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영역
2. 주제 개요
3. 기대 효과
4. 탐색 질문
5. 환경 구성
6. 주제의 전개
2. 주제 개요
3. 기대 효과
4. 탐색 질문
5. 환경 구성
6. 주제의 전개
본문내용
전히 떠나서는 살 수 없다. 개구리 모습을 갖춘 후(약 1센티미터)에는 몸의 형태는 거의 변하지 않고 허물만 벗으면서 서서히 성장하여 약 3년이 지나야 겨우 어미 개구리가 된다. 그러나 개구리가 일생 동안 몇 번 알을 낳는지, 몇 년쯤이나 사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2) 전개 활동
♣ 올챙이의 성장 : 올챙이를 잡으러 가요
(1) 활동 목표
올챙이가 사는 환경을 직접 보고, 올챙이를 잡는다.
(2) 활동 자료
올이 촘촘한 그물로 된 뜰채, 큰 비닐 봉지 또는 물통
(3) 사전 준비
올챙이가 어디에서 사는지 유아들과 함께 알아본다.
(4) 주요 질문
올챙이를 어떻게 잡아 올까?
(5) 활동 방법
① 가까운 논이나 연못에 가서 올챙이나 개구리 알을 찾는다.
② 올챙이를 발견하면 뜰채로 뜬다.
③ 비닐 봉지나 물통에 연못 물을 채우고 잡은 올챙이를 넣는다. 개구리 알인 경우에는 물통이나 비닐 봉지를 물 밑에 가라 앉혀서 알이 터지지 않도록 손으로 조심스럽게 건져 내어 물과 함께 넣는다(흙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상호 작용
교사 : 우리가 기를 올챙이는 논이나 연못에서 살고 있단다.
유아 : 올챙이를 연못에서 어떻게 꺼내요?
교사 : 어떻게 꺼내면 좋을까?
유아 : 그물로 잡아요.
교사 : 그래, 좋은 방법이구나. 잡은 올챙이는 어떻게 가져오지?
유아 : 물통에 넣어와요.
교사 : 그래, 물통에 올챙이가 살던 곳의 물을 담고 올챙이를 넣어오자.
(7) 유의점
알은 너무 많으면 썩어 버리기도 하므로 적당한 양만 어항에 넣도록 한다.
(8) 활동의 확장
ⓛ 개구리의 산란에 대하여 공부한다.
② 개구리의 종류에 따라 알을 낳는 시기와 장소가 다르다는 것을 안다.
※ 참고하세요
@개구리의 산란
3월이 되어 산에 따뜻한 바람이 불고 봄비가 땅을 따뜻하게 적시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구멍 속에서 기어나온다. 물가로 가서 밤에 알을 낳는다.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은 그 위에 정자를 뿌린다(체외수정).
@종류에 따른 산란 시기와 알의 형태
1. 송장 개구리 : 2-4월 초 논이나 연못에서 볼 수 있고 큰 알덩어리의 형태이다.
2. 옴 개구리 : 5-7월에 논이나 연못, 늪 등에서 볼 수 있고 작은 알덩어리의 형태이다.
3. 두꺼비 : 2-4월초에 논이나 연못에서 볼 수 있고 알끈의 형태이다.
4. 산청 개구리 : 5월말-7월초에 나무 위에서 볼 수 있고 거품의 형태이다.
2) 전개 활동
♣ 올챙이의 성장 : 올챙이를 잡으러 가요
(1) 활동 목표
올챙이가 사는 환경을 직접 보고, 올챙이를 잡는다.
(2) 활동 자료
올이 촘촘한 그물로 된 뜰채, 큰 비닐 봉지 또는 물통
(3) 사전 준비
올챙이가 어디에서 사는지 유아들과 함께 알아본다.
(4) 주요 질문
올챙이를 어떻게 잡아 올까?
(5) 활동 방법
① 가까운 논이나 연못에 가서 올챙이나 개구리 알을 찾는다.
② 올챙이를 발견하면 뜰채로 뜬다.
③ 비닐 봉지나 물통에 연못 물을 채우고 잡은 올챙이를 넣는다. 개구리 알인 경우에는 물통이나 비닐 봉지를 물 밑에 가라 앉혀서 알이 터지지 않도록 손으로 조심스럽게 건져 내어 물과 함께 넣는다(흙이나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상호 작용
교사 : 우리가 기를 올챙이는 논이나 연못에서 살고 있단다.
유아 : 올챙이를 연못에서 어떻게 꺼내요?
교사 : 어떻게 꺼내면 좋을까?
유아 : 그물로 잡아요.
교사 : 그래, 좋은 방법이구나. 잡은 올챙이는 어떻게 가져오지?
유아 : 물통에 넣어와요.
교사 : 그래, 물통에 올챙이가 살던 곳의 물을 담고 올챙이를 넣어오자.
(7) 유의점
알은 너무 많으면 썩어 버리기도 하므로 적당한 양만 어항에 넣도록 한다.
(8) 활동의 확장
ⓛ 개구리의 산란에 대하여 공부한다.
② 개구리의 종류에 따라 알을 낳는 시기와 장소가 다르다는 것을 안다.
※ 참고하세요
@개구리의 산란
3월이 되어 산에 따뜻한 바람이 불고 봄비가 땅을 따뜻하게 적시면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 구멍 속에서 기어나온다. 물가로 가서 밤에 알을 낳는다.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은 그 위에 정자를 뿌린다(체외수정).
@종류에 따른 산란 시기와 알의 형태
1. 송장 개구리 : 2-4월 초 논이나 연못에서 볼 수 있고 큰 알덩어리의 형태이다.
2. 옴 개구리 : 5-7월에 논이나 연못, 늪 등에서 볼 수 있고 작은 알덩어리의 형태이다.
3. 두꺼비 : 2-4월초에 논이나 연못에서 볼 수 있고 알끈의 형태이다.
4. 산청 개구리 : 5월말-7월초에 나무 위에서 볼 수 있고 거품의 형태이다.
추천자료
여대생의 체지방과 신체적성과의 상관관계 (비만)
노인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행복감간의 관계
남북한의 유아체육의 비교 연구
체육 스포츠 사회체육에 대하여
[유아 대그룹활동계획] 토끼와 거북이 (만 5세) : 동물의 움직임을 따라해 보아요
국민의 여가활동과 생활체육 참여 실태분석 및 활성화 방안
[신체(인체), 신체(인체) 의미, 신체(인체)와 신체적성, 신체(인체)와 신체상, 신경계, 에너...
고무줄을 이용한 활동_아동음악과 동작, 부분수업계획안
[영아발달 보육] 영아의 신체·운동 발달 - 영아의 신체발달, 영아의 운동능력 발달, 영아의 ...
[교과교육론] 체육 (공통교육과정, 기본교육과정, 이해중심 게임모형, 움직임 수업모형).pptx...
[활동계획서] 2010 남아공 월드컵 세레머니 - 활동명 : 세레머니 | 관련주제 : 2010 남아공 ...
[신체운동과 건강하기] 1. 영유아기 신체운동과 보육교사의 역할 2. 영유아기 건강하기와 보...
[모의수업 활동계획안] [벌이윙윙 모의수업] [손유희모의수업 활동계획안] [만4세 모의수업]
체육과 학습 지도안 - 경쟁활동을 통한 전략 전술 익히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