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0개의 흰 육각형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는 이 디자인은 탱고와 함께 대표적인 형태의 축구공 디자인이다.
1974년 제 10회 서독월드컵
1974년에는 두개의 공이 피파에 인정을 받아 공인구로 사용되어 진다.
하나는 70년에 사용한 텔스타와 또 다른 하나는 칠레라는 공을 사용하게된다.
칠레는 텔스타와 디자인만 달랐는데 모든 조각들이 흰색이었다.
1978년 제 11회 아르헨티나 월드컵
공인구 이름 :탱고(Tango)
아르헨티나가 개최한 1978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이 때부터 월드컵 공인구는 1998년 FIFA 월드컵 공인구인 트리콜로까지 탱고형 디자인을 유지했다.
이 디자인은 텔스타와 함께 대표적인 축구공 디자인이다.
1982년 제 12회 스페인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탱고 에스파냐(Tango Espana)
스페인이 개최한 1982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탱고에 에스파냐를 붙여서 스페인을 알리는 역활을 하기도 했다.
월드컵 공인구로는 최초로 방수 가죽을 사용했으며, 가죽으로만 만든 이전까지의 공인구와는 달리 가죽과 폴리우레탄을 섞어서 만들었다.
이유는 가죽은 물이 묻으면 무거워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방수가죽과 폴리우레탄을 섞어 넣어 반발력을 키웠습니다.
1986년 제 13회 멕시코 월드컵
공인구 이름 : 아즈테카(Azteca)
멕시코가 개최한 198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아즈테카는 멕시코 중앙고원에 발달한 아메리카 인디언 문명인 아스텍 문명의 벽화 문양을 형상화한 아즈테카 경기장의 이름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월드컵 공인구로는 최초로 인조 합성 가죽 으로 만들었다.
1990년 제 14회 이탈리아 월드컵
공인구 이름 : 에트루스코 유니코(Etrusco Unico)
이탈리아가 개최한 1990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에트루스코는 이탈리아 중부에 있는 거대한 성문의 이름이다.
이 공인구는 이후 스웨덴에서 열린 1992년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에서도 사용되었다.
1986년 대회의 공인구인 아즈테카와 마찬가지로 인조 합성 가죽으로 만든 공인구이다.
기능적인 차이는 거의 없으며, 디자인만 약간 변화되었다.
1994년 제 15회 미국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퀘스트라(Questra
미국이 개최한 1994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공의 표면이 기포가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이전의 공인구보다 반발력과 탄력이 월등히 향상되었다고 밝혔으며, 이 기포강화 플라스틱(Syntactic Foam) 기술은 조금씩 개량되어 2002년 FIFA 월드컵 공인구인 피버노바까지 사용되었다.
1998년 제 16회 프랑스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트리콜로(Tricolore)
프랑스가 개최한 1998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트리콜로는 '세가지 색깔'을 뜻한다.
월드컵 공인구로는 최초로 컬러로 디자인을 하였으며, 또한 마지막 탱고 디자인의 월드컵 공인구이기도 하다.
2002년 제 17회 한국/일본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피버노바(Fevernova)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이 공인구는 너무 가볍다는 비판을 많이 받았다.
아디다스 측의 언론 공개 자료에 의하면, 피버노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아디다스의 피버노바는 1978년 이후 전통적인 탱고 디자인에서 탈피한 최초의 월드컵 공인구이다. 화려하고 혁명적인 외관과 색채는 전적으로 아시아권의 문화에 기반한 것이다. 피버노바의 특징은 공의 성능을 높여 주는 기포강화 플라스틱과, 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언제나 예측하기 쉽게 해 주는 세 겹의 포대 구조를 삽입하였다."
2006년 제 18회 독일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팀가이스트(독일어: Teamgeist)는 독일이 개최한 200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팀가이스트는 독일어로 '팀 정신'이라는 의미이다.
20개의 정육각형과 12개의 정오각형으로 이루어진 이전까지의 월드컵 공인구와는 달리 8개의 정육각형과 6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깎은 정팔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게 만들어진 이유로는 가죽의 수를 줄임으로서 구에 좀 더 가까운 모양을 만드려고 했기 때문이다.
이전까지의 공인구와는 달리 가죽 간의 접합도 바느질로 하지 않고 열접착 방식을 이용했다.
2010년 제 19회 남아공 월드컵
공인구 이름 : 자불라니(Jabulani)
남아공에서 개최될 예정인 2010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자불라니는 남아공 공식언어인 줄루어로 '축제를 위하여'라는 의미이다.
'자불라니’는 3차원으로 곡선 형태로 된 가죽조간 8개를 붙여 만들어 이전 공인구에 비해 가장 원형에 가깝게 만들어졌으며 미세한 특수 돌기를 공 표면에 배치, 미끄러짐을 방지해 골키퍼가 이전보다 더욱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공이 날아가는 궤적의 안정성을 높여 정확한 슈팅이 가능하며 완벽한 방수성을 자랑, 비가 오는 등의 나쁜 날씨 조건에서도 선수들이 편안하게 경기를 치를 수 있도록 했다.
이 밖에 축구 선수 인원인 11명과 남아공의 11개 공식 언어 및 11개 민족, FIFA의 11번째 공인구를 뜻하는 11개의 색깔을 공에 그려 넣어 디자인 측면도 고려했다.
공인구의 승인요건
정확한 크기를 위해 10군데의 각기 다른 지점에서 공의 둘레를 측정하여 68.5~69.5cm를 유지하여야 하며, 16개의 지점에서 각각의 지름을 측정하여 가장 큰 수치와 가장 작은 값의 차이가 1.5%이내여야 한다.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의 무게에 있어서는 모든 공이 420~445g의 범위로 만들어져야 하며, 공이 물에 완전히 노출된 상황에서도 수분 흡수로 인해 증가된 무게가 10%이내가 되도록 방수능력이 있어야 한다.
내구성과 일정한 반발력을 갖추기 위해서 시속 50km로 2000번 충돌시킨 후 형태와 성능이 유지되어야 하며, 2m 높이에서 철판에 10번 떨어뜨려서 가장 높게 튄 지점과 가장 낮게 튄 지점의 높이 차이가 10cm 이내여야 한다.
1974년 제 10회 서독월드컵
1974년에는 두개의 공이 피파에 인정을 받아 공인구로 사용되어 진다.
하나는 70년에 사용한 텔스타와 또 다른 하나는 칠레라는 공을 사용하게된다.
칠레는 텔스타와 디자인만 달랐는데 모든 조각들이 흰색이었다.
1978년 제 11회 아르헨티나 월드컵
공인구 이름 :탱고(Tango)
아르헨티나가 개최한 1978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이 때부터 월드컵 공인구는 1998년 FIFA 월드컵 공인구인 트리콜로까지 탱고형 디자인을 유지했다.
이 디자인은 텔스타와 함께 대표적인 축구공 디자인이다.
1982년 제 12회 스페인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탱고 에스파냐(Tango Espana)
스페인이 개최한 1982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탱고에 에스파냐를 붙여서 스페인을 알리는 역활을 하기도 했다.
월드컵 공인구로는 최초로 방수 가죽을 사용했으며, 가죽으로만 만든 이전까지의 공인구와는 달리 가죽과 폴리우레탄을 섞어서 만들었다.
이유는 가죽은 물이 묻으면 무거워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방수가죽과 폴리우레탄을 섞어 넣어 반발력을 키웠습니다.
1986년 제 13회 멕시코 월드컵
공인구 이름 : 아즈테카(Azteca)
멕시코가 개최한 198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아즈테카는 멕시코 중앙고원에 발달한 아메리카 인디언 문명인 아스텍 문명의 벽화 문양을 형상화한 아즈테카 경기장의 이름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월드컵 공인구로는 최초로 인조 합성 가죽 으로 만들었다.
1990년 제 14회 이탈리아 월드컵
공인구 이름 : 에트루스코 유니코(Etrusco Unico)
이탈리아가 개최한 1990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에트루스코는 이탈리아 중부에 있는 거대한 성문의 이름이다.
이 공인구는 이후 스웨덴에서 열린 1992년 UEFA 유럽축구선수권대회에서도 사용되었다.
1986년 대회의 공인구인 아즈테카와 마찬가지로 인조 합성 가죽으로 만든 공인구이다.
기능적인 차이는 거의 없으며, 디자인만 약간 변화되었다.
1994년 제 15회 미국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퀘스트라(Questra
미국이 개최한 1994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공의 표면이 기포가 있는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이전의 공인구보다 반발력과 탄력이 월등히 향상되었다고 밝혔으며, 이 기포강화 플라스틱(Syntactic Foam) 기술은 조금씩 개량되어 2002년 FIFA 월드컵 공인구인 피버노바까지 사용되었다.
1998년 제 16회 프랑스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트리콜로(Tricolore)
프랑스가 개최한 1998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트리콜로는 '세가지 색깔'을 뜻한다.
월드컵 공인구로는 최초로 컬러로 디자인을 하였으며, 또한 마지막 탱고 디자인의 월드컵 공인구이기도 하다.
2002년 제 17회 한국/일본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피버노바(Fevernova)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으로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이 공인구는 너무 가볍다는 비판을 많이 받았다.
아디다스 측의 언론 공개 자료에 의하면, 피버노바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서술하였다.
"아디다스의 피버노바는 1978년 이후 전통적인 탱고 디자인에서 탈피한 최초의 월드컵 공인구이다. 화려하고 혁명적인 외관과 색채는 전적으로 아시아권의 문화에 기반한 것이다. 피버노바의 특징은 공의 성능을 높여 주는 기포강화 플라스틱과, 공이 날아가는 방향을 언제나 예측하기 쉽게 해 주는 세 겹의 포대 구조를 삽입하였다."
2006년 제 18회 독일 월드컵
공인구 이름 : 팀가이스트(독일어: Teamgeist)는 독일이 개최한 2006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팀가이스트는 독일어로 '팀 정신'이라는 의미이다.
20개의 정육각형과 12개의 정오각형으로 이루어진 이전까지의 월드컵 공인구와는 달리 8개의 정육각형과 6개의 정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깎은 정팔면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렇게 만들어진 이유로는 가죽의 수를 줄임으로서 구에 좀 더 가까운 모양을 만드려고 했기 때문이다.
이전까지의 공인구와는 달리 가죽 간의 접합도 바느질로 하지 않고 열접착 방식을 이용했다.
2010년 제 19회 남아공 월드컵
공인구 이름 : 자불라니(Jabulani)
남아공에서 개최될 예정인 2010년 FIFA 월드컵의 공인구로, 아디다스가 제작하였다.
자불라니는 남아공 공식언어인 줄루어로 '축제를 위하여'라는 의미이다.
'자불라니’는 3차원으로 곡선 형태로 된 가죽조간 8개를 붙여 만들어 이전 공인구에 비해 가장 원형에 가깝게 만들어졌으며 미세한 특수 돌기를 공 표면에 배치, 미끄러짐을 방지해 골키퍼가 이전보다 더욱 쉽게 잡을 수 있도록 배려했다.
공이 날아가는 궤적의 안정성을 높여 정확한 슈팅이 가능하며 완벽한 방수성을 자랑, 비가 오는 등의 나쁜 날씨 조건에서도 선수들이 편안하게 경기를 치를 수 있도록 했다.
이 밖에 축구 선수 인원인 11명과 남아공의 11개 공식 언어 및 11개 민족, FIFA의 11번째 공인구를 뜻하는 11개의 색깔을 공에 그려 넣어 디자인 측면도 고려했다.
공인구의 승인요건
정확한 크기를 위해 10군데의 각기 다른 지점에서 공의 둘레를 측정하여 68.5~69.5cm를 유지하여야 하며, 16개의 지점에서 각각의 지름을 측정하여 가장 큰 수치와 가장 작은 값의 차이가 1.5%이내여야 한다.
경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의 무게에 있어서는 모든 공이 420~445g의 범위로 만들어져야 하며, 공이 물에 완전히 노출된 상황에서도 수분 흡수로 인해 증가된 무게가 10%이내가 되도록 방수능력이 있어야 한다.
내구성과 일정한 반발력을 갖추기 위해서 시속 50km로 2000번 충돌시킨 후 형태와 성능이 유지되어야 하며, 2m 높이에서 철판에 10번 떨어뜨려서 가장 높게 튄 지점과 가장 낮게 튄 지점의 높이 차이가 10cm 이내여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