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가 김진명
2. 김진명의 학창시절
3. 소설가가 되기까지
4. 주요 작품
5.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작품의 줄거리
6.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분석
7. 우리나라의 현재와의 연관성
2. 김진명의 학창시절
3. 소설가가 되기까지
4. 주요 작품
5.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작품의 줄거리
6.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분석
7. 우리나라의 현재와의 연관성
본문내용
는 나라.
지금의 우리나라 정치현실이 그때와 다를게 없을 정도로 여전히 미개하며 국민들을 좌절에 빠지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 통탄스러울 따름이다. 유독 이 정부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도 계속 우리는 조선후기부터 8.15를 거쳐 군부정권 그리고 민주정권이 넘어오도록겉으로 보여지는 미국에 대한 의존도나 태도는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나 내면에 흐르고 있는 미국에 대한 태도는 여전히 사대주의적이며 철저히 노예와 같이 감시당하고 조종당하고 있는 현실.
하지만 그래도 희망이 있는건 나같이 정치에 문외한인 사람도 이제는 뉴스나 신문의 행간을 읽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들이 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 기사 뒤에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나 처한 상황 그리고 뒤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상상할 수 있게 되었기에 우린 이전의 아둔한 국민이 아니라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는 국민임을 믿기에 희망을 꿈꿀 수 있다. 좌도 우도 아닌 오직 조국을 위해 모국을 위해 목숨까진 아니더라도 시간과 정성을 바칠 수 있는 우리 모든 국민이 되어지길 바라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이 이루고자 했던 그 나라를 차츰차츰 이뤄나가는 책 읽는 사람들이 되어지길 바란다.
지금의 우리나라 정치현실이 그때와 다를게 없을 정도로 여전히 미개하며 국민들을 좌절에 빠지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 통탄스러울 따름이다. 유독 이 정부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전에도 계속 우리는 조선후기부터 8.15를 거쳐 군부정권 그리고 민주정권이 넘어오도록겉으로 보여지는 미국에 대한 의존도나 태도는 많이 개선되었다고 하나 내면에 흐르고 있는 미국에 대한 태도는 여전히 사대주의적이며 철저히 노예와 같이 감시당하고 조종당하고 있는 현실.
하지만 그래도 희망이 있는건 나같이 정치에 문외한인 사람도 이제는 뉴스나 신문의 행간을 읽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그들이 쓴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이 기사 뒤에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나 처한 상황 그리고 뒤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을 상상할 수 있게 되었기에 우린 이전의 아둔한 국민이 아니라 변화하고 성장하고 있는 국민임을 믿기에 희망을 꿈꿀 수 있다. 좌도 우도 아닌 오직 조국을 위해 모국을 위해 목숨까진 아니더라도 시간과 정성을 바칠 수 있는 우리 모든 국민이 되어지길 바라며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라는 소설 속에서 주인공이 이루고자 했던 그 나라를 차츰차츰 이뤄나가는 책 읽는 사람들이 되어지길 바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