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착금속의 응고
2. 용착금속의 고온균열 이론
2. 용착금속의 고온균열 이론
본문내용
시키기 위해서 보다 높은 응력을 필요로 한다. 액상의 분포는 표면에너지 비율(τ)에 의해 결정되고 τ값이 0.5근처를 보일 때 균열 발생 확률이 가장 높다. 임계 온도구간은 응고하는 재료의 균열 발생 가능 시간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열영향부 고온균열이론은 용착금속 균열 이론과 거의 같다. 열영향부에서의 고온균열 발생도 결정립계에 액막이 존재할 때 형성되고 이러한 액막은 다음과 같은 이유 및 과정에 의해 형성된다. 선택적인 결정립계의 용융(preferential grain boun-dary melting) 용융된 용착금속으로 부터의 침투 및 흡수(absorp-tion from molten pool) 용접시 용접 경계부인 열영향부의 결정립계에 존재하는 석출물들이 녹기 시작한다. 그 용융 넓이(경계부에서의 거리)는석출물, 혹은 편석의 종류나 열영향부에서의 온도 편차에 의하여 결정된다. 용접열원이 전진함에 따라, 열영향부는 용착금속의 수척에 의하여 인장 응력을 받는다. 이때, 이 인장 응력이 액막을 보유하고 있는 결정립 경계를 분리 시켜 균열을 발생시킨다. 균열의 위치나 상대적인 크기는 존재하는 액막의 양, 변형량(응력 크기) 및 액상의 수명에 의해 좌우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