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치원 교육과정의 이해
2.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발달
3.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성격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4.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
5.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6.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7.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평가
8. 유치원 교육과정의 유아 교육발전 과제
참고문헌
2.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발달
3.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성격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4.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구성
5.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목표
6.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7. 우리나라 유치원 교육과정의 평가
8. 유치원 교육과정의 유아 교육발전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시하는 교육과정은 5개 영역의 개념만 제시하고 있습니다. 선생님들께서는 선생님들만의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실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선생님만의 교육과정을 가지고 계실 필요가 있습니다. 선생님들께서는 학년이 바뀌는 것이 아니고, 유치원이 바뀌더라도 대상은 같다고 봅니다. 물론 지역별로 또는 유아들의 발달 수준에 따라 약간씩 차이는 있다하더라도 교육의 대상은 같습니다. 그러므로 한 번만이라도 선생님만의 교육과정을 편성하여 운영하신다면 다음 해부터는 그 교육과정을 수정 보완해가면 아주 훌륭한 교육과정이 될 것입니다. 모든 분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기존의 상업용 교육과정을 가지고 운영하는 것은 그 교육과정이 아무리 잘 짜여진 훌륭한 것이라 하더라도 선생님들 것이 아니기 때문에 충실할 수가 없습니다. 선생님께서 고민하고, 고생하여 만든 교육과정은 완전히 여러분들 것입니다. 그것을 기본으로 유아들로부터 발생하는 우연한 교육과정으로 변형도 가능하고 때로는 이어지는 교육과정이 되기도 하고 또는 프로젝트 수행과정으로 통합되기도 할 것입니다. 물론 그동안 많은 경력을 가지고 계신 선생님들께는 제 말씀이 우려의 소리가 될 수도 있습니다. 공사립 모든 선생님들께 다시 한 번 부탁하건데, 선생님만의 교육과정을 가지고 다니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주의하실 것은 너무 많은 것을 하시려는 욕심을 버리시기 바랍니다. 선생님께서 맡으시는 유아들이 다만 얼마만큼이라도 인지적으로, 정의적으로, 신체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시기 바랍니다. 둘째, 프로젝트 학습을 꼭 하시도록 권장하고 싶습니다. 일년에 좋은 주제 한 두 개를 선정하여 심혈을 기울여서 프로젝트를 완성하도록 한다면 제 나름대로 한 두 가지의 커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선생님께서 프로젝트 학습의 준비를 위해서 처음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지만 일단 한 번 수행을 하고 나면, 다음부터는 훨씬 수업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프로젝트는 하루 이틀에 끝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단 준비가 되고 유아들이 훈련이 되면 선생님들께서는 수업의 부담이 줄어드리라 생각합니다. 다음으로는 유아들의 창의성과 지능발달이 상당히 빨라진다고 확신을 합니다. 어떤 연구에 근거한 것은 아니지만 잘 수행된 프로젝트 학습은 유아들의 생각을 확산시키고, 종합할 수 있습니다. 이것만으로도 매우 성공적이 교육의 성과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유아교육 뿐만이 아니라 모든 교육에서 너무나 많이 외국의 이론과 방법을 적용해 왔습니다. 몇 번 해보다가 또 다른 방법과 이론이 들어오면 그 쪽으로 관심이 돌아갑니다. 외국의 좋은 교수-학습방법은 언제나 받아들여야 합니다. 몬테소리도, 프뤼벨도, 레지오 에밀리오도 모두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것들은 우리의 것이 아닙니다. 다만 필요에 의해서 적용해 보는 것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프로젝트 학습 방법 역시 외국에서 들어온 교수-학습 방법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그러나 선생님께서 프로젝트 학습을 1년에 한 두차례 수행을 하시면서 해가 거듭하면 그 교수-학습방법은 선생님 것이 되는 것입니다. 요즈음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레지오에밀리아 접근법 역시 프로젝트 학습의 한 방법이라 생각합니다. 99
참고문헌
구성주의에 관한 몇 가지 질문, 교육개발, 봄호, 한국교육개발원 / 강인애(1999)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 김재복(1983)
21세기 한국과 유아교육의 방향, 레지오 에밀리아 연구회 / 문용린(1999)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 방인옥 외 (1999)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참고문헌
구성주의에 관한 몇 가지 질문, 교육개발, 봄호, 한국교육개발원 / 강인애(1999)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 김재복(1983)
21세기 한국과 유아교육의 방향, 레지오 에밀리아 연구회 / 문용린(1999)
유아교육과정, 정민사 / 방인옥 외 (1999)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추천자료
일본의 유아교육제도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유아과학교육
방과후교육(교실, 방과후아동보육)의 개념과 수요, 방과후교육(교실, 방과후아동보육)의 시설...
2011년 1학기 유아교육개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유아교육개념,유아교사의역할과교수행동)
아동건강교육정리
★보육과정의 두 가지(성숙주의, 행동주의)접근법 비교분석 및 표준보육과정의 영역별 보육목표★
2013년 제3차 표준보육과정의 구성체계와 영역별 보육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개정된 표준 보...
[아동건강교육 A형] 영유아를 위한 안전교육 내용을 계획하시오 : 안전교육계획
일일보육계획안 작성시 고려사항을 기술하시고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한 만2세 일일보육계획안...
표준보육과정의 영역 중 본인이 생각하기에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하는 영역과 그 이유를 설명 ...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
만 5세아 누리과정의 기본 구성 및 방향과 교수 학습 원리에 대해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쓰...
[표준보육과정] 표준보육과정의 각 영역과 목표를 서술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