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화의 상징과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아동화의 이해 ***

󰋎 지각발달

󰋎 지각발달

󰋐 정서발달

❶ 로웬펠드(V. Lowenfeld)의 아동화의 발달단계

❷ 감정의 아동화 발달단계

❸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본문내용

이다.
(6) 의사실기(12~13세)
거의 사실적인 그림을 그리며 그림이 사물과 닮지 않으면 곧바로 포기하는 상태로 간다.
지각이나 논리적인 사고만큼 그림이 따라 주지 않아 대담성이 없어진다.
(7) 사춘기(14~17세)
자신의 그림에 비판적인 안목을 가지게 되며 상상력은 거의 쇠퇴하고 저질스러운 그림형태가 나오며 만화에 가까운 그림을 그린다. 또 어른의 흉내를 내며 제법 기법상의 여러 조건을 터득하느라고 노력하기도 한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1) 감각 운동기(0~2세)
유아의 행위는 반사에 의존하여 습관에 형성되며 쥐기, 조작하기, 그 밖의 다른 촉각과 근육운동감각을 통해 사고를 시작하게 된다.
(2) 상징적 기능기(2~4세)
눈앞에 없는 대상이나 사진의 재현은 다음을 통하여 시작된다.
지연된 모방 - 모델이 사라진 뒤의 모방
선화 - 놀이를 통한 재미있는 연습, 맹목적인 난화 속에서 형태를 인식
기억으로부터 모델을 이끌어내는 시도
상상, 대화
(3) 직관적 사고기(4~7세)
자기중심적, 보이는 것이 아니라 알고 있는 것을 그린다.(지적 사실기)
시각적으로 지각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개념적 속성을 그린다.(투시도)
어린이들이 자유롭게 그린 기하무늬와 선화를 관찰하던 한 가지로 수렴된다.(피아제의 어 린이 공간개념)
근접, 분리, 포함의 관계와 또 다른 위치상의 고려가 표현되기 시작한다.
(4) 구체적 조작기(7~11세)
유목화 대상의 분류(대상을 관련지어 분류하기)와 일반화(원리와 체계를 추론하기)에 대한 관심을 통하여 상징적 재현의 체계가 잡힘
지적 사실성은 지속된다. 시간이 경과에 따라 발생된 일련의 사건들이 하나의 그림속에 나타날 수 있다.
9세 가량의 그림에서 시지각적 사실성은 특별히 관찰한 것 감추어진 부분의 생략, 윤곽선 의 정확,뒤의 사물을 작게 그리기, 비례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표현하기, 전체의 계획을 갖고 전체에 대한 부분의 관계를 강조한다.
대인관계에 협조적인 측면이 보임
사회화에 인지적, 정서적, 도덕적 측면이 포함된다.
(5) 형식적 조작기(12~15세)
사실적인 것에서 교체 가능한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며, 가치와 이상을 중요시한다.
가설에 대해 합리화할 수 있고 가능성으로부터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언어적 추상을 다룰 줄 알게 되고 추론적 능력을 통해 예견할 수 있게 된다.
동료의 영향이 크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13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