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변형식품 GMO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전자 변형식품 GMO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GMO 개념과 정의

- GMO 식품의 종류

상품화 현황

재배현황(2005)

1. 장점

2. 단점

- 빠르게 증가하는 이유

- GMO와 육종방법의 차이

- 왜 GMO같은 식품을 만드는가?

- GMO식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GMO식품은 얼마나 많이 생산되고 있는가?

- GMO식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우리나라는 GMO식품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 GMO 표시제

본문내용

국제거래를 보장하고 규제는 최소화하자』는 입장인 데 비해 개도국들은 『선진국의 신생물체 실험장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수입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며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에대해 우리나라 환경단체들은 『아직 유전자변형생물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탓에 우리사회가 이 분야에 대한 경각심조차 갖지 못하고 있다』며 『최근 환경부가 대책반을 출범시키기로 했으나 99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데다 범정부차원의 기구도 아니어서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 우리나라는 GMO식품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
우리나라는 농업생명공학에 관한 3대 기본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추진 중에 있는데 그 중 하나가 2010년까지 농업생명공학기술에 의한 벼 신품종개발 기술 수준 세계 1위로 자리매김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목표 아래 연구와 개발단계에 있는 품목은 많으나 상품화된 품목은 없다. 하지만 수입에 있어 2001년 7월 이후부터 2007년 상반기까지만 600만t이 넘는 GMO 콩을 수입하였지만, 최종제품에서 GMO성분 미 검출로 식용유, 간장, 액상과당등의 제품에 표시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 외 단지 수출품목에 대한 소비자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GMO 관리를 위한 다양한 법제를 마련해 두고 있다.
-GMO 표시제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유전자변형농산물)는 유전자를 조작하여 생산성을 강화한 농산물로, 식품에 생명공학을 응용하여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을 늘리는 이점이 있지만, 과학적으로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아 해당 농수산물에 GMO를 표시하는 제도가 생겼다. 2002년 기준으로GMO표시제는 유럽연합·한국·일본·뉴질랜드에서 실시하고 있다.한국에서 유통되는 콩·콩나물·옥수수 등은 GMO가 3% 이상 섞일 경우에는 반드시 GMO를 표시해야 한다. 콩류는 2001년 4월, 콩류 가공식품은 2001년 7월, 감자는 2002년 3월, 감자 가공품은 2002년 7월부터 의무표시제를 실시한다.농림수산식품부는 농수산물 품질관리법을 제정하여 유전자조작 농수산물의 표시근거를 마련하고, 농수산물 품질관리법 시행령에 구체적으로 표시대상품목, 표시기준 및 방법을 정하였다. 이에 따라 허위로 표시하거나 표시를 하지 않은 위반업자들은 최고 30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3년 이하의 징역형을 받게 된다(농수산물품질관리법령 35조).표시대상은 유전자조작 농수산물 중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또는 해양수산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고, 그밖의 유전자조작 농수산물에 대해서는 자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한 유전자조작 농수산물이 아닌 경우에는 유전자조작 농수산물이 아님을 자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기존의 농수산물과 구성성분, 영양가, 용도, 알레르기 반응 등의 특성이 다르다고 판명된 품목, 인간의 유전자를 식물 또는 동물에 도입한 농수산물 등 윤리적으로 문제가 제기되는 품목, 기타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이 소비자에게 올바른 구매정보 제공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품목이 표시대상이다(농수산물품질관리법시행령 26·27조).표시기준 및 방법은 첫째, GMO 농산물인 경우에는 ‘유전자변형 농산물’이라고 표시하고, GMO 농산물 등을 포함한 경우에는 ‘유전자변형 농산물 포함’이라고 표시한다. 둘째, 해당 농수산물의 포장용기의 표면 또는 판매장소 등에 최종구매자가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는 활자체로 표시하고, 식별하기 쉬운 위치에 표시하며, 쉽게 지워지거나 떨어지지 않는 방법으로 표시한다.제품의 주요 수출국인 미국은 안전에 이상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유럽에서는 동물실험결과 부작용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GMO 식품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유럽연합국가들은 1% 이상, 일본은 5% 이상이 GMO 표시기준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26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3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