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유아체육의 비교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의 유아체육의 비교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南․北韓 敎育 및 體育의 理念과 目標
Ⅱ-1. 南․北韓 敎育의 理念과 目標
Ⅱ-2. 南․北韓 體育의 理念과 目標
Ⅲ. 南․北韓 幼兒體育에 관한 敎科內容 比較
Ⅳ. 南․北韓 幼兒體育의 特殊性과 普遍性
Ⅴ. 나가며

본문내용

역 없이 건강생활영역과 표현생활영역에서 지도하는 데 기본적인 감각, 운동기능과 신체조절 능력을 기르는 개인기능 중심 교육으로 교육내용이 구성되어 있는 반면, 북한의 경우, 대근육운동을 위주로 하는 집단체육 활동을 많이 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유아체육은 북한사회의 특수한 정치이념이 많이 반영되어 있다고 하겠다(박재환, 2002:205-206).
Ⅴ. 나가며
지금까지, 남북한 유아체육에 관한 교과내용을 비교해 봄으로써 유아체육의 特殊性과 普遍性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논자는 글을 정리해 나가는 旅情에서 한 가지 의문점을 품게 되었다.
다음 내용을 자세히 들여다보자.
북한 체육의 목표는 신체를 다방면으로 발전시키며 집단주의 정신과 혁명적 동지애, 굳센 의지, 규율 준수에 대한 자극성과 책임성 등 고상한 사상과 공산주의 도덕적 품성을 배양함으로써 국방력을 강화하고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을 성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며, 사회주의 교육학의 기본원리에 기초하여 자라나는 새 세대들을 공산주의적 인간, 민족간부를 양성한다(김일성, 1986).
남한 체육의 목표는 다양한 신체활동을 통하여 규율 준수, 굳센 의지, 사회성, 협동심, 책임성 등 고상한 사상과 민주주의 도덕적 품성을 배양함으로써 개인의 잠재능력을 개발하고 민주주의 사회 건설을 성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이바지하기 위한 것이며, 민주주의 교육학의 기본원리에 기초하여 자라나는 새 세대들을 민주주의적 인간,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으로 양성한다.
북한 체육의 목표에 남한 체육의 이념과 사상을 적응시켜 본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비유를 아무런 생각 없이 흘려 버릴 일만은 아닐 것이다. 실제로 현행,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살펴보면, ‘민주시민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이라고 분명히 명시되어 있다.
북한은 공산주의와 사회주의의 건설이라는 목적달성을 위해 신체활동을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남한은 어떠한가? 남한 또한 이러한 수단-목적 관계의 논리에서 체육이 자유로울 수 있을까? 물론,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1998)에서는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이라고 명시하며 ‘민주사회 공동체 발전에 공헌하는 인간상’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남한 체육의 논리 또한 민주사회 건설이라는 목적달성을 위해 신체활동이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는 여지는 여전히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그 무엇’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고 언제나 ‘그 것 자체’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말의 논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왜냐하면, 우리가 아무런 의식 없이 사용하는 언어가 오히려 우리 인간의식을 지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수단-목적 관계에 따른 논리가 아닌 신체활동 그 자체의 논리가 명문화 될 때, 체육은 그 자체활동으로 정당화될 수 있을 것이다.
공산주의나 민주주의 사회의 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지 않은 체육 그 자체의 순수한 목적에 관한 논리가 남북한 사회에서 개발되고 통용되기를 끝으로 기대해 본다.
참고문헌
교육부(1997),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8),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8),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극동문제연구소(1974), 북한전서 중권.
김예숙(1991), 국민학교 무용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김일성(1986), 김일성저작선집(3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대한체육회(1988), 북한체육 실상, 국제스포츠정보자료집.
문교부(1986), 초,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대한교과서.
박재규(1997), 북한이해의 길라잡이, 서울: 법문사.
박재환(2002), 북한의 유치원 교육, 서울: 양서원.
북한교육위원회 보통교육부(1984), 『과외활동요강』.
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1986), 김일성 저작선집 32권,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안병환(2000), 남북한 학교 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육완순, 이희선 공저(1992), 무용교육과정, 서울: 금광출판사.
이선경(2001), 남북한 무용교육의 비교, 숙명여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온죽(1993), 북한 사회의 체제와 생활, 서울: 법문사.
최영표 외(1988), 북한과 중국의 교육제도 비교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황순각(2003), 유아신체활동, 서울: 양서원.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