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 세계적으로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로 인한 범죄, 자살, 히키코모리, 학교내의 집단폭행, 이지메 등이 자주 발생되면서 “정신건강”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쓰십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로 인한 범죄, 자살, 히키코모리, 학교내의 집단폭행, 이지메 등이 자주 발생되면서 “정신건강”이 화두가 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쓰십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싸이코패스(반사회적 인격장애)의 정의
Ⅲ. 반사회적 인격장애의 범죄사례와 판례
Ⅳ. 정신건강이 화두가 되고 있는 이유에 따른 대안
Ⅴ. 결론 및 나의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모든 유기체는 자신을 유지하고 자신의 한계 내에서 가능한 많은 것을 얻어내려 하며 성장하려 한다. 매슬로우 (Maslow)는 인간에게 있는 잠재능력까지도 총동원하여 끌어내어 삶의 현장에 풀어놓는 자아실현화를 하기위해서는 고통스러울 정도의 노력이 필요하다. 즉, '고통 없이 얻는 것도 없다(No Pain No Gain)'이므로 가정이나 학교 사회에서는 개인이 성장과 발달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와 환경을 잘 마련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4. 건전한 정신건강의 조건 및 방법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자아정체감을 갖고, 긴장에 저항할 수 있고, 자율성을 가지고 있으면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깨달으며, 현실을 왜곡하지 않은 채 감정이입을 할줄 안다. 정신적으로 건강한사람은 아래의 네 가지를 포함한다.
1) 자기존중과 타인존중을 할 줄 아는 인간에 대한 자세
자신과 타인을 좋아하는 사람은 정신적으로 건강하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신과 타인에 대해 심각한 혐오감을 갖는 사람은 전형적인 부적응 상태에 놓여있다고 볼 수 있다. 흔히 정상인들은 자신이 사회집단에 수용된 구성원이라고 느낀다. 그는 다른 사람들을 좋아하며, 그들도 자신을 좋아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정신건강은 인간관계에서 관용과 칭찬 및 긍정적인 접근, 개인의 존엄성 인정과 깊은 연관을 맺고 있다.
2) 자신과 타인이 지닌 장점과 한계에 대한 이해와 수용에 대한 자세
정신건강의 주요원칙은 인생의 현실을 분명히 보고 그것을 수용한다는 것이다. 완벽한 사람은 없듯이 자신의 장점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자신의 한계 역시 받아들일 줄 알아야 한다.
3) 모든 행동에는 원인과 그에 따른 결과가 있음을 이해할 줄 아는 자세
인간의 모든 행동에는 원인이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가 반드시 존재한다. 잘 적응된 사람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원인으로 남의 탓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자신의 행동은 자기 선택에 의해 나타난 것이기 때문에 선택에 따른 책임이 스스로에게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Ⅴ. 결론 및 나의 의견
현대사회에서 범법 정신장애자가 증가하는 것이 명백한 사실이다. 그러나 성폭행범에 대한 법적조치는 개정이 되면서 마련이되었지만 더욱 심각한 범죄를 저지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반사회적 인격장애에 대한 법적조치는 충분히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만약 그들이 죄를 저질렀지만 그들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것이 밝혀진다면 그들의 죄를 다루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들의 내면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은 아무리 태어날때부터 측두엽의 손상으로 인해 감정이 사라졌다고 하더라도 사람은 언제나 변할 수 있는 존재들이다. 사람의 성품은 한순간에 생물학적 특징으로 인해 정해지지 않는다. 사람이 동물과 다른 이유도 사고 할 수 있고 주위 환경과 자신의 노력으로 인해 언제든지 변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그 사람들이 그렇게 된 것도 자신의 잘못도 있겠지만 주위의 사회·환경적 요인도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그러니 그들에게 한번의 치료기회를 주는 것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의 뇌기능 문제와 불우한 성장과정, 가정 파탄 등은 살인에 대한 변명과 합리화의 명분이 될 수는 있으나 이유는 될 수 없다. 감정의 격화나 충동에 의한 살인이 아니라 철저하게 계획되고 치밀하게 은폐된 범행이기 때문에 그렇다. 그들은 충분히 정상적인 삶을 살 수 있었으나 그 마음을 지켜주고 옆에서 보살펴줄 사람들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들을 가두고 처벌하는 것이 범죄를 근절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정신을 치료해서 사회에 내보내어 국가의 인력으로 사용하는 것이 최고의 해결책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이 일생을 살면서 어떤 인생을 살아왔는지 왜 그들이 그렇게 까지 추락할 수밖에 없었는지 원인을 파악하고 그것을 국가차원에서 법적으로 다루어야 다른 제2의 그들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피의자 김길태는 누구?”, 《아시아경제》, 2010년 3월 10일 작성.
네이벅 위키 백과사전 ‘김길태 사건’
네이버 위키 백과사전‘싸이코패스(싸이코패시)’
박선환 외, 정신건강론, 양서원, 2008.3
이영호, 정신건강론, 공동체, 2010.1
반사회적 인격장애(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http://founder.egloos.com/2520559
김병준의 법률사무소(비뚤어진 세상을 바로잡는힘) 법심리학-정신장애자의 형사책임
‘정신장애자 범죄, 대부분이 강력사건’ 연합뉴스 사회 1992.04.18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38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