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기존의 네 가지 마케팅사고
1) 생산 지향적 사고(Production concept)
2) 제품 지향적 사고(Product concept)
3) 판매 지향적 사고(Selling Concept)
4) 마케팅 지향적 사고(Marketing concept)
2. 시장 지향적 마케팅 사고
참고자료
1) 생산 지향적 사고(Production concept)
2) 제품 지향적 사고(Product concept)
3) 판매 지향적 사고(Selling Concept)
4) 마케팅 지향적 사고(Marketing concept)
2. 시장 지향적 마케팅 사고
참고자료
본문내용
성과관계를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로도 인식되고 있다.
둘째, 시장지향서의 개념은 전사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취하고는 있지만 마케팅 고유의 구체적인 활동들과의 괴리가 있다. 또한 시장정보의 창출, 교류, 반응이라는 관점은 무엇에 관한 정보인지를 말해주지 못했고 최근 연구들은 시장지향성을 고객초점, 경쟁자 초점 등의 구체화된 시장지향성의 대상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구들조차 마케팅이 갖고 있는 핵심 기능을 구체적으로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자료
김상욱, 마케팅 능력과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2001.
윤훈현 역, 마케팅관리론, 제13판, 『피어슨에듀케이션 코리아』, 2009.
윤훈현, 소비자 행동의 이해, 『청목출판사』, 2008.
홍성준, 마케팅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5.
Kohli Ajay K, and Jaworski, Bernard J., "Market Orientation :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 54, No. 3, 1990.
Min, Soonhong and John T. Mentner, "The Role of Marketing in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u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Vol 30, No. 9, 2000.
둘째, 시장지향서의 개념은 전사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취하고는 있지만 마케팅 고유의 구체적인 활동들과의 괴리가 있다. 또한 시장정보의 창출, 교류, 반응이라는 관점은 무엇에 관한 정보인지를 말해주지 못했고 최근 연구들은 시장지향성을 고객초점, 경쟁자 초점 등의 구체화된 시장지향성의 대상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 연구들조차 마케팅이 갖고 있는 핵심 기능을 구체적으로 포괄하지 못하고 있다.
참고자료
김상욱, 마케팅 능력과 성과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고려대 대학원, 2001.
윤훈현 역, 마케팅관리론, 제13판, 『피어슨에듀케이션 코리아』, 2009.
윤훈현, 소비자 행동의 이해, 『청목출판사』, 2008.
홍성준, 마케팅 혁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5.
Kohli Ajay K, and Jaworski, Bernard J., "Market Orientation : The Construct, Research Proposi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 54, No. 3, 1990.
Min, Soonhong and John T. Mentner, "The Role of Marketing in Supply Chain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Physical Distrubution and Logistics Management. Vol 30, No. 9, 200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