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성(attribute)의 정의, 검증 및 확정과 다양한 유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속성(attribute)의 정의, 검증 및 확정과 다양한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속성(Attribute)의 정의
1) 속성(Attribute)의 개념 정립
2) 속성(Attribute)의 개요

2. 속성(Attribute)의 검증 및 확정

3. 속성(Attribute)의 유형
1) 제1자식(primary child) 속성
2) 가상(pseudo) 속성
3) 제거(drop) 속성
4) 추가(additional) 속성
5) 관계(relation) 속성의 표현

본문내용

뜻이 얼마간은 포함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므로 아직은 '확정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속성들을 표시하기 위해서도 활용할 수가 있다.
5) 관계(relation) 속성의 표현
'관계 속성'은 원래의 모습은 속성이 아니라 릴레이션쉽이기 때문에 당연히 선분 형태로 표현하는 것이 옳겠지만 굳이 선분으로 표시하지 않더라도 어느 엔터티에서 온 릴레이션쉽이란 것이 너무나 분명하다면 그림이 너무 복잡해지지 않도록 속성으로 표시하는 방법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속성 형태로 표현된 릴레이션쉽들을 '관계 속성'이라고 부른다.
우리가 표현하는 릴레이션쉽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에 부모의 식별자가 상속되어 나의 컬럼(외부키)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릴레이션쉽은 나중에 가서는 결국 컬럼이 되지만 모델링 단계에서는 일종의 논리적 속성이기 때문에 미리 부모의 식별자를 상속해 둘 필요가 없다. 이 말을 다른 의미로 해석한다면 다른 엔터티의 식별자를 내 속성으로 하고자 한다면 언제나 릴레이션쉽으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기도 하다.
실전에서는 코드와 명칭만을 속성으로 가지는 엔터티들이 너무 많아져서 난잡하게 관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대부분의 코드들을 통합한 엔터티를 가져가는 경우가 많이 있다. 사실 어떤 엔터티를 살펴보더라도 최소한 한두 개 이상의 코드를 가지지 않는 경우는 별로 없다. 이러한 경우에 하나로 통합된 이 엔터티와 일일이 관계 선분을 그린다면 그림이 너무 복잡해지게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관계 속성으로 표현한다면 매우 단순해진 그림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