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개월~48개월 아동과 직장부모대상으로 신체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려고 합니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4개월~48개월 아동과 직장부모대상으로 신체활동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려고 합니다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 영역
2. 주제 개요
3. 기대 효과
4. 탐색 질문
5. 환경 구성
6. 주제의 전개

본문내용

전히 떠나서는 살 수 없다. 개구리 모습을 갖춘 후(약 1센티미터)에는 몸의 형태는 거의 변하지 않고 허물만 벗으면서 서서히 성장하여 약 3년이 지나야 겨우 어미 개구리가 된다. 그러나 개구리가 일생 동안 몇 번 알을 낳는지, 몇 년쯤이나 사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 전개 활동
♣ 올챙이의 성장 : 올챙이를 잡으러 가요
(1) 활동 목표
올챙이가 사는 환경을 직접 보고, 올챙이를 잡는다.
(2) 활동 자료
올이 촘촘한 그물로 된 뜰채, 큰 비닐 봉지 또는 물통
(3) 사전 준비
올챙이가 어디에서 사는지 유아들과 함께 알아본다.
(4) 주요 질문
올챙이를 어떻게 잡아 올까?
(5) 활동 방법
① 가까운 논이나 연못에 가서 올챙이나 개구리 알을 찾는다.
② 올챙이를 발견하면 뜰채로 뜬다.
③ 비닐 봉지나 물통에 연못 물을 채우고 잡은 올챙이를 넣는다. 개구리 알인 경우에는 물통이나 비닐 봉지를 물 밑에 가라 앉혀서 알이 터지지 않도록 손으로 조심스럽게 건져 내어 물과 함께 넣는다(흙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상호 작용
교사 : 우리가 기를 올챙이는 논이나 연못에서 살고 있단다.
유아 : 올챙이를 연못에서 어떻게 꺼내요?
교사 : 어떻게 꺼내면 좋을까?
유아 : 그물로 잡아요.
교사 : 그래, 좋은 방법이구나. 잡은 올챙이는 어떻게 가져오지?
유아 : 물통에 넣어와요.
교사 : 그래, 물통에 올챙이가 살던 곳의 물을 담고 올챙이를 넣어오자.
(7) 유의점
알은 너무 많으면 썩어 버리기도 하므로 적당한 양만 어항에 넣도록 한다.
(8) 활동의 확장
ⓛ 개구리의 산란에 대하여 공부한다.
② 개구리의 종류에 따라 알을 낳는 시기와 장소가 다르다는 것을 안다.
※ 참고하세요
@개구리의 산란
3월이 되어 산에 따뜻한 바람이 불고 봄비가 땅을 따뜻하게 적시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구멍 속에서 기어나온다. 물가로 가서 밤에 알을 낳는다.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은 그 위에 정자를 뿌린다(체외수정).
@종류에 따른 산란 시기와 알의 형태
1. 송장 개구리 : 2-4월 초 논이나 연못에서 볼 수 있고 큰 알덩어리의 형태이다.
2. 옴 개구리 : 5-7월에 논이나 연못, 늪 등에서 볼 수 있고 작은 알덩어리의 형태이다.
3. 두꺼비 : 2-4월초에 논이나 연못에서 볼 수 있고 알끈의 형태이다.
4. 산청 개구리 : 5월말-7월초에 나무 위에서 볼 수 있고 거품의 형태이다.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76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