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광우병의 과학적 원인
2. 원인의 사회적 요소
참고문헌
2. 원인의 사회적 요소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석했다. 즉 침투 당시 프리온은 우리 몸에서 만들어낸 단백질처럼 면역계가 눈치채지 못할 정도로 교묘하게 위장한 구조를 갖고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마치 일정한 온도에서 특정한 모양을 갖추는 형상기억합금처럼 뇌신경에 독성을 미치는 구조로 변한다는 것이다. 프리온이 일으키는 초기 뇌신경 손상은 복잡한 경로를 통해 화학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고 이것이 뇌에 커다란 구멍을 뚫어놓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프루시너 교수 역시 이를 규명한 업적으로 9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프리온이 생물이 아닌 단백질 입자란 점은 인류를 위해 불행한 일이다. 항바이러스제제 등 지금까지 인류가 개발한 숱하게 많은 약제들이 모두 무용지물이기 때문이다. 99
참고문헌
장은성, 죽음의 단백질 프리온, 광우병의 정체, 2008
참고문헌
장은성, 죽음의 단백질 프리온, 광우병의 정체, 200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