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방분권화가 갖는 함의
2.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를 위한 로컬 거버넌스의 한계
3.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조건
참고문헌
2. 현재 우리나라의 사회복지를 위한 로컬 거버넌스의 한계
3. 로컬 거버넌스의 성공조건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어 지역혁신체제(RIS)를 완벽하게 구축하고 있으며 푸른천안21, 지역혁신협의회, 지방분권협의회가 천안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 이러한 주민참여형 민관협력 거버넌스가 활성화되면 계획과정부터 다양한 주민의견을 수렴할 수 있고 이해관계와 요구사항을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켜 지방정부의 정책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지역발전을 이끌어 내는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으로 전환하는 기폭제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이원희. “참여적 지방재정 운영방향”. 한국지방재정논집. 8(2). 2003.
이인재. “사회복지 재정분권 의미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4년도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04.
강형기. “지방분권의 의의와 과제” 지방행정연구” 제17권 제1호(통권53호).2003.4.3-22
참고문헌
이원희. “참여적 지방재정 운영방향”. 한국지방재정논집. 8(2). 2003.
이인재. “사회복지 재정분권 의미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4년도 공동학술대회 자료집, 2004.
강형기. “지방분권의 의의와 과제” 지방행정연구” 제17권 제1호(통권53호).2003.4.3-2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