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감성역량 키우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직감성역량 키우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조직 구성원의 감성 이해하기
2. 감성역량
3. 감성역량 평가하기
4. 팀 구성원의 감성 공유하기
5. 조직감성코드 활용하기

본문내용

기반으로 한 개인별·직급별 평가 프로세스가 시행되면, 개인의 역량 관리를 통해 성과를 관리해야 하는데, 개인 역량에 기반을 둔 성과 관리는 근본적으로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ex : KPI)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참고로 KPI는 업무수행의 차이를 식별해주는 핵심요소로서 조직구성원 누구나 인정할 수 있는 성과의 외현적 지표가 되어야 하는데, 예로 홍보부서의 경우, 고객상담 전화 접수 건수나 고객 일인당 응대 시간 등의 객관적 지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객관적 KPI가 설정되고 나면, 연초에 구체적으로 역량 육성에 대한 목표와 달성도를 성과 중심으로 검토한 후에 현재 역량 프로파일과 목표로 하는 역량의 프로파일을 설정해야 한다. 이상의 과정들은 어느 한 단계라도 분절되어서는 안 되고, 조직의 전체적인 프로세스 개선에 이바지해야 하고, 또 피드백을 통해 다시 역량이 설정되고, 경력 프로세스가 재조정되며, 성과관리에서 목표의 상향조정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이 지속되어야만, 조직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HR 기능이 정립된다고 볼 수 있다.
개인과 팀 코드, 조직 코드 만들기
이제 남은 것은 조직 수준에서 어떠한 관리를 해야 하는가, 즉 조직 코드에 관한 논의를 할 차례인데, 개인 코드와 팀 코드는 조직의 경영 방침이나 제도와 문화에 따라 얼마든지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다. 참고로 한국 조직 내에서 감성역량이나 감성 관리는 아직 시도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감성역량을 기반으로 하는 통합적 역량 시스템은 개인과 상황의 매칭을 통해 미래 지향적으로 환경에 적응해나가는 조직을 만들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는데, 환경에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측면에서 조직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첫째, 변화 관리다. 앞으로 시장에서 그 우위를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변화가 필수적이다. 둘째, 의사결정에 개입해야 한다. 변화와 맞물려 조직 의사 결정은 변화의 내용과 방법(What and How to Change)을 결정하는 데 아주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세 번째 개입은 감성 관리에 관한 부분이다. 사실 감성역량은 조직 구성원들 간에 효율적 업무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역량들을 말하는데, 일차적으로는 감성역량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병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직급이 높은 리더일수록, 대인관계가 업무수행에 중요할수록, 감성역량들에 대한 평가와 훈련의 중요성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48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