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독일
2. 독일문화
3. 독일의 교육
4. 독일인 일상생활
5. 독일의 역사
6. 결론 및 시사점
2. 독일문화
3. 독일의 교육
4. 독일인 일상생활
5. 독일의 역사
6.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짐으로 바뀌는, 이른바 완전한 세계화가 이루어지는 때까지 이렇게 해외에 우리 문화를 알리고 또한 타국의 문화를 받아들이려는 아주 작은 노력이라도 멈추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러나 정작 우리 한국은 과연 얼마나 타 국가들의 문화를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물음을 던져보면 그리 만족스러운 대답을 기대하기 어렵다. 근래에는 많이 글로벌화 되었지만 우리 나라가 외국 문물을 받아들이는 것에 있어서 유난스레 보수적인 편이라는 것은 부정의 여지가 없다. 국제 결혼을 낯설게 여기고, 특히 동남아인과의 결혼에 대해서는 소위 비천하게 여기는 모습을 보며 그런 한국인들의 닫힌 사고에 창피하기까지 하지만, 정작 나 자신도 동남아 여자와 결혼한다는 상상을 해보면 무언가 망설여지는 느낌이 든다. 또한 최근 급증하고 있는 출국사유를 보면 해외에 나가는 경우라고 해봐야 남들 하니까 저도 한다는 식의 막연한 어학연수와 중국과 일본 동남아 등지로의 여행이 대부분이다. 그마저도 정해진 매뉴얼대로 모두들 천편일률적인 스케줄로 움직이며 유럽으로의 배낭여행 또는 오지체험, 봉사활동 등의 비율이 현저히 적다는 점은 수박 겉핥기라는 말이 생각나는 대목이다. 우리의 사고는 아직도 세계화 추세에 충분히 따라갈 만큼 열려있지 않았다는 생각을 해본다. 선진대국임이 분명한 독일에 대해서 우리가 과연 얼마나 알고 있는가에 대해 자문을 던져보면 반성할 부분이 있다. 생각해보면 자동차, 맥주, 니베아, MCM 정도일까? 백만 이상이 참여하는 문화카니발에서 우리 한국을 알리는 행사가 열렸듯이 우리 또한 보다 가까이에서 몸소 독일을 맛보았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추천자료
독일과 유럽의 축제 문화
멕시코의 식생활(음식문화), 스위스의 식생활(음식문화), 프랑스의 식생활(음식문화), 독일의...
멕시코의 의복생활(의복문화), 프랑스의 의복생활(의복문화), 독일의 의복생활(의복문화), 이...
[쟁의행위][노동쟁의][쟁의][쟁의문화]쟁의행위의 의의, 쟁의행위의 종류, 쟁의행위의 현황, ...
세계(독일)의 주거문화
독일의 지명과 지리적 조건 및 문화
독일,프랑스 공동 문화 채널(ARTE)의 사례분석 및 시사점
다문화의 이해 - 독일
독일과 한국의 비즈니스 문화
[A+] 독일의 자동차산업 - 자동차문화, 산업역사, 관련인물, 브랜드, 아우디, BMW, 산업발달...
9장 서유럽의 음식문화 (프랑스, 독일, 영국)
독일에서의 외국인 문제 및 다문화 현상.PPT자료
서양문화사 과제,독일 나치스정권의 선전장관 파울 괴벨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