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와 국어의 차이점을 논하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화와 국어의 차이점을 논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수화와 국어의 의미의 차이점
2. 수화와 국어의 중요성
3. 언어의 중요성
4. 수화와 국어의 유형상의 차이점
5. 수화의 특징과 국어의 특징에 대한 차이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국어에서는 이중모음이었으므로 이 때는, '내, 네'가 '나, 너'와 'ㅣ'로 분석이 되었다. 그러나 후에 이중모음이었던 'ㅐ, ㅔ'가 단모음으로 변하자 'ㅣ'가 뒷말에 엉겨붙은 것이 되어 분석이 어렵게 된 것이다. 위에서 본 바와 같은 국어의 첨가적 성질이 부정되지는 않는다. '내, 네'와 같은 것도 본래 첨가적으로 이루어졌던 것이어서 굴절어와는 근본적으로 성질이 다르다.
(2) 통사적 특징
언어마다 문장을 구성하는 방식이 약간 다르지만, 대체로 '주어+목적어+동사', '주어+동사+목적어', '동사+주어+목적어'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밖에 다른 유형도 있을 수 있으나 극히 드물다. 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의 문장구성을 갖는 언어로 일본어, 몽고어, 터키어, 버마어, 힌디어, 케추아어 등이 이 유형에 속하며, '주어+동사+목적어'의 문장유형을 가지는 언어로는 핀란드어, 이탈리아어, 마야어, 노르웨이어, 타이어, 스와힐리어 같은 것이 있고 영어도 크게 보아 이 부류에 속한다. 그리고 히브리어, 마오리어, 마사이어, 웨일스어, 자포텍어 등은 '동사+주어+목적어'의 문장구성을 가진다. 이들 세 유형의 언어는 각기 얼마만큼의 통사적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주어+목적어+동사'의 문장 구성을 가지는 언어의 하나로서 국어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장 구성상의 특징이 있다. 국어에서는 모든 문법적 형태소 (곧, 문장 안에서 체언의 기능을 보여주는 조사, 용언의 활용어미 같은 것들)는 반드시 어근이나 어간 뒤에 쓰인다. 접사에 있어서도 뜻을 더해주는 것 중에는 어근 앞에 오는 일이 있으나 문법적 기능을 보이는 접사는 반드시 어근 뒤에 온다.
Ⅲ. 결론
수화를 배우는 자는 농아인의 언어로서의 수화에 대한 깊은 존경심을 가지고 수화를 장난스럽게 사용한다든가 잘못 표현하는 오류를 피해야 한다. 이러한 오류는 국어에서의 말장난 이나 의사소통의 상대방에 대한 비 매너라 할 수 있다. 우리가 장애인을 위한 수화를 완전히 터득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수화에 대한 깊은 애정과 존경심을 갖고 겸허한 자세로 수화 강습에 임할 때 그 어려운 수화도 알고 보면 가장 쉽고 재미있는 것이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고 또 두 손으로 빚어내는 변화 무쌍하면서도 수화가 지니는 독특한 표현 양식에 큰 매력을 느끼지 않을 수 없게 될 것이다. 수화를 단순히 심심풀이나 호기심 충족의 한 방편으로 배우려 하지는 말자는 것이다. 어쩌면 농아인들은 자기네 언어인 수화를 열심히 배우고 유창하게 구사하는 것이 곧 그들을 사랑한다는 증표가 된다고 여기는 줄도 모른다. 이렇듯 수화는 청각장애인들이 가장 자연스럽게 습득하여 활용할 수 있는 것이며 많은 정보를 가장 빨리 전하고 수용할 수 있는 수단이고 농아인들의 심리적 특성에도 가장 적합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청각장애인에게 있어서 수화는 의사소통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지식을 함양하고 자아를 실현하는 중요한 매체인 것이다.
참고문헌
김방한, 언어학의 이해, 1996
김진우, 언어(그 이론과 응용), 탑출판사, 2007

키워드

수화,   수화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