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내용 타당도 (content validity)
2. 준거관련 타당도 (준거 타당도criterion validity)
3. 구인 타당도(구성개념 타당도, 구념타당도) (construct validity)
참고문헌
2. 준거관련 타당도 (준거 타당도criterion validity)
3. 구인 타당도(구성개념 타당도, 구념타당도) (construct validity)
참고문헌
본문내용
협한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구념을 연구에서 빠뜨림으로 아시아계 내담자들이 지시적 상담자를 선호하는지를 연구한 경우가 많다. 그런데 상담성과를 연구하지 않은 상담자 선호만의 연구는 중요한 변인을 빠뜨린 연구이다.
- 이해 타당도 : 특정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예. 창조력, 문제를 푸는 능력, 판단력
- 집중타당도 :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가지 방법을 개발하고 측정결과 얻어진 결과들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함.
- 판별타당도 :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했을 때 얻어진 측정치 간에는 상관관계가 낮아야 함.
99
참고문헌
김윤옥 외 공저(1996).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서울: 문음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 이해 타당도 : 특정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예. 창조력, 문제를 푸는 능력, 판단력
- 집중타당도 :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서로 다른 두가지 방법을 개발하고 측정결과 얻어진 결과들 간에 높은 상관관계가 존재함.
- 판별타당도 : 서로 다른 개념을 측정했을 때 얻어진 측정치 간에는 상관관계가 낮아야 함.
99
참고문헌
김윤옥 외 공저(1996). 교육연구를 위한 질적 연구방법과 설계, 서울: 문음사.
조용환(1999).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