ㅠ
본문내용
한 설명(describe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2) 사후 검사 자료 요약(summarize posttest data)
(3) 태도 설문지 조사 자료 요약(summarize attitude survey data)
2) 소집단 과 현장실험 자료 분석 (Revising Small Group and field trials)
(1) 검사 : 사전, 학습증진, 사후검사 자료 분석
-
-
- 분석표(analysis tables)
성취도 그래프(performance graphs)
교수 분석 차트(instructional analysis charts)
(2) 태도 자료 요약(summarize attitude data)
-
- 빈도수 계산(frequency counts)
논평 기록(comment notation)
(3) 학습과 검사 소요 시간 기록 (document learning and testing time)
- 관찰 도표(observational charts)
(4) 형성 평가 동안 작성된 논평 기록
(document comments made during the evaluation)
- 관찰 도표(observational charts)
3) 자료 요약(Data summaries)
(1) 교수 자료 각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논평
(learner's remarks as part of the materials)
-
-
- 검사에 나타난 성취도(performance on the tests)
태도 설문지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attitude questionnaire)
토론 시간에 얻어진 논평 (comments during the debriefing sessions)
4) 수정 전략(Revision Strategy)
(1) 요약된 자료 점검(examine summarized data)
®
®
®
® 교수 자료 각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논평 (learner's remarks as part of the materials)
검사에 나타난 성취도(performance on the tests)
태도 설문지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attitude questionnaire)
토론 시간에 얻어진 논평 (comments during the debriefing sessions)
(2) 목표, 검사문항, 교수 전략 점검(examine objectives, test item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3) 실행 절차 와 실행 방향 점검 (check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directions)
(4) 교수 자료 수정 도표 작성 (develop a materials revision chart)
(5) 교수 자료 수정(revise materials)
10. 총괄 평가 설계 및 실시 (Design and Conduct Summative Evaluation)
1) 총괄 평가 (Summative Evaluation)
대상 학습자에게 교수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검증할 평가 연구의 설계와
자료 수집
-
- 전문가 판단 (Expert Judgment)
현장 평가 (Field Trial)
(1) 전문가 판단
-
-
-
-
- 현재 사용중인 교수 프로그램이나 채택 후보에 오른 교수 프로그램이 기관의 요구를 충족시킬 잠재력이 있는지를 결정(Determine if the current or potential instruction will meet the organizations needs.)
기관의 요구와 교수 프로그램간의 일치도 평가- 적합성 분석 (Congruence Analysis)
교수 프로그램의 완벽성과 정확성 평가 -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교수 프로그램에 포함된 교수 전략 분석 - 설계 분석(Design Analysis)
교수 프로그램의 유용성 평가 -실행 가능성 분석(Feasibility Analysis)
(2) 현장 평가
-
- 의도한 수업장면에서 교수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증명 (Docu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s with the target audience.)
계획 수립
*
* 현장 평가의 설계 : 요구 분석, 교수 프로그램의 종류, 경쟁 교수 프로그램의 존재 유무 확인
평가 중에 실시할 질문지 작성 :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 목표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 성취도 검사, 태도검사
- 준비
* 평가 실시를 교수 프로그램, 도구, 자원 및 인원확보
- 실행 및 자료 수집
* 교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계획된 모든 유형의 평가 자료 수집
°성취도 측정
°관찰
°면접
°질문지 결과
- 자료 요약과 분석
*
*
* 문항별 목표 도달표를 작성하고 개인과 집단별로 학습자들의 성취도 요약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비교 및 개인과 집단의 성취 상황 비교표 작성
자료 분석동안 비효과적인 영역과 취약한 부분에 대한 이유기록
교수 프로그램의 장 단점 분석
- 결과 보고
* 각 단계에 대한 일반적인 목적, 구체적인 질문, 설계 절차, 결과, 최종 추천 내용과 추천 근거 설명
2)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의 비교
분류 형성평가 총괄평가
목적 교수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하여 교수 프로그램의 단점 발견 현행 교수 프로그램을 계속 사용 할 것인지 새로운 교수 프로그램을 채택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교수 프로그램의 장, 단점 확인
단계 -일대일
-소집단
-현장 평가 -전문가 판단
-현장 평가
교수 프로그램
개발 과정 체제적으로 설계되고 기관의 요구에 맞춤 체제적 접근을 반드시 따르지는 않음
실시 대상 한 종류의 교수 프로그램 한 종류나 여러 종류의 경쟁 교수프로그램
평가자의 지위 설계와 개발팀의 구성원 외부 평가자
결과 교수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한 처방전과 수정된 교수 프로그램 설계, 절차, 결과, 추천 및, 그 이유를 입증하는 보고서
태그저장 취소 이 포스트를..
덧글 20개 엮인글 쓰기 공감 http://blog.naver.com/prosunny/40011104298
(2) 사후 검사 자료 요약(summarize posttest data)
(3) 태도 설문지 조사 자료 요약(summarize attitude survey data)
2) 소집단 과 현장실험 자료 분석 (Revising Small Group and field trials)
(1) 검사 : 사전, 학습증진, 사후검사 자료 분석
-
-
- 분석표(analysis tables)
성취도 그래프(performance graphs)
교수 분석 차트(instructional analysis charts)
(2) 태도 자료 요약(summarize attitude data)
-
- 빈도수 계산(frequency counts)
논평 기록(comment notation)
(3) 학습과 검사 소요 시간 기록 (document learning and testing time)
- 관찰 도표(observational charts)
(4) 형성 평가 동안 작성된 논평 기록
(document comments made during the evaluation)
- 관찰 도표(observational charts)
3) 자료 요약(Data summaries)
(1) 교수 자료 각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논평
(learner's remarks as part of the materials)
-
-
- 검사에 나타난 성취도(performance on the tests)
태도 설문지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attitude questionnaire)
토론 시간에 얻어진 논평 (comments during the debriefing sessions)
4) 수정 전략(Revision Strategy)
(1) 요약된 자료 점검(examine summarized data)
®
®
®
® 교수 자료 각 부분에 대한 학습자의 논평 (learner's remarks as part of the materials)
검사에 나타난 성취도(performance on the tests)
태도 설문지에 대한 반응 (responses to attitude questionnaire)
토론 시간에 얻어진 논평 (comments during the debriefing sessions)
(2) 목표, 검사문항, 교수 전략 점검(examine objectives, test item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3) 실행 절차 와 실행 방향 점검 (check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directions)
(4) 교수 자료 수정 도표 작성 (develop a materials revision chart)
(5) 교수 자료 수정(revise materials)
10. 총괄 평가 설계 및 실시 (Design and Conduct Summative Evaluation)
1) 총괄 평가 (Summative Evaluation)
대상 학습자에게 교수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검증할 평가 연구의 설계와
자료 수집
-
- 전문가 판단 (Expert Judgment)
현장 평가 (Field Trial)
(1) 전문가 판단
-
-
-
-
- 현재 사용중인 교수 프로그램이나 채택 후보에 오른 교수 프로그램이 기관의 요구를 충족시킬 잠재력이 있는지를 결정(Determine if the current or potential instruction will meet the organizations needs.)
기관의 요구와 교수 프로그램간의 일치도 평가- 적합성 분석 (Congruence Analysis)
교수 프로그램의 완벽성과 정확성 평가 - 내용 분석(Content Analysis)
교수 프로그램에 포함된 교수 전략 분석 - 설계 분석(Design Analysis)
교수 프로그램의 유용성 평가 -실행 가능성 분석(Feasibility Analysis)
(2) 현장 평가
-
- 의도한 수업장면에서 교수 프로그램의 효율성을 증명 (Document the effectiveness of the materials with the target audience.)
계획 수립
*
* 현장 평가의 설계 : 요구 분석, 교수 프로그램의 종류, 경쟁 교수 프로그램의 존재 유무 확인
평가 중에 실시할 질문지 작성 : 학습자의 출발점 행동, 목표에 대한 사전 및, 사후 검사, 성취도 검사, 태도검사
- 준비
* 평가 실시를 교수 프로그램, 도구, 자원 및 인원확보
- 실행 및 자료 수집
* 교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계획된 모든 유형의 평가 자료 수집
°성취도 측정
°관찰
°면접
°질문지 결과
- 자료 요약과 분석
*
*
* 문항별 목표 도달표를 작성하고 개인과 집단별로 학습자들의 성취도 요약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비교 및 개인과 집단의 성취 상황 비교표 작성
자료 분석동안 비효과적인 영역과 취약한 부분에 대한 이유기록
교수 프로그램의 장 단점 분석
- 결과 보고
* 각 단계에 대한 일반적인 목적, 구체적인 질문, 설계 절차, 결과, 최종 추천 내용과 추천 근거 설명
2)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의 비교
분류 형성평가 총괄평가
목적 교수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하여 교수 프로그램의 단점 발견 현행 교수 프로그램을 계속 사용 할 것인지 새로운 교수 프로그램을 채택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교수 프로그램의 장, 단점 확인
단계 -일대일
-소집단
-현장 평가 -전문가 판단
-현장 평가
교수 프로그램
개발 과정 체제적으로 설계되고 기관의 요구에 맞춤 체제적 접근을 반드시 따르지는 않음
실시 대상 한 종류의 교수 프로그램 한 종류나 여러 종류의 경쟁 교수프로그램
평가자의 지위 설계와 개발팀의 구성원 외부 평가자
결과 교수 프로그램을 수정하기 위한 처방전과 수정된 교수 프로그램 설계, 절차, 결과, 추천 및, 그 이유를 입증하는 보고서
태그저장 취소 이 포스트를..
덧글 20개 엮인글 쓰기 공감 http://blog.naver.com/prosunny/40011104298
추천자료
태도변용과정의 고찰 및 정교화 가능성 모델 연구
병동에서의 간호과정 전산화모델의 필요성 및 구축방향
보육모델과 보육과정을 요약
역량강화모델개입목표와 과정
보육모델과 보육과정을 요약
보육모델과 보육과정
보육모델과 보육과정을 요약
심리사회모델(기본개념, 기본가정, 개입목표, 개입과정, 진단, 개입단계, 개입기법) 파워포인...
사회복지실천과 행동수정모델 보고서 (개요와 기본개념, 개입목표와 과정, 개입기법)
인지행동모델(등장배경, 기본이론,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입기법) 요약보고서
행동수정모델의 개요 (기본개념,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입기법, 활용및평가) 정리 보고서
과제중심모델(등장배경, 특징, 기본전제, 개입목표와 과정, 개입기법) PPT 파워포인트
심리사회모델의 개입과정(초기단계, 사정단계, 개입단계, 종결단계)에 따라 클라이언트 및 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