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성장과 가정의 중요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성장과 가정의 중요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정부주도의 소년소녀가장가정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시범 Group Home(공동생활가정)이 운영되어 오다가 2004년 아동복지법의 부분개정으로 아동복지시설의 종류에 포함되었다. 현재 사회복지기관, 종교단체 등을 중심으로 가출아동, 문제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 해체가정아동 및 피학대아동 그리고 정신지체아동들을 위한 Group Home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Alfred Kadushin은 지지적, 보충적, 대리적 서비스 외에 보호적 서비스(Protective Service)를 지지적 서비스와 보충적 서비스 사이에 두고 있으며 이는 주로 학대와 방임으로 부모-자녀사이에 갈등이 있거나 부모의 무지, 미성숙 또는 부모의 기질적 특성으로 부모의 역할이 잠정적으로 기능 할 수 없을 때 부모의 역할을 강화, 지지하거나 부모의 책임을 보충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Ⅲ. 결론
이와 같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요인들과 부모-자녀사이의 상호작용 등 네 개의 요소는 오늘날 아동상담소의 특성을 형성하고 있다. 비록 아동상담소의 중심이 실려 있던 관심은 아동이기는 하였으나 문제 아동 뒤에는 문제부모가 있다는 점에서 부모들도 아동과 같이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가정복지관과 아동상담소 프로그램은 비록 주안점이 부모 또는 아동에게 있다는 것 이외 둘 다 부모-아동 관계에 문제를 가진 가정을 지원하는데 있었기 때문에 집단치료 접근방법을 채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집단을 대상으로 한 접근방법에는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과 가정상담 또는 치료프로그램 즉 가족치료 프로그램이 있다.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은 가족관계 형성을 위한 가족원 집단 토의를 통해 도움을 받게 되는 과정으로 불행한 가족관계를 예방하고 가정생활을 강화시키며 풍요하게 하는 프로그램이다. 부모교실, TV등 언론방송 프로그램을 포함, 부모기능강화교육 등이 있다. 가족치료 또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모와 자녀 관계에 내재한 병리적 문제를 해결, 치료하는데 목적을 두며 가족원 상호작용의 패턴을 자극하며, 직접적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부정적 감정에 대결하게 될 가족원을 보호하며 가족관찰을 통해 가족원 상호간의 새로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참고문헌
공계순, 《아동복지론》, 학지사, 2006.
김성경, 《아동복지론》, 양서원, 2005.
이순형, 《아동복지 이론과 실천》, 학지사, 2006.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5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