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아기(출생~2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2. 유아기(2 ~ 4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3. 학동기(4 ~ 7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참고문헌
2. 유아기(2 ~ 4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3. 학동기(4 ~ 7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은 두뇌 발달에 효과적입니다. 시각을 자극할 수 있는 알록달록한 컬러를 많이 접하게 해주세요. 컬러풀한 자동차는 금세 눈에 띕니다. "빨간색 자동차가 몇 대 지나가나 세어볼까?"하며 세도록 합니다.
3. 학동기(4 ~ 7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이 시기에는 사고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개념적 조작능력이 충분하지 못해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세계에 한해서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전조작기의 특징은 상징적 황동의 증가, 직관적 판단, 자아중심성, 물활론적 사고, 도덕적 실재론, 꿈의 실재론 등이다.
1) 상징적 활동의 증가
이 시기의 아동놀이에는 비언어적 상징행동이 많이 나타난다. 베개를 아기처럼 업고 다니기도 하고 베개를 안아 도닥거리면서 아기를 재우는 시늉을 하기도 한다. 막대기를 들고 총쏘는 시늉을 하기도 하고 돌멩이나 나뭇잎으로 소꿉놀이도 한다. 감각운동기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작되는 가상놀이는 몇 동안 지속된다. 상징의 근원은 이 시기에 급속도로 발달하는 언어 때문이다. 언어는 아동의 시야를 넓혀준다. 아동은 언어를 통해서 과거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사건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으나 논리성은 결여되어 있다.
2) 직관적 판단
양의 보존개념에 대한 피아제의 실험은 유명하다. 두 개의 컵에 같은 양의 물을 넣은 다음 두 번째 컵의 물을 밑이 넓고 높이가 낮은 컵으로 옮겨 붓는다. 첫 번째 컵의 물과 두 번째 컵의 물의 양이 같은지를 물어보면 보존개념을 이해하지 못한다. 높이와 넓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고려하기 시작하지만 두 차원을 동시에 추리하지 못하며 한 차원에서의 변화가 다른 차원에서의 변화를 상쇄한다는 것을 모른다. 수의 보존개념에 관한 실험에서, 컵을 한 줄로 세워 놓고 한 무더기의 달걀을 쌓아 두고는 컵에 담을 수 있는 만큼의 달걀을 집어내라고 했다. 이 시기의 아동은 컵과 달걀을 일대일 대응하지 못하거나 하더라도 보존개념을 이해하지는 못했다. 유목화실험에서 갈색 구슬이 18개이고 흰색 구슬이 2개인 20개의 나무구슬을 아동에게 제시하였다. 갈색구슬이 더 많은지 나무구슬이 더 많은지를 물었을 때 유목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다.
3) 자아중심성
아동의 공간조망에 관한 새 가지 산모형 과제. 테이블에 앉은 곳에 따라서 다르게 보이는 입체 산 모형을 올려놓고 아동과 인형을 다른 자리에 앉게 한 다음, 아동에게 인형의 자리에서 어떻게 보일지를 묻는다. 전조작기 아동은 언제나 자기에게 보이는 조망만을 선택한다. 이 시기의 아동은 자신 이외의 다른 관점을 추측할 수 없다. 자아중심성은 자신의 조망과 타인의 조망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중심성은 언어사용에서도 나타난다. 이 시기의 아동은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를 사용한다기 보다는 독백과 같은 자기말만 한다(영희:우리 엄마가 이 구두 사줬다. 이쁘지? 순희: 저게 뭐야? 왜 움직이지 않지?).
참고문헌
이정모외, 인지 심리학, 서울 : 학지사, 2002
최옥채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 양서원, 2005
3. 학동기(4 ~ 7세)의 놀이행동 특성 및 유형
이 시기에는 사고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개념적 조작능력이 충분하지 못해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세계에 한해서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전조작기의 특징은 상징적 황동의 증가, 직관적 판단, 자아중심성, 물활론적 사고, 도덕적 실재론, 꿈의 실재론 등이다.
1) 상징적 활동의 증가
이 시기의 아동놀이에는 비언어적 상징행동이 많이 나타난다. 베개를 아기처럼 업고 다니기도 하고 베개를 안아 도닥거리면서 아기를 재우는 시늉을 하기도 한다. 막대기를 들고 총쏘는 시늉을 하기도 하고 돌멩이나 나뭇잎으로 소꿉놀이도 한다. 감각운동기의 마지막 단계에서 시작되는 가상놀이는 몇 동안 지속된다. 상징의 근원은 이 시기에 급속도로 발달하는 언어 때문이다. 언어는 아동의 시야를 넓혀준다. 아동은 언어를 통해서 과거의 경험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사건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으나 논리성은 결여되어 있다.
2) 직관적 판단
양의 보존개념에 대한 피아제의 실험은 유명하다. 두 개의 컵에 같은 양의 물을 넣은 다음 두 번째 컵의 물을 밑이 넓고 높이가 낮은 컵으로 옮겨 붓는다. 첫 번째 컵의 물과 두 번째 컵의 물의 양이 같은지를 물어보면 보존개념을 이해하지 못한다. 높이와 넓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고려하기 시작하지만 두 차원을 동시에 추리하지 못하며 한 차원에서의 변화가 다른 차원에서의 변화를 상쇄한다는 것을 모른다. 수의 보존개념에 관한 실험에서, 컵을 한 줄로 세워 놓고 한 무더기의 달걀을 쌓아 두고는 컵에 담을 수 있는 만큼의 달걀을 집어내라고 했다. 이 시기의 아동은 컵과 달걀을 일대일 대응하지 못하거나 하더라도 보존개념을 이해하지는 못했다. 유목화실험에서 갈색 구슬이 18개이고 흰색 구슬이 2개인 20개의 나무구슬을 아동에게 제시하였다. 갈색구슬이 더 많은지 나무구슬이 더 많은지를 물었을 때 유목개념을 이해하지 못했다.
3) 자아중심성
아동의 공간조망에 관한 새 가지 산모형 과제. 테이블에 앉은 곳에 따라서 다르게 보이는 입체 산 모형을 올려놓고 아동과 인형을 다른 자리에 앉게 한 다음, 아동에게 인형의 자리에서 어떻게 보일지를 묻는다. 전조작기 아동은 언제나 자기에게 보이는 조망만을 선택한다. 이 시기의 아동은 자신 이외의 다른 관점을 추측할 수 없다. 자아중심성은 자신의 조망과 타인의 조망을 구별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아중심성은 언어사용에서도 나타난다. 이 시기의 아동은 의사소통을 위해 언어를 사용한다기 보다는 독백과 같은 자기말만 한다(영희:우리 엄마가 이 구두 사줬다. 이쁘지? 순희: 저게 뭐야? 왜 움직이지 않지?).
참고문헌
이정모외, 인지 심리학, 서울 : 학지사, 2002
최옥채 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 양서원, 2005
추천자료
언어장애아동 유형과 치료
아동발달이론과 아동발달의 특성에 관한 고찰
2007년 청소년 비행의 현황과 원인 및 해결방안
폭력범죄에 대한 실태 및 개선 방향
아동중심 놀이치료
수학과교육(수학교육) 문제해결학습과 수준별학습, 수학과교육(수학교육) 수개념형성학습과 ...
유아 과학교육의 목표와 중요성, 유아 과학교육의 환경조성, 유아 과학교육의 교수학습원리, ...
유아교육 개론 요약 (CHAPTER 01 ~ 09)
[보건] 자폐증에 관한 정의 및 자폐아와 사회와의 관계, 개입 프로그램 등
피학대경험이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
[유아교육] 유아의 발달 정도와 발달단계에 적합한 동작교육 (유아동작지도방법, 유아의 지각...
[테마파크]-테마파크의 특성,에버랜드의 서비스 마케팅,롯데월드의 캐릭터활용,롯데월드, 에...
(아동안전관리) 아동안전관리, 개념, 필요성, 생활안전관리, 아동생활안전관리, 아동학대, 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