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의 필요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들어가기
2. 세계화와 한국어, 한국어교육
3. 한국어교육 주체별 현황과 개선점 제안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책의 통일성에서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정부 기관들 사이에 가장 많이 중복되어 있는 해외 한국어 관련 교사 및 교수의 파견이 그렇고,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한국어 교사를 위한 한국어 교육능력시험은 한국어세계화재단이 맡고 있는 등의 체계적인 통합관리가 어렵다는 점이다. 결국 그럼으로써 예산 집행 등의 중복으로 낭비되는 부분도 있을 것 같다. 따라서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교육진흥원의 업무는 그 특수성으로 인해 어려움이 있겠지만 그 외의 부처에서 행하고 있는 한국어 관련의 업무를 하나의 창구에서 통일화하는 방안도 생각해볼 여지가 있다. ‘한국어세계화재단’을 그 기점으로 운영하는 방안도 좋을 듯 싶다. 그럼으로써 국내?외의 한국어 세계화의 방향 모색 및 장단기 사업, 해외 한국어 교사 파견 그리고 한국어 교사의 재교육 등 체계적인 업무 분장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4. 나오는 말
지금까지 직, 간접적인 한국어교육 관련의 국내 각 대학 그리고 정부 기관을 중심으로 한국어 세계화를 위한 현황 및 그 개선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교육 및 우수한 한국어 교사 양성을 위한 각 대학 부속기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문의 영역으로 한 단계 발전시킨 각 대학 기관, 한국어교육 현장의 경험을 체계화하고 집약화 할 수 있는 각 학술단체, 한국어의 세계화를 위한 언어정책의 수립 및 집행 그리고 한국어의 세계 보급에 앞장 선 정부기관은 한국어 세계화를 위한 중요한 주체임에 틀림없다. 앞으로 이들의 관계는 더욱 더 공고히 다져야 할 것으로 보고, 이들의 문제점 및 개선점은 앞서 제시한 것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결론 삼아. 아래와 같은 이들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논의를 끝맺고자 한다.
참고문헌
류재택. 2002.『재외동포용 한국어 교재개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연구보고 RRC 2002-20.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민현식. 2003. "국내 기관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표준교육과정의 내용 기술 방법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3차 국제학술대회.
박영순. 1997. “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육”. 한국어학회 여름 학술대회 기조 발표문.
박영순. 2001.『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론』. 도서출판 월인.
교육부 http://www.moe.go.kr/
노동부 http://www.molab.go.kr/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
외교통상부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089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