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발달단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발달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8세까지를 청소년으로 인식하고, 국제연합은 15세에서 24세까지를 청소년으로 규정한다.
2000년 현재 우리나라 9~24세 청소년인구는 1,148만명으로 전체 인구 4,727만명의 24.3%이다. 청소년의 성별은 남자가 596만명, 여자가 552만명으로 성비는 108.0%로 상당히 불균형적이다. 중고등학교 학령기인 13~18세 인구층은 427만명으로 법정 청소년인구의 37.2%이고, 전체 인구의 9.0%에 해당된다.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을 신체적, 성적, 인지발달, 성격과 가치관 형성, 자아정체감 형성 등으로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청소년기의 신체적 성장은 아동에서 성인의 모습으로 변화하고 남녀의 신체적 및 성적 차이가 확립된다. 키와 몸무게가 급작스럽게 증가하는 성장급등은 소녀에서는 10~11세, 소년에서는 12~13세에 일어나고, 그 후에도 지속적으로 성장하다가 20세전후가 되면 키의 성장은 거의 멈추고 몸무게는 완만히 증가한다. 청소년의 키와 몸무게는 영양상태의 좋아짐에 따라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000년 현재 17세 남학생의 평균키는 173.04센티미터이고 평균몸무게는 65.28키로그램이다. 체격은 커졌지만 달리기, 팔굽혀펴기, 윗몸일으키기 등으로 측정한 체력은 다소 낮아졌다.
청소년기에는 성장급등과 함께 2차적 성특징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2차적 성특징은 남녀의 체격발달, 가슴발육, 체모의 분포와 음성변화 등으로서 남성과 여성을 구별 짓는 특성일 뿐 생식에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다. 반면, 생식에 필수적 요소인 남성의 고환과 음경, 여성의 난소와 자궁 등 1차적 성특징들은 2차적 성특징보다 조금 늦게 성숙된다.
청소년기에는 질적으로 다른 인지적 능력을 획득하고 양적으로 변화할 수도 있다. 청소년기에는 구체적으로 수행해 보지 않더라도 잠재적으로 정신적 표상을 적용해서 사고할 수 있고 다양한 역전 가능성들이 협응하여 더 높은 수준의 사고를 할 수 있다.
청소년기에는 다양한 사건들을 경험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정서경험의 범위는 확대되고 감정의 깊이도 깊어지는 특징을 나타낸다. 청소년기 동안 경험되는 대표적인 긍정적 정서에는 행복과 사랑의 감정이 있다. 청소년들은 자연의 아름다움, 우정의 순수함과 진지함 그리고 사랑이 가져다주는 생생한 행복감을 경험한다. 또한 이성에 대한 관심은 사랑을 경험하게 한다. 청소년기에 경험되는 대표적인 부정적 정서에는 우울, 공포와 불안, 외로움, 죄책감, 분노 등이 있다.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미의 시기이다. 이 시기에 “나는 누구인가”의 물음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심각하게 고뇌하고 갈등한다. 자신의 존재와 추구해 나갈 가치에 대한 확신이 서면 정체감 획득이 이루어지고, 그렇지 못하면 정체감혼란에 빠지게 된다.
모든 인간은 매 발달단계에서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기술이나 능력을 성취해야 하는데, 만약 한 단계에서 발달과업의 성취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다음 단계의 발달은 지장을 받게 된다. 청소년기의 발달과업으로 정서적 사회적 발달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노혁(2002), 청소년복지론, 대학출판사.
문화관광부(2001), 2001 청소년백서.
이종복 외(1998), 현대청소년복지론, 양서원.
이용교(1993), 한국청소년복지의 현실과 대안, 은평천사원 출판부.
이용교(1995), 한국청소년정책론, 인간과복지.
이용교 외(2002), 청소년문제와 청소년복지, 인간과복지.
장휘숙(1995), 청년심리학, 장승.
정옥분(2000), 청년발달의 이해, 학지사.
한국갤럽조사연구소(1985), 한국과 세계 청소년의 의식,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청소년개발원(1993), 청소년심리학, 서원.
한국청소년개발원 편(1994), 청소년복지론, 인간과복지.
홍봉선 남미애(2000), 청소년복지론, 양서원.

관련사이트

한국복지교육원 http://www.okwelfare.net
한국청소년개발원 http://www.kiyd.re.kr
한국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
청소년보호위원회 http://www.youth.go.kr
아하! 청소년성문화센터 http://www.aha.ymca.or.kr
법제처 http://www.moleg.go.kr
국제연합아동기금 http://www.unicef.org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통계청 http://www.nso.go.kr
외국의 유명한 발달연구기관의 홈63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0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