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도시공원의 녹지화
2. 도시공원 녹지의 효과
3. 도시공원 녹지화의 필요성
4. 도시공원 녹지화를 위한 방안
Ⅲ. 결론
Ⅱ. 본론
1. 도시공원의 녹지화
2. 도시공원 녹지의 효과
3. 도시공원 녹지화의 필요성
4. 도시공원 녹지화를 위한 방안
Ⅲ. 결론
본문내용
공원으로 나누어지며 생활권공원은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으로 세분된다. 또한 주제공원은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그 밖에 특별시·광역시장 또는 도지사가 정하는 공원으로 다시 세분되어진다. 자연공원은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관리하는 공원이다. 일반적으로자연공원은 한국의 풍경을 대표할 만한 수려한 자연풍경지에 지정하는 공원으로서, 각 공원의 지정과 관리 주체가 누구인지에 따라 국립공원, 도립공원, 군립공원으로 구분된다. 아울러 녹지는 ‘자연경관을 보전하거나 개선하고, 공해와 재해를 방지하여 양호한 도시경관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설치ㆍ관리되는 도시계획시설이다. 우리나라 법에서 규정하는 녹지는 경관녹지, 완충녹지 그리고 연결녹지 등으로 세분된다. 이중 경관녹지와 완충녹지는 주로 불필요한 경관이나 오염원 차단을 위해 띠 모양으로 설치하는 시설로서 시민들의 이용보다는 기능이 더 중요한 시설이다. 반면에 최근에 법으로 규정된 연결녹지는 시민들의 보행이나 자전거 이용은 물론 생물이동통로서의 역할을 도모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연결녹지를 잘 설치하면 기능적인 역할은 물론 가깝게 시민들이 활용도 할 수 있는 유용한 시설인 셈이다. 이와 같은 공원과 녹지는 도시계획시설로서 서로 잘 연결하면 기능적으로 경관적인 효과를 잘 발휘할 수 있다. 도시내 공원과 녹지는 물론 도시내외의 하천이나 호수 같은 수계, 산 등의 자연환경으로 연결하는 도시녹지체계를 잘 수립하는 것이 시대적인 요청인 친환경적인 도시를 만드는 가장 바람직한 방안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조경실무 - 도시경관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우면산 생태공원
생태공원과 근린공원의 정의/비교 및 답사기
울산대공원 3차 사업계획서 입니다!!!
도시브랜드의 가치를 높이는 가로경관 개선 및 공적공간 계획 연구
생태도시
태안 관광기업도시에 대한 분석
일본의 도시계획시설
광역도시계획수립
저탄소 녹색도시 (도시학개론)
[북한산, 북한산 의미, 북한산 환경문제, 북한산 주의사항, 북한산과 북한산 관통도로, 북한...
[경제가치, 서울도시림, 자연자산, 갯벌]경제가치와 서울도시림, 경제가치와 자연자산, 경제...
[도시계획] 베를린과 워싱턴의 특성 및 도시계획
생태공원 (生態公園 / Ecological Park) : 생태공원의 사례와 프로그램 ; 생태공원의 역할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