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 변환의 목적과 기본 신호 및 종류에 대해 설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호 변환의 목적과 기본 신호 및 종류에 대해 설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호 변환의 목적
2. 기본 신호 및 종류에 대해 설명

본문내용

특성을 가지므로 음성과 신호정보의 상호간섭 가능성이 존재한다. 특히 통화중에는 신호 전송이 불가능하므로 ISDN에 이용되는 새로운 부가 서비스의 구현이 어렵다. 대표적인 CAS방식으로는 No.5와 R1 MFC 및 R2 MFC 신호방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R2 MFC 신호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 공통선 신호(CCS) 방식
CCS(Common Channel Signalling)방식은 통화회선과 신호회선을 분리시키고 신호는 국 간에 설치된 별도의 고속회선을 통해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종래의 통화로 신호방식보다 각종 신호를 별도의 전용 신호링크를 통해 집중처리하므로써 신호의 다양화, 신호처리 시간의 단축, 호접속 및 응답 지연시간 단축, 오류검출 및 정정기능에 의한 신뢰성 향상, 망 관리 및 유지보수 신호의 송수신으로 망 관리의 효율화, 특정신호음 송출에 의한 전송로 시험으로 통화품질의 향상, 소프트웨어에 의한 신호변경 및 추가로 융통성 향상, 중계선 점유시간 단축에 의한 중계선 효율의 향상 등의 장점이 있다. ITU-T에서 규정한 공통선 신호방식으로는 No.6 및 No.7신호방식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No.7 신호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1.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18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