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탄소 녹색도시 (도시학개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저탄소 녹색도시 (도시학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라인으로 활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나아가 저탄소 녹색도시 시범사업, 제로에너지타운 시범사업도 확대 적용하고
연내 도시재생활성화법 및 도시개발법령도 고쳐 일정규모 이상 도시재생 및 도시개발사업 때 탄소저감계획 수립 및 실천도 의무화할 계획이다.
신도시 개발론이 나올때마다 등장한 수도권 집중화, 환경훼손에 따른 시민단체들의 반발, 사업비 부담문제등적잖은 암초가 도사리고 있지만 사업추진은 해 볼만하다는게 정부안팎의 시각이나 시장은 그렇지 않다.수도권에 들어서는 신도시는 주거.상업 등 개발용지의 면적을 줄이되 층고를 높임으로써 녹지를 최대한 확보한다
우리나라의 신도시 건설이 주택공급을 중심으로 양적 공급에 치중돼 왔다. 앞으로는 환경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압축형 도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토지이용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신도시 계획이 바뀌어야 한다. 신도시 중심지역의 간선급 도로에는 승용차의 접근을 최대한 억제하는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설치돼 대중교통 이용을 유도,신도시에서는 자전거를 대중교통 수단으로 정착시켜 2020년까지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을 10% 수준으로 높히고,보행거리 500m 이내에 공원을 배치하고, 도시기반시설과 공공시설에는 신재생 에너지원을 적용 신도시가 친환경, 자원순환형 도시 구조를 갖추도록 적용된다.
도시는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쓰레기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의 이용을 억제하고 재생 가능한 에너지를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따라서 저탄소 녹색도시의 구현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다. 하루빨리 저탄소 녹색도시라는 옷을 입은 명품도시로 확대되어야 한다.
  • 가격3,3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