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리학에 의한 인식
2. 원시미술 연구에 의한 아동미술의 재고
2. 원시미술 연구에 의한 아동미술의 재고
본문내용
자신의 조형적 표현의욕을 무의식 중에 어린이의 손을 빌어 만족시키려 한다는 점이다. 그 결과 아동작품은 지도자의 표현의욕을 충족시킬 만한 형태의 일률적인 경향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제 3자가 어린이 표현활동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아동화를 단순히 작품으로 간주하는 일에 대해 아무런 의혹도 품지 않으며, 아름다운 작품을 낳는 지도자를 역량있는 교사로 인정하는 경향에도 그 원인이 있다. 결국, 그러한 교사는 자신의 성공에 자신을 느끼고, 점점 더 결과주의로 빠져들게 된 것이다. 우리는 어린이의 전 생활을 포함한 자연스런 발달 속에서 그들의 표현활동의 존재방식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지도를 모색해야 하겠다. 그럼으로써 진정한 아름다움을 가진 아동화가 탄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3자가 어린이 표현활동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고 아동화를 단순히 작품으로 간주하는 일에 대해 아무런 의혹도 품지 않으며, 아름다운 작품을 낳는 지도자를 역량있는 교사로 인정하는 경향에도 그 원인이 있다. 결국, 그러한 교사는 자신의 성공에 자신을 느끼고, 점점 더 결과주의로 빠져들게 된 것이다. 우리는 어린이의 전 생활을 포함한 자연스런 발달 속에서 그들의 표현활동의 존재방식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적절한 지도를 모색해야 하겠다. 그럼으로써 진정한 아름다움을 가진 아동화가 탄생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