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경험 중에서 심리학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내용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신의 경험 중에서 심리학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꿈이란 무엇인가?
2. 꿈을 해석하는 이유
3. 꿈의 종류
4. 자신의 경험 중에서 심리학적으로 생각 할 수 있는 내용 (꿈속에서의 답답함)
5. 심리학적 해석
6. 무의식에 대한 프로이드의 견해
7. 무의식에 대한 융의 견해
8. 결론 및 나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각, 사고, 감정, 충동의 원천이 되는 에너지로 간주했고, 마음은 쾌감 원칙에 지배되는 것이 아니라 이 에너지에 의해 자율적이되 일정한 법칙을 따라 조절된다고 하였다. 또한 프로이드는 무의식의 부정적인 면에 촛점을 맞춘다. 무의식은 정신병의 근원이고, 의사는 이러한 무의식의 실타레를 풀어 헤쳐서 그 굴레로 부터 환자를 해방시키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융은 무의식의 부정적인 측면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긍정적이고 창조적인 측면 또한 중시한다. 특히 집단 무의식은 인간으로 하여금 내면의 신비한 세계에 이르도록하고, 그래서 융은 이를 종교가 지향하는 영적인 세계를 가능하게 하는 채널로 보고 있다. 융은 무의식을 생명력이 넘치는 자아의 근원으로 보았고 무의식의 세계는 개인적 무의식과 집단적 무의식의 두가지 종류로 나뉘어 있고 이 중 집단적 무의식은 인류가 수많은 세대를 거치면서 축적된 집합적 기억과 사고형태를 발전시킨 것이라고 보았다. 융은 이러한 사고형태를 원형이라고 정의했다. 이 원형이란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한번에 딱 떠올릴 수 있는 어떤 특정 대상에 대한 이미지 정도로 생각할 수 있다. 융은 인간의 본능보다는 이성적이고 정신적인 부분의 발전을 강조했고 인간 성격의 근원이 리비도만이 아닌 과거의 조상으로부터 확대되는 역사적 연속성의 감각을 지녔기 때문에 인간은 자신의 성격을 조화로운 전체로 통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고 그러므로 항상 자기실현의 의지를 가지고 행동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김현택 외, 현대 심리학 이해, 학지사, 2003
김정희 외,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02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3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