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⑤ 신뢰도가 높고 타당고가 낮은 측정도 있다. ⑥신뢰도가 낮고 타당도가 높은 측정은 없다.
결론적으로 타당성 있는 측정은 항상 신뢰성이 있으며 신뢰성 없는 측정은 타당도가 보장되지 않는다.측정도구의 신뢰도가 타당도에 비해 확보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타당도의 수립이 보다 더 가치가 있다.
5. 사례 적용
한 검사가 주어진 기준변인과의 관계 또는 기준변인을 예언하는 정도. 준거타당도는 예언타당도와 공인타당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 다 준거변인과의 관계라는 점에서는 공통이지만 예언타당도에서는 기준변인이 미래에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서는 현재에 있다. 즉, 예언타당도의 경우에는 검사를 실시한 후 얼마간 기간이 지난 후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서는 검사실시와 동시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따지게 된다. 따라서 예언타당도에 있어서는 검사와 기준변인 간의 시간적 간격이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는 이것이 없다. 에언타당도는 성공적인 직업을 예언하기 위하여 흥미검사를 사용한다든가 또는 자동차사고를 낼 가능성이 많은 사람을 미리 예언한다든가와 같이 미래의 어떤 행동을 예언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 반면에 공인 타당도에 있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드는 개인용 지능검사와 간단한 집단용 지능검사와의 관계를 알아서 기준변인인 개인용 지능검사 대신에 집단용 지능검사를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예언타당도는 검사로써 미래의 기준변인을 예언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는 현재의 기준변인을 한 검사로써 대신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
실용적타당도, 동시적 타당도, 예측타당도 라고 불린다. 측정도구가 미래의 현상이나 사건을 측정하거나 예건하는데 타당한가 라는 질문과 관련이 있다. 기준타당도는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로 측정한 값이 기준이 되는 다른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한다.
예. 대학학력고사에서 A학생은 성적이 높고, B학생은 성정이 낮았으나 동일한 학과에 합격 그러나 입학후 B학생이 공부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 대학학력고사의 원래 목적인 수학능력의 예측이라는 측면에서 기준타당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99
참고문헌
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박영사, 2004
유태균,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 나남출판사, 2001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결론적으로 타당성 있는 측정은 항상 신뢰성이 있으며 신뢰성 없는 측정은 타당도가 보장되지 않는다.측정도구의 신뢰도가 타당도에 비해 확보하기가 용이한 이점이 있기는 하나 일반적으로 타당도의 수립이 보다 더 가치가 있다.
5. 사례 적용
한 검사가 주어진 기준변인과의 관계 또는 기준변인을 예언하는 정도. 준거타당도는 예언타당도와 공인타당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둘 다 준거변인과의 관계라는 점에서는 공통이지만 예언타당도에서는 기준변인이 미래에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서는 현재에 있다. 즉, 예언타당도의 경우에는 검사를 실시한 후 얼마간 기간이 지난 후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알아보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서는 검사실시와 동시에 기준변인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이와의 관계를 따지게 된다. 따라서 예언타당도에 있어서는 검사와 기준변인 간의 시간적 간격이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에는 이것이 없다. 에언타당도는 성공적인 직업을 예언하기 위하여 흥미검사를 사용한다든가 또는 자동차사고를 낼 가능성이 많은 사람을 미리 예언한다든가와 같이 미래의 어떤 행동을 예언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 반면에 공인 타당도에 있어서는 많은 비용과 노력이 드는 개인용 지능검사와 간단한 집단용 지능검사와의 관계를 알아서 기준변인인 개인용 지능검사 대신에 집단용 지능검사를 사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이 예언타당도는 검사로써 미래의 기준변인을 예언하는 데 관심이 있는 반면에 공인타당도는 현재의 기준변인을 한 검사로써 대신하는 데 관심이 집중된다.
실용적타당도, 동시적 타당도, 예측타당도 라고 불린다. 측정도구가 미래의 현상이나 사건을 측정하거나 예건하는데 타당한가 라는 질문과 관련이 있다. 기준타당도는 사용하고 있는 측정도구로 측정한 값이 기준이 되는 다른 측정도구의 측정값과 얼마나 밀접한 관계를 갖는가를 의미한다.
예. 대학학력고사에서 A학생은 성적이 높고, B학생은 성정이 낮았으나 동일한 학과에 합격 그러나 입학후 B학생이 공부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면, 대학학력고사의 원래 목적인 수학능력의 예측이라는 측면에서 기준타당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99
참고문헌
이군희, 사회과학연구방법론, 박영사, 2004
유태균, 사회복지 질적연구방법론, 나남출판사, 2001
김영종, 사회복지조사방법론, 학지사, 1999
추천자료
온라인 여행상품 구매자의 시장세분화에 관한 연구
질적 연구의 엄격성 및 관련성
사회복지와 사회과학
현대광고론 요약정리 (제6장 정보수집: 광고계획 수립의 근거)
사회복지조사론의 대한 설명
스포츠와 측정평가 관계
[독서평가][독서][독서지도][독서교육]독서평가의 개념, 독서평가의 유형, 독서평가의 목적, ...
사회과(사회교과교육) 평가의 목표, 사회과(사회교과교육) 새 평가기준의 필요성, 사회과(사...
제 7장 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교육평가
15.관찰 및 내용분석
[사회복지조사론] 샘플링(표본추출) - 표본조사와 표본추출의 개념과 용어 및 모집단의 중요...
프랜차이즈 브랜드 - 소비자개성 일치성이 신뢰,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론적 고찰, ...
질적연구와 양적연구,교육 연구의 목적과 유형
[방통대 경영학과 4학년 생산관리 공통]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의 (1)개념 및 적용가능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