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여자는 왜 사랑을 하면 예뻐질까?
2. 왜 의심하면 더욱 수상해 보일까?
3. 잘한다고 하면 더 잘한다
4.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
5. 사람은 자기를 칭찬하는 자를 좋아한다.
6. 왜 반대로 행동할까?
2. 왜 의심하면 더욱 수상해 보일까?
3. 잘한다고 하면 더 잘한다
4. 생각을 바꾸면 세상이 달라진다
5. 사람은 자기를 칭찬하는 자를 좋아한다.
6. 왜 반대로 행동할까?
본문내용
할 때 상대방의 자존심에 결정적인 타격을 주게 되면 나중에 칭찬을 한다고 해도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수습할 수 없을 정도로 허를 찌르거나 치명적으로 모욕을 안겨주는 비난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 너무 가혹한 비난 다음에 주어지는 칭찬은 단지 비난을 무마하려는 인사치레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요령이 없어서 오해를 사는 경우가 종종 있게 마련이다. 비난만 할 생각이 아니었는데도 상대방이 내가 한 말로 인해 상처를 받고, 돌이킬 수 없는 사이가 되어버리는 경우도 있다. 상대의 마음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칭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요령이 필요하다. 그러나 잘하지도 못한 것을 무조건 잘했다고 거짓말을 하거나 과장해서 칭찬하는 것은 금물이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언젠가는 그리고어떤 방식으로든 그것이 거짓임을 알아차리고 거짓 칭찬하는 사람을 믿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대의 장점 또는 잠재력이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그리고 다각적으로 찾으려 노력하는 것이 무엇보다 더 중요하다.
6. 왜 반대로 행동할까?
우리는 식당에서 여럿이 어울려 식사를 하고 난 다음, 서로 앞다투어 계산대로 가는 모습을 왕왕 본다. 재미있는 것은 돈 많은 사람을 제치고 수입이 적은 사람이 더 적극적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흔히 돈으로 사람의 가치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많은 사람들은 돈으로 사람을 저울질한다.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자기가 가난하다고 생각하면 스스로를 가치가 낮다고 평가하게 되며, 그러한 열등의식을 인정하고 싶지 않기에 공연한 오기를 부려 통이 큰 체 행동하는 것이다. 내면의 욕구를 인정하는 것이 죄책감을 수반하거나 자존심을 상하게 할 때는 그 욕구를 은폐하기 위해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이 마음을 편하게 한다. 미운 놈에게 떡 하나 더 주는 것과 같이 내면적 욕구와는 상반되는 행동과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욕구나 동기를 은폐하려는 것을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이라고 한다.거부감과 적대감이 느껴지는 사람에게 오히려 과도하게 정중하고 겸손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손꼽아 기다렸던 사람에게서 걸려 온 전화를 짐짓 퉁명스럽게 받는 것, 젊은이들이 미팅이나 동아리 모임에서 외설적 주제에는 눈살을 찌푸리고 그 반대로 예술이니 철학이니 하는 것을 주된 주제로 삼는 것도 어찌 보면 숨어 있는 다른 동기를 은폐하려는 무의식적 시도이다. 남자아이들이 좋아하는 여학생이 하는 고무줄 놀이를 방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성인들도 연모하는 감정이 들통날까 봐 좋아하는 사람에게 더 짓궂게 굴기도 한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탔을 때 예쁜 여자 옆의 빈자리를 놔두고 멀찌감치 떨어져 앉는 것이나 골목길에서 낯선 여자가 앞서 가면 왠지 앞질러가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도 잠재된 욕구를 은폐함으로써 긴장감에서 벗어나려는 무의식적 시도이다. '참외밭에선 신발 끈을 매지 마라'는 말이 있듯이 공연한 오해를 살 짓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진정으로 아무 생각이 없다면 남이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굳이 신경 쓸 필요가 있겠는가? 99
6. 왜 반대로 행동할까?
우리는 식당에서 여럿이 어울려 식사를 하고 난 다음, 서로 앞다투어 계산대로 가는 모습을 왕왕 본다. 재미있는 것은 돈 많은 사람을 제치고 수입이 적은 사람이 더 적극적인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흔히 돈으로 사람의 가치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면서도 많은 사람들은 돈으로 사람을 저울질한다. 물론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자기가 가난하다고 생각하면 스스로를 가치가 낮다고 평가하게 되며, 그러한 열등의식을 인정하고 싶지 않기에 공연한 오기를 부려 통이 큰 체 행동하는 것이다. 내면의 욕구를 인정하는 것이 죄책감을 수반하거나 자존심을 상하게 할 때는 그 욕구를 은폐하기 위해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이 마음을 편하게 한다. 미운 놈에게 떡 하나 더 주는 것과 같이 내면적 욕구와는 상반되는 행동과 태도를 드러냄으로써 욕구나 동기를 은폐하려는 것을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이라고 한다.거부감과 적대감이 느껴지는 사람에게 오히려 과도하게 정중하고 겸손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다. 손꼽아 기다렸던 사람에게서 걸려 온 전화를 짐짓 퉁명스럽게 받는 것, 젊은이들이 미팅이나 동아리 모임에서 외설적 주제에는 눈살을 찌푸리고 그 반대로 예술이니 철학이니 하는 것을 주된 주제로 삼는 것도 어찌 보면 숨어 있는 다른 동기를 은폐하려는 무의식적 시도이다. 남자아이들이 좋아하는 여학생이 하는 고무줄 놀이를 방해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성인들도 연모하는 감정이 들통날까 봐 좋아하는 사람에게 더 짓궂게 굴기도 한다. 지하철이나 버스를 탔을 때 예쁜 여자 옆의 빈자리를 놔두고 멀찌감치 떨어져 앉는 것이나 골목길에서 낯선 여자가 앞서 가면 왠지 앞질러가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드는 것도 잠재된 욕구를 은폐함으로써 긴장감에서 벗어나려는 무의식적 시도이다. '참외밭에선 신발 끈을 매지 마라'는 말이 있듯이 공연한 오해를 살 짓은 하지 않는 것이 좋다. 그러나 진정으로 아무 생각이 없다면 남이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해 굳이 신경 쓸 필요가 있겠는가? 99
추천자료
스포츠 심리학 A+ 완벽정리(스포츠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및 스포츠심리학의 목적과 분류)
[긍정심리학]인간의 긍정적 성품 - 인간의 성품 및 초월성-영성
유영철심리분석
교육심리학의 기초
현대 심리학의 태동과 각 학파의 강조점 등에 대해 논의 - 현대 심리학파
발달심리학 이론의 영유아를 바라보는 아동관, 교육관, 교사관과 한계점에 대해 각각 살펴보...
노인교육론 4공통) 노인교육프로그램 하나를 선정하여 현황, 내용, 교육방법 등을 조사하여 ...
융의 분석심리학의 기초로 하여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여 장단점을 파악한 후 자신이 더 나은 ...
유아교육개론A형 2017년 -발달심리학적 측면에서 유아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상담모델의 주요개념과 상담의 기법에 대해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