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I.P.Pavlov(1849~1936)
1) 파블로프의 실험
2) 조건반사가 성립하는 원리
3) 조건화의 현상
2. Skinner - 작동(作動)조건(條件)형성(形成)
1) 비둘기 실험
2) 강화스케줄
1) 파블로프의 실험
2) 조건반사가 성립하는 원리
3) 조건화의 현상
2. Skinner - 작동(作動)조건(條件)형성(形成)
1) 비둘기 실험
2) 강화스케줄
본문내용
적강화자극 이라고도 한다. 정적강화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항상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부적 강화물은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제거했을 때 또는 그 상황에서 감해졌을 때 그 행동이 장차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자극으로서, 때로는 부적강화자극이라고도 한다. 부적 강화의 경우 유기테는 어떤 나쁜 상태에서 도피하기 위하여 학습하는 것이다.
벌(罰)은 반응을 약화시키는 절차로서 반응을 증강시키는 정적, 부적강화와는 다르다. 강화에서는 반응의 빈도가 올라가고 벌에서는 반응의 빈도가 내려간다.
2). 강화스케줄
- 강화조건을 어떤 패턴에 따라 조절했을 때 반응에 특징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강화조건의 패턴화를 강화 스케줄이라 한다.
- 계속적 강화 : 각 행동마다 장애물을 준다.
행동을 빨리 변화시키기 때문에 학습 초기단계에 가장 효과적이다.
- 부분강화 : 반응할 때마다 강화물을 제시하지 않고 가끔씩 강화
계속적 강화보다 행동의 소거에 대한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학습 초기단계 에 효과적이다.
- 시간 및 반응수를 고정시키는가, 변동시키는가의 차원에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고정 비율(반응의 비율), 고정 간격(시간의 간격), 변동 비율, 변동 간격
부적 강화물은 어떤 행동이 일어난 직후에 제거했을 때 또는 그 상황에서 감해졌을 때 그 행동이 장차 일어날 확률을 높이는 자극으로서, 때로는 부적강화자극이라고도 한다. 부적 강화의 경우 유기테는 어떤 나쁜 상태에서 도피하기 위하여 학습하는 것이다.
벌(罰)은 반응을 약화시키는 절차로서 반응을 증강시키는 정적, 부적강화와는 다르다. 강화에서는 반응의 빈도가 올라가고 벌에서는 반응의 빈도가 내려간다.
2). 강화스케줄
- 강화조건을 어떤 패턴에 따라 조절했을 때 반응에 특징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강화조건의 패턴화를 강화 스케줄이라 한다.
- 계속적 강화 : 각 행동마다 장애물을 준다.
행동을 빨리 변화시키기 때문에 학습 초기단계에 가장 효과적이다.
- 부분강화 : 반응할 때마다 강화물을 제시하지 않고 가끔씩 강화
계속적 강화보다 행동의 소거에 대한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학습 초기단계 에 효과적이다.
- 시간 및 반응수를 고정시키는가, 변동시키는가의 차원에서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고정 비율(반응의 비율), 고정 간격(시간의 간격), 변동 비율, 변동 간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