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몬산토
2. 몬산토의 자회사 - 세미니스코리아
3. 몬산토 - 죽음을 생산하는 기업
4. 몬산토 생명공학 기업으로의 변신
5. 제3세계의 농민들에게 새로운 농업질서를 강요하는 생명체에 대한 특허권과 몬산토
6. ‘탈선’을 일삼는 산업사회의 전형을 보여준 몬산토
2. 몬산토의 자회사 - 세미니스코리아
3. 몬산토 - 죽음을 생산하는 기업
4. 몬산토 생명공학 기업으로의 변신
5. 제3세계의 농민들에게 새로운 농업질서를 강요하는 생명체에 대한 특허권과 몬산토
6. ‘탈선’을 일삼는 산업사회의 전형을 보여준 몬산토
본문내용
인사이동이 있기에 가능했다. 아울러 각계각층을 전담하는 로비력과 더불어 적절한 검증 절차 없이 동료검토를 통과하는 것으로 과학잡지에 논문을 게재하고, 이를 통해 해당 보고서나 논문이 신빙성을 얻는 부적절한 관행도 이에 일조했다. 결국 몬산토의 GMO는 ‘기적’이 아닌 ‘악몽’으로 밝혀질 수밖에 없었다. 이는 자연을 소유하고 다스릴 수 있다는 인간의 오만함이 불러온 재앙이다. 《몬산토 - 죽음을 생산하는 기업》을 쓴 저자에게는 용기 있는 내부고발자들의 증언이 큰 도움이 되었다. 다이옥신에 대한 몬산토의 연구 결과에 의문을 제기했던 EPA(미국 환경보호국)의 케이트 젠킨스와 윌리엄 샌주어, 소 성장호르몬의 위험성을 경고한 FDA(미국 식품의약국) 소속 리처드 버로우와 일리노이 대학의 사무엘 엡스타인 교수, 캐나다 보건부의 시브 초프라, 소 성장호르몬을 조사한 탐사 보도를 준비하다 대본을 여든세 번 수정하고도 무기한 방송 연기 및 해고를 당한 제인 애르크와 스티브 윌슨, 유전자조작에 사용되는 유전자 대포 기술의 불명확성(대포로 유전자를 쏴 세포에 안착시키기 때문에, 단백질 발현이 균일하게 이뤄지지 않음)으로 GM 감자의 유해성을 폭로한 아르파드 푸스타이 박사 등 수많은 영웅들이 양심을 지켜낸 덕분에 몬산토의 진실이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질 수 있었다. 이제 저자는 소비자들에게 묻는다. 분명한 선택 의지를 보여줌으로써 농업의 발전 방향, 그리고 더 나아가 전 세계의 발전 방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소비자들의 힘을 보여줄 때가 되지 않았느냐고, 인류의 미래를 위해 진정 식량을 책임질 사람이 누구인지 말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