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귀납법
가.귀납법의정의
나.귀납법의특성
다.귀납법의종류
2. 연역법
가.연역법의정의
나.연역법의특성
다.연역법의종류
3.귀납법과 연역법의 예
4.귀납주의,연역주의의 대표학자
1. 귀납법
가.귀납법의정의
나.귀납법의특성
다.귀납법의종류
2. 연역법
가.연역법의정의
나.연역법의특성
다.연역법의종류
3.귀납법과 연역법의 예
4.귀납주의,연역주의의 대표학자
본문내용
-(결론)
***무엇보다 연역법은 '대전제'로부터 '결론'을 도출해 내는 것이기 때문에 대전제가 그릇되었을 경우 대전제로부터 얻어지는 결론역시 잘못 된 것일 수밖에 없습니다.
예) 모든 꽃은 열매를 맺는다.-(대전제)
봉숭아는 꽃이다.-(소전제)
그러므로 봉숭아도 열매를 맺는다.-(결론)
위의 예는 대전제의 내용이 그릇된 것이므로 얻어진 결론역시 옳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처럼 연역법의 경우 대전제가 진리일 경우에는 결론도 항상 진리이지만, 대전제가 그릇된 경우에는 결론도 항상 그릇된 것일 수밖에 없습니다.
3. 대표학자
1) 귀납주의
대표학자 : 16세기 - 베이컨(Bacon)
베이컨은 특정한 사례들을 실험하고 관찰함으로써 이들의 공통적인 것을 찾아내어 일반적인 것을 추론하고 이에 관한 법칙과 이론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2) 연역주의
대표학자 : 17세기 - 데카르트(Descartes)
데카르트는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가설을 형성하고 경험적 관찰을 통해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과학이 발전하게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연역법과 귀납법은 상호보완적이며 사회과학에서 지식을 탐구하는 데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됩니다.
***무엇보다 연역법은 '대전제'로부터 '결론'을 도출해 내는 것이기 때문에 대전제가 그릇되었을 경우 대전제로부터 얻어지는 결론역시 잘못 된 것일 수밖에 없습니다.
예) 모든 꽃은 열매를 맺는다.-(대전제)
봉숭아는 꽃이다.-(소전제)
그러므로 봉숭아도 열매를 맺는다.-(결론)
위의 예는 대전제의 내용이 그릇된 것이므로 얻어진 결론역시 옳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이처럼 연역법의 경우 대전제가 진리일 경우에는 결론도 항상 진리이지만, 대전제가 그릇된 경우에는 결론도 항상 그릇된 것일 수밖에 없습니다.
3. 대표학자
1) 귀납주의
대표학자 : 16세기 - 베이컨(Bacon)
베이컨은 특정한 사례들을 실험하고 관찰함으로써 이들의 공통적인 것을 찾아내어 일반적인 것을 추론하고 이에 관한 법칙과 이론을 형성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2) 연역주의
대표학자 : 17세기 - 데카르트(Descartes)
데카르트는 일반적인 원리나 법칙으로부터 가설을 형성하고 경험적 관찰을 통해 가설을 검증함으로써 과학이 발전하게 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 연역법과 귀납법은 상호보완적이며 사회과학에서 지식을 탐구하는 데 있어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는 안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