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산업발전 종합대책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우산업현황 및 전망
1. 수급 및 사육현황
2. 한우산업전망
3. 현행 추진시책 및 성과

Ⅱ. 종합대책
1. 한우번식기반 확보
2. 한우개량 촉진
3. 생산성향상
4. 지역중심의 자율적인 한우사업추진 지원
5. 유통선진화 및 소비기반확충
6. 제도개선

Ⅲ. 2010년 한우산업의 모습

본문내용

규격출하를 위한 Box Meat 진공포장 자재비 및 관련시설, 장비구입 자금 지원(1,090백만원)
나. 도소매단계 유통개선
□ 한우고기전문판매점 설치확대 등 쇠고기의 시장차별화
. 한우고기 전문판매점, 브랜드가맹점, 식육판매 모범업소 등 육성
- 한우고기 판매와 음식점을 병설하여 한우고기소비기반 확대
. 통합농협의 축산물 유통기능 활성화하여 축산물유통의 선도적 역할과 민간유통업체에 대한 견제기능 담당
- 3,000여곳에 달하는 판매점에 한우전문판매코너 설치
- 지역조합, 지역브랜드 등과 연계하여 계통출하 활성화 및 브랜드업체에 안정적인 판로 제공
□ 소규모정육점을 새로운 형태의 전문화, 현대화된 판매점으로 육성
. 양념육 등 다양한 식육가공품까지 제조·판매하는 종합매장화
. 한우고기 비인기부위(앞다리, 우둔 등)를 이용한 다양한 식육가공품을 생산 판매
□ 쇠고기 유통 투명성 제고
. 쇠고기판매기록 유지의무 강화 및 거래식육의 표준화·규격화 및 바코드 시범도입 추진
다. 한우고기 소비확대
□ 건전한 쇠고기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전략적·체계적 홍보실시
. 쇠고기 등급판매제, 품종별·부위별점 원산지별 구분판매제 등 소비자에게 올바른 쇠고기 선택할 수 있도록 홍보
- 새로운 요리법, 안전성 및 정서적 친근감 등도 종합 홍보
- TV, 인터넷, Character개발, 로고송 제작 등 다양한 소비계층에 대해 계층별 효과적인 홍보전략 채택
. 한우협회를 중심으로 한우자조금사업에 의한 한우고기 소비홍보 추진
. 요식업중앙회, 영양사협회에 대한 한우요리 개발·홍보지원
- 식품개발연구원, 식육처리센터 등과 연계, 콘텐츠개발 지원
- 요리개발 및 한우요리 경연대회 개최 등 지원(200백만원)
- 전문음식점 등에 대해 개발된 요리법 보급으로 새로운 수요 창출
□ 한우경진대회, 한우고기 브랜드전 등 한우행사 개최
. 『우리축산물브랜드전』을 매년 개최(2001년도 11.23∼26)하고 한우고기 브랜드 판촉
. 고급육생산품평회와 한우경진대회를 생산자중심에서 소비자와 함께하는 행사로 개최
라. 수입생우의 사후관리제도 보완
. 생우수입시 원산지문제, 유통경로 추적 등을 위한 법적 근거마련 (대외무역관리규정에 원산지 근거규정 신설 2000.10)
. 생우 수입으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사전에 방지하고 농가 등에 정확한 정보제공을 위해 "수입생우사후관리요령" 마련
- 수입생우는 낙인표시, 귀표부착 등을 통하여 원산지 식별
- 생우 수입에서 사육·도축·가공·유통 단계별로 철저하게 확인하고 식육판매점에서 표지판에 생우수출국을 함께 표시(축산물가공처리법 시행규칙 개정)
6. 한우관련 제도개선
□ 축산관련 정보·자료 종합 조정기관 지정
. 현재 각 기관·단체별로 각각 생산·수집·정리되고 있는 축산관련 통계정보 자료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하는 체계 구축
- 분야별·단계별 조사대상항목 및 조사기관 지정
· 농림부, 농관원, 농진청 축산기술연구소, 농협중앙회, 농경연, 축산물등급판정소 등 관련기관간 협의회 구성
- 지식관리시스템(KMS)과 연계하여 체계적으로 추진
※ 일본의 경우 농축산업진흥사업단이 축산관련정보를 종합적으로 수집·분석 배포하는 기능 수행
. 외국의 학자나 전문가를 조사위원으로 위촉하여 정기적으로 해외축산동향 조사
. 종합조정기관 지정, 새로운 축산관련 조사항목 선정·개발 등을 위한 연구용역 실시
□ 한·일간 육우산업 기술교류
. 관계전문가, 생산농가 등 교류 및 연수 제도화
. 국제정보수집 교류
□ 농협 지역본부의 축산조직 기능강화
. 효과적인 한우사업 추진을 위해 농협중앙회 지역본부의 축산팀에 축산전문인력을 우선 배치하여 축산사업 지도 및 컨설팅기능 강화
. 향후 업무량을 감안하여 축산부로 확대 검토
Ⅲ. 2010년 한우산업의 모습
□ 농가는 가격이나 판로확보에 대한 불안감없이 생산성향상 및 품질고급화에 주력
. 번식농가는 시·군단위 생산자단체를 중심으로 조직화 및 체계적 생산
- 송아지생산시기 조절, 사료 및 사양관리 통일
. 비육농가는 브랜드를 중심으로 생산 및 출하조절
- 송아지 입식시기 및 비육우 출하조절, 사양관리 통일
□ 지역별 개량체계 구축 및 우수보증씨수소 선발·보급으로 브랜드별 차별화된 한우고기 공급
. 출하된 소의 도체성적이 번식농가까지 환류되어 우수암소 차별화
. 전두수 인공수정 및 거세실시로 품질향상
□ 내실있는 한우브랜드가 수입육과 완전차별화된 한우고기로 국내 쇠고기시장을 주도하고 다양한 계층의 소비수요 충족
. 브랜드 참여두수가 전체 사육두수의 50% 수준으로 자율적인 출하 및 수급조절기능을 갖추고 시장장악력 증대
. 브랜드주체 중심의 소비홍보활동 실시로 쇠고기시장 선도
□ 브랜드와 LPC 등 우수 도축·가공업체가 연계하여 한우고기의 안전성제고, 냉장부분육 유통기반 확립
. 현대화·규모화된 소매판매시설에서 원산지, 등급, 부위 및 신선도에 따른 판매로 소비자 신뢰도 향상
□ 정부, 지자체, 연구소, 생산자단체 등이 연계하여 체계적이고 일관된 지원·지도실시
. 시·군단계 지자체, 조합 및 지도기관의 전문 컨설턴트가 선도농가와 협력하여 소규모 부업농가에 대한 기술·경영지도
. 시·도 및 중앙단위에 관련기관·단체 등의 전문가로 컨설팅단을 구성하여 일선 한우사업추진의 종합적인 지원실시
[ 참 고 자 료 ]
1. 한우산업발전 지표
□ 수급측면
구 분
2000
2005
2010
. 한(육)우 사육두수(천두)
. 쇠 고 기 소 비 량(천톤)
- 국 내 산 쇠 고 기
. 1 인 당 소 비 량(㎏)
. 자 급 율(%)
1,590
402
212
8.5
52.7
1,970
476
151
9.7
32
2,250
536
195
10.6
36
□ 생산측면
구 분
현재
2005
2010
거세
수소
24개월령체중(㎏)
육질1등급비율(%)
거 세 율 (%)
550
52
11
585
66
60
610
80
95


번식간격 (개월)
인공수정율 (%)
13.3
69
12.8
90
12.0
95
경 영 비 절 감 지 수
(번 식 우)
100
90
80
2. 투융자 규모
□ 2010년까지 2조 4,259억원 투자
. 기존사업 : 1조 2,114억원
. 신규사업 : 1조 2,145억원
  • 가격3,3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2.02.25
  • 저작시기20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15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