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뉴런이란?
2. 뉴런의 정보전달과정
3. 뉴런의 종류 - 절전뉴런과 절후뉴런
4. 뉴런 개념의 한계
2. 뉴런의 정보전달과정
3. 뉴런의 종류 - 절전뉴런과 절후뉴런
4. 뉴런 개념의 한계
본문내용
수 없다는 의견도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첫 번째 이유로, 수상돌기와 축색돌기가 화학 물질이 아닌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것이 중추신경계에서 많이 관찰되었다. 이는 뉴런이 각각 떨어져 있는 단위가 아닌,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단위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두 번째로, 수상돌기도 축색돌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무조건 수상돌기가 입력이며 축색돌기가 출력이라는 개념이 무너졌다는 점이다. 세 번째로, 글리아세포의 발견이다. 글리아세포는 뉴런과 함께 신경계를 구성하는 또 하나의 세포로서 미엘린수초를 만드는 슈반세포가 여기에 속한다. 근래에는 글리아세포가 뉴런보다 더 신경계 구성에 중요할 수 있다는 가설도 등장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신경계 형성에 대한 개념의 변화이다. 과거에는 신경계가 한 번 형성되면 변하지 않으며 특히 인간의 두뇌에서는 뉴런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1990년대에 신경줄기세포가 뇌에서 발견되며 성인에게서도 신경세포의 증가가 계속 나타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이유들 때문에 현재는 뉴런이 신경계에서 담당하는 역할에 대하여 더욱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뉴런의 확대 촬영 사진-
-뉴런의 확대 촬영 사진-
추천자료
개구리 해부
신체생리학적 모델(장애아)
인공지능의 응용에 관한 고찰
척수손상의 이해와 의료사회복지적 개입
정상아와 뇌성마비아의 신경계 성숙
제2장 인지발달과 언어
마인드맵의 의미, 마인드맵학습(마인드맵수업) 선수학습, 마인드맵학습(마인드맵수업) 실제, ...
[성인간호학] 척수손상 (SPINAL CORD INJURY) 케이스 스터디
활성함수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Activation function)
뇌구조, 기능 및 명칭
[신체]신체(인체)와 다량원소, 호르몬, 신체(인체)와 뇌하수체, 신체(인체)와 수분, 신체(인...
항우울제,항불안제,기분안정제 약물치료와 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