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혼상제의 의미와 전승방안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관혼상제의 의미와 전승방안에 대하여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며, 표주박에 따라 마시는 술은 부부 화합을 의미한다.

7. 상장례의 기본 정신과 절차
상장례는 죽은 사람을 떠나보내는 슬픔을 절도 있게 드러내는 절차이다. - 본문 중에서 -
→ 상례와 장례는 망자를 떠나보내는 슬픔을 절도 있게 표현하는 의례이다.
가. 상장례의 의의와 기본 정신
(1) 상장례의 의미(가) 사람이 죽은 때부터 장사 지낼 때까지 행하는 의례(나) 죽음의 의미를 승화시켜 생명의 존엄성과 삶의 가치를 되새기는 엄숙한 의미
(2) 조상들의 죽음에 대한 인식(가) 죽음 : 후손들에게 그 삶이 이어지며[계세사상(繼世思想=사후에도 현재의 삶을 계속해서 누린다는 사상)], 삶의 거울로 남음(나) 죽음에 대한 종교적 인식 : 인간이 일생 동안 이룬 삶의 내용이 사후의 세계를 구성하는 단서가 된다는 믿음을 담음
나. 상장례의 기본 절차와 의미
임종
자식과 가족이 마지막 숨을 거둘 때 옆에서 지켜보며 돌본다.
장례의 준비와 애도
염습(殮習)→성복(成服)→문상(聞喪)→부고(訃告)
장례
매장할 날을 정하고 묏자리를 만든 뒤 관을 옮겨 땅에 묻는 절차
탈상(脫喪)
돌아가신 분을 떠나 보낸 슬픔을 이기고 일상 생활로 복귀
다. 조문의 예절과 현대의 상장례
(1) 조문의 의미(가) 돌아가신 분과 평소에 교분이 있거나 상제들과 친분이 있는 사람이 상가를 찾아 죽음을 애도하고 상제를 위로하는 예절(나) 태도 : 경건하고 엄숙한 마음가짐과 태도로 슬픔을 함께 나누는 것이 중요
(2) 전통의 조문 절차(가) 먼저 상을 당한 집에 도착하여 조의를 표함(나) 영좌 앞에 나가 곡을 하고 재배한 후, 상제 앞에서 서로 절을 함(다) 인사말을 건네고 손님이 일어나면 상제도 일어나 절을 함
(3) 오늘날의 상장례(가) 대부분 병원 또는 전문 장례식장에서 행함(나) 간소화되었으며, 종교마다 다름
8. 제례의 기본 정신과 절차
늙어 가는 부모를 공경하고 대우하라. 부모님께서 젊었을 때 너희를 위해 근육과 뼈가 닳도록 고생하셨느니라. -『명심보감(明心寶鑑)』
→제례의 근본 정신은 공경과 보은이다.
가. 제례의 유래와 기본 정신
(1) 제례의 의미와 유래(가) 의미①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죽은 사람을 추모하는 의식② 자손이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여 특정한 날에 제를 올리는 의식(나) 유래① 초인적이고 신비로운 힘을 지닌 자연물, 특히 천지에 대해 제사를 올리고 안락과 평안을 기원하는 의식을 거행②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에서는 신명을 받들고 복을 비는 제사 의례가 생활화
(2) 조상에 대한 제례의 근본 정신(가) 제례의 근본 정신 : 조상에 대한 공경과 감사, 보본 의식(報本意識=근본에 보답하는 의식)(나) 효의 실천 : 자신을 낳아 길러 주고 바른 삶을 살도록 가르치고 이끌어 준 어버이의 뜻을 기림(다) 자기 수양 : 제례에 정성과 예를 다하여 엄숙히 임함으로써 자신을 삼가고 절제하는 자세를 익힘
나. 제사의 종류와 절차
(1) 제사의 종류 : 대상이나 시기에 따라 여러 종류와 형태가 있음
(가) 기제사의 절차① 준비㉮ 하루 전 목욕 재계(齋戒)하고, 정침을 깨끗이 닦음㉯ 제사상을 놓고 신위를 모심, 향안, 향로, 향합, 축판, 제주와 퇴주 그릇 등을 준비㉰ 진설(陳設) : 제사에 쓸 여러 가지 음식을 제사상 위에 질서 있게 차림㉱ 강신(降神) : 제주가 분향하고 술을 잔에 따라 세 번 모사기에 부음 → 제주가 두 번 절하고 자리로 돌아가면 제관이 함께 재배㉲ 진찬(進饌) : 진설된 제사상에 각색탕, 저냐, 적, 병(떡), 메 등을 올림㉳ 헌작(獻爵) : 술을 따라 제사상에 올리되 세 번 올림(초헌→아헌→종헌)㉴ 합문(闔門) : 제관 이하 전원이 나오고 문을 닫음㉵ 계문(啓門) : 축관이 세 번 기침을 하고, 다시 안으로 들어감㉶ 사신(辭神) : 제관 일동이 신위에 재배하고 제사를 끝냄㉷ 철상(撤床)과 음복(飮福)
다. 현대의 제례 문제와 우리의 자세
(1) 전통적인 제례의 의미(가) 자기 존재의 뿌리를 생각하고 추모함(나) 조상이 자손에게 복을 주거나 해를 줄 수도 있다는 믿음을 낳기도 함(다) 강한 가족 연대 의식을 형성하는 요인임(2) 전통적인 제례의 기본 정신 : 조상에 대한 공경과 감사의 마음(3) 현대의 제례 문제와 바람직한 자세(가) 현대의 제례 문제① 엄숙함과 공경의 태도가 퇴색, 생활 영역에서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약화② 제례로 인한 가족 갈등(나) 바람직한 자세 : 조상들이 지켜 온 생활 양식을 존중하고, 예의 정신과 계승하는 자세를 잊지 말아야 함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2.03.13
  • 저작시기201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1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