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여 주고 있다. 김동리의 <등신불>은 당나라의 불교 설화를 취택한 내용인데 오늘의 청소년 학생들이 이해해야 할 작품으로는 알맞지 않다. 이주홍의 <내 산아>는 식민 시대의 궁핍한 농촌이 배경인데 누나가 시집을 감으로써 외톨이가 된 산골 소년의 고독감은 산업 사회의 구조에서 어긋나 있고, 정한숙의 <금당벽화>는 고대 사회의 엉터리 애국심과 예술성을 강조하는 잘못된 가치관이 나타나고 있다. 우창호, 앞의 책, p. 37.
이러한 지적 때문인지 <빈처>와 <무지개>는 제 4차 교육과정기에 수록되지 않는다. 제 3차 교육과정기에서 특히 주목되는 사실은 건국기에 수록된 <붉은 산>이 제 1·2차 교육과정기에 빠졌다가 제 3차 교육과정기에 다시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반공 교육의 강화로 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금당벽화>도 이에 부합하는 작품으로서 <붉은 산>처럼 강렬한 조국애를 그리고 있다.
참고문헌
대학교양국어편찬위원회, 『교양 문장독본』, 일신사, 1971.
광복 40년의 교과서 편찬 위원회 편, 『광복 40년의 교과서』, 나랏말싸미, 1987.
이재선외편, 『한국 현대소설 작품론』, 문장사, 1981.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역락, 2005.
이러한 지적 때문인지 <빈처>와 <무지개>는 제 4차 교육과정기에 수록되지 않는다. 제 3차 교육과정기에서 특히 주목되는 사실은 건국기에 수록된 <붉은 산>이 제 1·2차 교육과정기에 빠졌다가 제 3차 교육과정기에 다시 수록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반공 교육의 강화로 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금당벽화>도 이에 부합하는 작품으로서 <붉은 산>처럼 강렬한 조국애를 그리고 있다.
참고문헌
대학교양국어편찬위원회, 『교양 문장독본』, 일신사, 1971.
광복 40년의 교과서 편찬 위원회 편, 『광복 40년의 교과서』, 나랏말싸미, 1987.
이재선외편, 『한국 현대소설 작품론』, 문장사, 1981.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역락, 200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