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정체감 발달단계, 마르샤의 정체성 지위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아정체감 발달단계, 마르샤의 정체성 지위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자아정체감 발달단계, 마르샤의 정체성 지위이론

I. 자아정체감 발달단계
1. 영아기(0~2세) : 신뢰감 대 불신감
2. 유아기(2~4세) : 자율성 대 수치 및 의혹
3. 아동기(4~6세) : 주도성 대 죄의식
4. 학령기(7~12세) : 근면성 대 열등감
5. 청소년기 : 자아정체감 대 역할혼미
6. 성인기 : 친밀감 대 소외감
7. 중년기 : 생산성 대 침체감
8. 노년기 : 통합성 대 절망감

II. 마르샤의 정체성 지위이론
1. 정체감 혼미
2. 조기완료
3. 지불유예
4. 정체감 성취

* 참고문헌

본문내용

뜻한다. 이 지위에 속하는 청소년들은 가장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탐색한다. 유예기의 청소년들은 안정감이 없으나,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흐르면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Erikson은 청소년의 마음은 본질적으로 유예상태라고 주장하지만, Marcia는 지불유예를 정체감 성취의 전제조건이라고 하였다.
4) 정체감 성취
정체감을 성취한 청소년은 삶의 목표, 가치, 직업, 인간관계 등에서 위기를 경험하여 대안을 탐색한 결과, 위기를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확고한 자신의 정체감을 형성한 상태이다. 정체감 성취(identity achievement)가 이루어졌어도 다를 참의 중대한 의사결정에 직면해 지불유예나 혼미상태로 퇴행했다가 다시 정체감 성취 상태에 도달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들은 부모를 포함한 인간관계에서도 현실적이고 안정되어 있으며 자아존중감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도 높다(송명자, 1995). 정체감을 성취한 청소년의 경우 긍정적, 부정적 의사결정과 관계없이 스스로 명확한 자기주관과 자기탐색을 통해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5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