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갑오경장
2. 개혁의 기간과 내용
3. 갑오경장 이전의 경찰
4. 갑오경장이 한국경찰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2. 개혁의 기간과 내용
3. 갑오경장 이전의 경찰
4. 갑오경장이 한국경찰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본문내용
또하나는 군부에서 문관체제로 전환된 점이다. 서울의 경찰은 내부에 직속, 내무대신의 감독하에 경무과, 서무과, 신문과를 두어 서울의 경찰 소방업무를 관장하고 서울 내의 경찰서, 감옥서, 경무학교를 통할하였다.
1900년 광무 4년 6월 12일 경부관제의 선포로 경찰행정이 내부에서 독립, 내부와 동등한 경부가 설치되어 경부대신이 전국 경찰업무를 관장하고 경찰사를 지휘 감독하였다. 그러나 신설된 경부는 창설된지 1년여에 불과한 1902년 2월에 폐지되고 경찰관제는 다시 1900년 6월 이전으로 복귀되었다. 1907년 7월 27일 경시청관제가 공포됨으로써 경시청이 설치되었으며, 산하의 경무서는 경찰서로, 경무분서는 경찰분서로 개편되었고, 지방은 경찰부 경무서를 폐지하고 경찰부를 두었으며, 산하의 경무서와 그 분서 대신에 경찰서를 두어 신제도를 채용하였다. 서울의 경시청에는 경시총감을 두고, 내부대신의 지휘감독을 받아 경찰업무를 수행함은 경무청시대의 경찰사와 다를 바 없었으나, 감옥업무가 분리 제외되고 황실의 경비와 위생업무가 첨가되었으며 지방의 경찰부에는 경시를 부장으로 하여 경찰, 위생, 민, 이민에 관한 업무를 장리케 하였다. 1910년 6월 24일 한국의 경찰사무 위탁에 관한 각서가 조인되어 한국경찰제도를 완전히 개선하고 한국재정의 기초를 공고히 한다는 미명아래 한일 합방의 준비공작으로 한국경찰업무를 일본에게 위탁하게 되었다. 통감부 경찰은 즉, 헌병경찰은 2개월도 계속 되지 못하여 동년 8월 22일에 한일합방이 강화될 때 침략 경찰이 역할을 다하더니 8월 29일 한일합방 선포와 함께 없어지게 되었다.
1900년 광무 4년 6월 12일 경부관제의 선포로 경찰행정이 내부에서 독립, 내부와 동등한 경부가 설치되어 경부대신이 전국 경찰업무를 관장하고 경찰사를 지휘 감독하였다. 그러나 신설된 경부는 창설된지 1년여에 불과한 1902년 2월에 폐지되고 경찰관제는 다시 1900년 6월 이전으로 복귀되었다. 1907년 7월 27일 경시청관제가 공포됨으로써 경시청이 설치되었으며, 산하의 경무서는 경찰서로, 경무분서는 경찰분서로 개편되었고, 지방은 경찰부 경무서를 폐지하고 경찰부를 두었으며, 산하의 경무서와 그 분서 대신에 경찰서를 두어 신제도를 채용하였다. 서울의 경시청에는 경시총감을 두고, 내부대신의 지휘감독을 받아 경찰업무를 수행함은 경무청시대의 경찰사와 다를 바 없었으나, 감옥업무가 분리 제외되고 황실의 경비와 위생업무가 첨가되었으며 지방의 경찰부에는 경시를 부장으로 하여 경찰, 위생, 민, 이민에 관한 업무를 장리케 하였다. 1910년 6월 24일 한국의 경찰사무 위탁에 관한 각서가 조인되어 한국경찰제도를 완전히 개선하고 한국재정의 기초를 공고히 한다는 미명아래 한일 합방의 준비공작으로 한국경찰업무를 일본에게 위탁하게 되었다. 통감부 경찰은 즉, 헌병경찰은 2개월도 계속 되지 못하여 동년 8월 22일에 한일합방이 강화될 때 침략 경찰이 역할을 다하더니 8월 29일 한일합방 선포와 함께 없어지게 되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