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지능이론의 교육에의 적용★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다중지능이론의 교육에의 적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다중지능 교육은 엄중한 교육과정과 획일적인 평가체제에서는 실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더욱이 우리나라처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주어지고, 교육이 평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체제하에서는 국가에서 제시하는 교육과정을 던져버리고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교육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교육과정 편성 운영과 관련하여 다중지능 교육 실천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것을 크게 세 가지로 생각해 보았다.
첫째, 내용 선정의 문제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서 교육 내용을 제시하고 국정 교과서를 통해 그 내용을 가르치도록 되어 있다. 내용에 따라 경험은 선정할 수 있을지라도 교사가 교육 내용을 선정한다는 것은 이론에 불과하다. 미국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없다. 그렇다고 교육과정을 아무렇게나 운영하는 것은 아니다. 주 정부에서 제시하는 내용 기준(Content Standards)와 평가 기준(Performance Standards)이 있다. 교사들은 이러한 기준에 맞추어 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한다. 따라서 미국의 Gardner School처럼 주 정부의 요구에 부응하면서도 얼마든지 창의적인 내용으로 교육을 할 수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반배치 고사’라는 것이 있어서 중학교 입시는 없지만 초등학교 학생들도 중학교에서 우수 반에 들어가기 위해 교과서 내용 중심의 교육을 선호하는 편이다. 그렇지만 한 편으로 다행인 것은 미국에서는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체육의 5개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지만 우리나라에는 그 외에 음악, 미술, 체육, 실과라는 미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과목들이 정규 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있어 조화만 잘 시킨다면 그 내용 안에서 다중지능에 근거한 교육을 성공할 수도 있다.

본문내용

이 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하지만(예를 들어, 김명희, 1996; 김영천, 2002), 이는 초등학교에서나 적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중고등학교로 올라가면서 벽에 부딪힐 수밖에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교사들이 임의적으로 평가를 시행하기 힘들기 때문에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한 수업은 상당히 어려워 보인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0.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19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