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불교개교의 동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불교개교의 동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불교의 종교 사상적 배경
2. 창립과 발전
3. 교조 박중빈
4. 원불교의 사상 및 개교 동기
5. 조직과 제도 현황
6. 소감

본문내용

소화하였다. <원불교예전>은 통례편, 가례편, 교례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통례는 인간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예의를 규정하고 가례는 가정에서 필요로 하는 출생, 결혼, 상장, 제례에 관한 제반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교례는 원불교 신앙을 가진 사람이 교당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제반 의식과 절차를 규정하고 있다. 원불교 교역자는 ‘교무’라 부르며 소태산의 경륜과 포부를 실현하기 위하여 헌신하는 사람이다. 교역자를 지원한 자는 원광대학교 원불교학과나 영산원불교대학의 원불교학과 졸업하고 소정의 검정을 거쳐 원불교 대학원대학 2년 과정(석사)을 졸업함으로써 교역자 자격이 주어진다. 이 후 매년 일주일간의 보수교육을 받아야 한다. 교역자의 생활은 무보수이며 본인이 근무하는 교당이나 기관에서 일정한 용금(최소 생활비)만 지급된다.
한편 남여 교역자는 평등하며 결혼은 제도적으로는 허용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여자 교역자 들은 결혼을 하지 않고 있다. 또한 사회집단이나 국가간에 있어서도 서로 상생과 조화의 관계만이 인류역사의 진보와 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므로 개벽의 새 시대에는 ‘곳곳이 부처님(處處佛像)’이니 ‘일마다 불공하라(事事佛供)’고 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원불교의 인류역사에 대한 태도는 인간에 대한 신뢰와 무한한 진보를 전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6. 소감
생활이 풍족해질수록 종교인구는 줄어들고 있다. 왜 일까? 그것은 인간이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절대자에 의지한 복락의 구하거나 여러 기적들이 과학문명이 대신하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 생활이 윤택해질수록 인간은 종교에 대한 관심보다는 여가생활을 즐기는 것으로 삶의 의미를 찾는 것 같다. 세상은 물질이 개벽되고 있다. 물질문명과 자본주의 융성은 절대적 권능을 발휘하고 있다. 물질문명은 기적을 만들어내고 있다. 최초의 복제인간인 '이브'도 탄생하였다. 이 복제인간은 인류에게 어떤 의미가 될까? 이 개벽되어가는 물질문명은 인류의 행복을 보장해줄 수 있을까? 대종사님께서는 인간이 물질로 행복해질 수 없다고 단언하셨다. 대종사님께서는 일체생령의 파란고해가 물질의 노예화되는데 있다고 진단하셨다. 그렇다고 정신문명만으로 행복해질 수도 없다고 하셨다. 그동안 20세기까지의 인류문명사는 어느 한쪽이 그 사회를 지배해왔다. 하지만 후천 시대는 어느 한쪽만으로는 행복을 보장할 수 없는 사회이기 때문에 ‘물질이 개벽되니 정신을 개벽하자'고 원불교를 개교하신 것이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6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