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로저스의 현상학적 이론
본문내용
불가능한 일
- 유기체(the organism)와 자기(the self). 유기체는 실제로 세상을 경험하는 실지의 형상물이다. 자기와 유기체간의 일치의 정도로 성숙과 심리적인 안정을 결정.
-유기체는 단 하나의 동기부여욕구, 즉 자기실현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유기체의 자기를 유지하고 고양하려는 욕구와 연결되는 두 가지 중요한 욕구는 다름 사람으로부터의 긍정적 관심의 욕구와 자기관심에 대한 욕구이다.
주요개념
1) 현상학적 장
-현상학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 감정, 그리고 세계와 자기 자신에 대한 개인적 견해와 개인적 개념을 연구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심리학은 주로 우리가 왜 제각기 경험을 하고 그것을 세계와 연관시키는가를 밝히려 한다.
-현상학적 장이란 경험적 세계 또는 주관적 경험으로도 불리는 개념으로 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로저스는 동일한 현상이라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경험하기 때문에 이 세상에는 개인적 현실, 즉 현상학적 장만이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 현재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니라 과거에 대한 각 개인의 현재의 해석이라고 할 정도로 현재의 현상학적 장을 중시
2)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있는 그대로의 인정과 지지.
-무조건의 긍정적 관심’은 ‘은총(grace)' 혹은 과분한 은혜(unmerited favour)라는 신학적 개념과 공통점이 있음
의학모델이 아닌 성장모델의 구축, 비지시적 인간중심의 접근 치료법 개발, 치료과정의 면담을 녹음함으로 심리치료의 신비의 베일을 벗긴 점은 큰 기여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사회복지 실천에 로저스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유용하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경험과 자극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이 자신의 실제를 구성하고 있다는 로저스의 개념은 사회복지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처한 곳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원리와 일치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세계관과 일치하고, 클라이언트의 주관으로 문제를 평가하는 것을 듣고, 클라이언트 스스로 자신을 평가하는 것을 인정함으로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과 진심어린 ‘감정이입’을 보인다.
둘째, 사회복지의 목표인 ‘심리사회적 기능의 향상’도 로저스의 ‘실현성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로저스의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감정이입’ 클라이언트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준거 틀’과 같은 개념들은 모두 함께 특히 빈곤층과 소수집단과 일할 때 유용한 개념이다.
셋째, 인간중심 접근법은 카운슬링에서, 인간관계 훈련 상황에서, 소집단 상황, 단체를 바꾸려는 계획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인간중심 접근법은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상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특히 목회상담과 학교상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어린이들과의 놀이치료, 언어치료, 결혼과 가족상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소집단에 적용할 경우는 개인적 성장집단(personal growth groups) 혹은 참만남집단(encounter groups) 그리고 주어진 상황의 긴장을 완화하려는 목표를 가진 집단에 적용할 수 있다.
- 유기체(the organism)와 자기(the self). 유기체는 실제로 세상을 경험하는 실지의 형상물이다. 자기와 유기체간의 일치의 정도로 성숙과 심리적인 안정을 결정.
-유기체는 단 하나의 동기부여욕구, 즉 자기실현 욕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유기체의 자기를 유지하고 고양하려는 욕구와 연결되는 두 가지 중요한 욕구는 다름 사람으로부터의 긍정적 관심의 욕구와 자기관심에 대한 욕구이다.
주요개념
1) 현상학적 장
-현상학은 개인의 주관적 경험, 감정, 그리고 세계와 자기 자신에 대한 개인적 견해와 개인적 개념을 연구하는 것이다. 현상학적 심리학은 주로 우리가 왜 제각기 경험을 하고 그것을 세계와 연관시키는가를 밝히려 한다.
-현상학적 장이란 경험적 세계 또는 주관적 경험으로도 불리는 개념으로 특정 순간에 개인이 지각하고 경험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로저스는 동일한 현상이라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경험하기 때문에 이 세상에는 개인적 현실, 즉 현상학적 장만이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 현재 행동을 결정하는 것은 과거 그 자체가 아니라 과거에 대한 각 개인의 현재의 해석이라고 할 정도로 현재의 현상학적 장을 중시
2)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있는 그대로의 인정과 지지.
-무조건의 긍정적 관심’은 ‘은총(grace)' 혹은 과분한 은혜(unmerited favour)라는 신학적 개념과 공통점이 있음
의학모델이 아닌 성장모델의 구축, 비지시적 인간중심의 접근 치료법 개발, 치료과정의 면담을 녹음함으로 심리치료의 신비의 베일을 벗긴 점은 큰 기여
사회복지실천에의 적용
사회복지 실천에 로저스의 이론은 다음과 같은 면에서 유용하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경험과 자극에 대한 클라이언트의 인식이 자신의 실제를 구성하고 있다는 로저스의 개념은 사회복지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처한 곳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원리와 일치한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세계관과 일치하고, 클라이언트의 주관으로 문제를 평가하는 것을 듣고, 클라이언트 스스로 자신을 평가하는 것을 인정함으로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과 진심어린 ‘감정이입’을 보인다.
둘째, 사회복지의 목표인 ‘심리사회적 기능의 향상’도 로저스의 ‘실현성향’과 크게 다르지 않다. 로저스의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감정이입’ 클라이언트의 고유성을 인정하는 ‘준거 틀’과 같은 개념들은 모두 함께 특히 빈곤층과 소수집단과 일할 때 유용한 개념이다.
셋째, 인간중심 접근법은 카운슬링에서, 인간관계 훈련 상황에서, 소집단 상황, 단체를 바꾸려는 계획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인간중심 접근법은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을 상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특히 목회상담과 학교상담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어린이들과의 놀이치료, 언어치료, 결혼과 가족상담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소집단에 적용할 경우는 개인적 성장집단(personal growth groups) 혹은 참만남집단(encounter groups) 그리고 주어진 상황의 긴장을 완화하려는 목표를 가진 집단에 적용할 수 있다.
추천자료
프로이드 성격 이론-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프로이드 & 에릭슨 이론 비교 분석 및 각 이론의 사례제시분석
머레이, 켈리, 반두라, 켈리 등 성격이론 정리
인본주의 이론 (Humanistic Psychology) & 로저스의 현상학 (phenomenology)
심리학자 칼 로저스의 성장배경과 이론 및 사상
로즈마리 파시 Rosemarie Rizzo Parse ‘Human becoming’.ppt
정신분석, 행동주의, 인본주의 이론의 인간관을 비교하고 본인의 인간관을 서술.
인간중심상담이론에 대해서
[사회복지실천론] 클라이언트 중심 모델 - 클라이언트, 개요, 이론적 배경, 주요 실천개념, ...
성격이론 하나를 선택한 후 주요 개념을 정리하고 자신의 인생을 생애주기별로 성격이론에 따...
(인간행동과사회환경 E형) 행동발달에 대한 로저스(C. Rogers)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
[2018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을 비교설명...
행동주의 학습이론과 인지주의 학습이론, 인본주의 학습이론을 비교하여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