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행정문화의 개념
Ⅱ. 행정문화의 성격상의 특성
Ⅲ. 행정문화의 변동
ⅳ. 행정문화의 형태
참고문헌
Ⅱ. 행정문화의 성격상의 특성
Ⅲ. 행정문화의 변동
ⅳ. 행정문화의 형태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②계급제 : 한국은 계급제라고 하는 인사문화를 오랜 전통으로 지녀왔다.
③청빈의 사조 : 관리들은 청빈해야 한다는 것으로 유교문화의 소산이다.
④정 중 립 : 회 로 애 락의 감정에 있어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 역시 유교문화의 소산이다.
⑤계층주의(서열의식) : 한국의 행정에 있어서는 계층의식 서열의식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데, 이 또한 유교문화의 소산이다.
⑥관인 지배주의 : 관료는 국민에 대한 지배자로서 특권적 지위가 부여되어 있다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⑦권위주의 : 권위주의란 수직적인 관계에서 지배 복종의 관계를 강조하는 문화이다. 이는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대표적인 산물이다.
⑧가족주의 족벌주의 : 원초적인 집단의식을 버리지 못하므로 해서 사적인 유대관계가 행정을 지배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행정문화는 공 사의 무분별, 행정의 합리성 객관성 저해, 행정조정의 곤란, 개인적 충성이 우선시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게 된다.
⑨연고주의 : 혈연 지연 학연 등 배타적이면서 특수한 관계를 중요시하는 주의이다.
⑩형식주의(의식주의) : 형식주의란 형식 격식을 지나치게 중시 존중하는 주의를 말하며,이는 유교문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이다. 형식주의가 강조되면 법규만능주의의 만연, 행정의 적극성 신축성 저해, 진정한 공익의 실현을 외면하는 등의 폐해를 가져오게 된다.
⑪정적 인간주의(온정주의) : 인간관계를 이해타산이나 직무관계로 보지 않고 정적 유대관계로 보는 성향이다.
⑫운명주의 : 운명주의는 세상의 일등이 인간 이외의 초자연적인 힘이나 신비적인 힘에 의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⑬일반주의 : 일반주의는 세상사물이 일반적인 상식적 수준에서 다 이해되고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자기만능의 의식구조에 관계되어 있으며 결국 권위주의를 강화하고 행정의 전문화를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⑭관직이권주의, 출세주의 : 관직을 공공봉사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이권을 향유하기 위한수단으로, 사유물로, 출세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말한다.
⑮비물질주의(선비주의) :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주의이다. 이 또한 유교문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서 이러한 문화풍토에서는 경제발전 과학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 외에도 무사안일주의 눈가림행정, 기분행정, 눈치행정, 의리주의, 할거주의, 집단주의 등이 해 당된다. 99
참고문헌
권기성 · 한영춘, 「행정학개론」, 법문사, 1980.
김광웅, 「비교행정론」, 박영사, 2004.
김규정, 「행정학원론」 (신판보정판), 법문사, 1998.
김규정, 「비교행정론」, 법문사, 1982.
김동욱, "정부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자정부 구현 방안", 한국정책학회, 1996.
김문성, 「행정학의 이해」, 박영사, 2000.
김번웅 · 김만기 · 김동현, 「현대 한국행정론」, 박영사, 1991.
김영종 · 김종명 · 안희남 · 최봉기, 「행정학」, 법문사, 1997.
김운태, 「행정학원론」, 박영사, 1986.
김운태 · 강신택 · 백완기 외, 「한국 정치행정의 체계」, 박영사, 1982.
김찬동, 「행정학개론」,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4.
김항규,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1994.
박동서, 「한국행정론」 (제4전정판), 법문사, 1997.
박문옥, 「행정학」 (제5정판), 신천사, 1980.
백완기, 「행정학」 1994. (제5전정판), 박영사, 2007.
박용치, 「현대 행정학원론」, 고려원, 1993.
박찬욱,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신종순, 「행정학」 (전정판), 고시원, 1982.
안해균, 「현대 행정학」 (전정판), 다산출판사, 1987.
유종해, 「현대 행정학」, 박영사, 2001.
유종해, 「비교행정론」 (역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유종해 · 박영희 · 한원택 · 김동현, 「행정학대사전」, 고시원, 1993.
유종해 · 김영섭 · 김번웅, 「행정학 세미나」, 고시원, 1982.
유훈, 「행정학원론」 (제6정판), 법문사, 1991.
이우현, 「행정학원론」, 한국사법행정학회, 1964.
이종수 · 윤영진 외, 「새 행정학」 (개정판), 대영문화사, 1997.
정철현, 「행정이론의 발전」, 다산출판사, 2003.
조석준, 「한국행정학」, 박영사, 1992.
주삼환, 「행정철학」, 법문사, 1985.
최창호 · 정세욱, 「행정학」, 법문사, 1974.
황윤원, 「행정학원론」, 형설출판사, 2003.
②계급제 : 한국은 계급제라고 하는 인사문화를 오랜 전통으로 지녀왔다.
③청빈의 사조 : 관리들은 청빈해야 한다는 것으로 유교문화의 소산이다.
④정 중 립 : 회 로 애 락의 감정에 있어서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것으로, 이 역시 유교문화의 소산이다.
⑤계층주의(서열의식) : 한국의 행정에 있어서는 계층의식 서열의식이 매우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데, 이 또한 유교문화의 소산이다.
⑥관인 지배주의 : 관료는 국민에 대한 지배자로서 특권적 지위가 부여되어 있다는 사고방식을 말한다.
⑦권위주의 : 권위주의란 수직적인 관계에서 지배 복종의 관계를 강조하는 문화이다. 이는 전통적인 유교문화의 대표적인 산물이다.
⑧가족주의 족벌주의 : 원초적인 집단의식을 버리지 못하므로 해서 사적인 유대관계가 행정을 지배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행정문화는 공 사의 무분별, 행정의 합리성 객관성 저해, 행정조정의 곤란, 개인적 충성이 우선시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게 된다.
⑨연고주의 : 혈연 지연 학연 등 배타적이면서 특수한 관계를 중요시하는 주의이다.
⑩형식주의(의식주의) : 형식주의란 형식 격식을 지나치게 중시 존중하는 주의를 말하며,이는 유교문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이다. 형식주의가 강조되면 법규만능주의의 만연, 행정의 적극성 신축성 저해, 진정한 공익의 실현을 외면하는 등의 폐해를 가져오게 된다.
⑪정적 인간주의(온정주의) : 인간관계를 이해타산이나 직무관계로 보지 않고 정적 유대관계로 보는 성향이다.
⑫운명주의 : 운명주의는 세상의 일등이 인간 이외의 초자연적인 힘이나 신비적인 힘에 의존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⑬일반주의 : 일반주의는 세상사물이 일반적인 상식적 수준에서 다 이해되고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즉 자기만능의 의식구조에 관계되어 있으며 결국 권위주의를 강화하고 행정의 전문화를 저해하는 작용을 한다.
⑭관직이권주의, 출세주의 : 관직을 공공봉사의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이권을 향유하기 위한수단으로, 사유물로, 출세의 수단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말한다.
⑮비물질주의(선비주의) : 물질적인 것보다는 정신적 가치를 중시하는 주의이다. 이 또한 유교문화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서 이러한 문화풍토에서는 경제발전 과학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 외에도 무사안일주의 눈가림행정, 기분행정, 눈치행정, 의리주의, 할거주의, 집단주의 등이 해 당된다. 99
참고문헌
권기성 · 한영춘, 「행정학개론」, 법문사, 1980.
김광웅, 「비교행정론」, 박영사, 2004.
김규정, 「행정학원론」 (신판보정판), 법문사, 1998.
김규정, 「비교행정론」, 법문사, 1982.
김동욱, "정부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자정부 구현 방안", 한국정책학회, 1996.
김문성, 「행정학의 이해」, 박영사, 2000.
김번웅 · 김만기 · 김동현, 「현대 한국행정론」, 박영사, 1991.
김영종 · 김종명 · 안희남 · 최봉기, 「행정학」, 법문사, 1997.
김운태, 「행정학원론」, 박영사, 1986.
김운태 · 강신택 · 백완기 외, 「한국 정치행정의 체계」, 박영사, 1982.
김찬동, 「행정학개론」, 한국방송대학교 출판부, 1994.
김항규, 「행정철학」, 대영문화사, 1994.
박동서, 「한국행정론」 (제4전정판), 법문사, 1997.
박문옥, 「행정학」 (제5정판), 신천사, 1980.
백완기, 「행정학」 1994. (제5전정판), 박영사, 2007.
박용치, 「현대 행정학원론」, 고려원, 1993.
박찬욱, 「21세기 미국의 거버넌스」,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신종순, 「행정학」 (전정판), 고시원, 1982.
안해균, 「현대 행정학」 (전정판), 다산출판사, 1987.
유종해, 「현대 행정학」, 박영사, 2001.
유종해, 「비교행정론」 (역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유종해 · 박영희 · 한원택 · 김동현, 「행정학대사전」, 고시원, 1993.
유종해 · 김영섭 · 김번웅, 「행정학 세미나」, 고시원, 1982.
유훈, 「행정학원론」 (제6정판), 법문사, 1991.
이우현, 「행정학원론」, 한국사법행정학회, 1964.
이종수 · 윤영진 외, 「새 행정학」 (개정판), 대영문화사, 1997.
정철현, 「행정이론의 발전」, 다산출판사, 2003.
조석준, 「한국행정학」, 박영사, 1992.
주삼환, 「행정철학」, 법문사, 1985.
최창호 · 정세욱, 「행정학」, 법문사, 1974.
황윤원, 「행정학원론」, 형설출판사, 2003.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행정] 학교조직내의 비공식적 조직의 기능
선진국와 후진국 행정의 비교
허즈버그의 동기위생 이론을 통한 조직구성원의 직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학교조직풍토론
조직몰입도에 관하여
[필리핀][필리핀문화]필리핀의 국민, 필리핀의 종교, 필리핀의 화폐와 금융, 필리핀의 정치와...
한국 인사행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한 연구
한국과 일본의 행정개혁의 비교 - F. Heady의 비교이론을 토대로 -
[인사행정][인사행정 엽관주의][인사행정 인사관리]인사행정의 약력, 인사행정의 중요성, 인...
사회복지행정 조직의 유형과 특징
행정조직론 요점정리 1(중간고사범위)
[전략적간호관리] ①건강관리조직(예: 병원)이 갖는 특성 ②간호사들이 신명나게 일하게 하기 ...
2018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중국과 북한의 행정체제를 비교)
[지방행정론] 지방자치단체의 구역과 계층 (해와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