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묶고, 요인별로 상호 독립적이 되도록 하는 분석방법
가. 탐색적 요인분석; 개념들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
⇒ 연구자가 의도했던 바대로 요인이 묶이면 타당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방법
나. 확증적 요인분석; 이미 충분한 선행연구를 통해 해당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해 어느 정도 합의가 된 후에 이들 개념이 정말 타당한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① 신뢰도가 높은 도구가 타당도도 높은 것은 아니다.
② 신뢰도는 반복을 통해서 높일 수 있지만 타당도는 아무리 반복을 해도 높일 수 없다.
☞ 신뢰도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신뢰성이 없는 측정도구는 타당성도 있을 수 없고, 신뢰성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가. 탐색적 요인분석; 개념들간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
⇒ 연구자가 의도했던 바대로 요인이 묶이면 타당도가 높다고 판단하는 방법
나. 확증적 요인분석; 이미 충분한 선행연구를 통해 해당 개념을 구성하는 요인들에 대해 어느 정도 합의가 된 후에 이들 개념이 정말 타당한가를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① 신뢰도가 높은 도구가 타당도도 높은 것은 아니다.
② 신뢰도는 반복을 통해서 높일 수 있지만 타당도는 아무리 반복을 해도 높일 수 없다.
☞ 신뢰도는 타당도를 높이기 위한 필요조건이지만 충분조건은 아니다. 신뢰성이 없는 측정도구는 타당성도 있을 수 없고, 신뢰성이 있다고 해서 반드시 타당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