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HAP 26. 신장의 요생성 - 사구체 여과 및 신혈류
1. ★항상성을 위한 신장의 기능
2. 신장의 기능적 구조
3. 네프론 - 신장의 기능적단위
3. 사구체 여과, 세뇨관 재흡수, 세뇨관 분비
4. GFR(사구체 여과) - 오줌 형성의 첫번째단계
******************************************************/
1. 사구체 모세혈관 콜로이드 삼투압 증가는 사구체 여과율을 떨어뜨린가
2.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증가는 여과율을 증가시킴 -> GFR 증가
/*******************************************************
표 26-2
신혈류
1. ★항상성을 위한 신장의 기능
2. 신장의 기능적 구조
3. 네프론 - 신장의 기능적단위
3. 사구체 여과, 세뇨관 재흡수, 세뇨관 분비
4. GFR(사구체 여과) - 오줌 형성의 첫번째단계
******************************************************/
1. 사구체 모세혈관 콜로이드 삼투압 증가는 사구체 여과율을 떨어뜨린가
2.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증가는 여과율을 증가시킴 -> GFR 증가
/*******************************************************
표 26-2
신혈류
본문내용
결정하는 첫번째인자임!!!!!
2.동맥압 -> 사구체 정수압증가 -> 사구체 여과율 증가 ->
3.수입 동맥의 저항 -> 사구체 정수압 감소 -> 사구체 여과율 감소
4.수출 동맥의 저항(수축) ->사구체 여과율 약간증가
장기간이되면 콜로이드 삼투압증가 효과(단백농도증가) 정수압증가효과를이김
-> 순여과압 감소
/*******************************************************
표 26-2
사구체 여과계수 감소 -> GFR 감소 (신장병, 당뇨병, 고혈압)
보먼주머니 정수압 증가 -> GFR 감소 (신장에 돌)
사구체 모세혈관 콜로이드 삼투압증가 -> GFR 감소(신장혈액속도다운, 플라즈마단백질증가)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
1. 전신동맥압 감소 ->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암 감소(약한영향)
2.수출 소동맥 저항 감소->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 감소(약물의영향)
3.수입소동맥 저항 상승 ->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 감소(아드레날린,아세트콜린)
신혈류
교감신경계활성은 사구체 여과율을 떨어뜨린다 ->혈관수축(급박한상황)
노르에프네프린 GFR감소
에피네프린 GFR감소
엔도텔린 GFR감소
안지오텐신 2 감소
산화질소 증가
2.동맥압 -> 사구체 정수압증가 -> 사구체 여과율 증가 ->
3.수입 동맥의 저항 -> 사구체 정수압 감소 -> 사구체 여과율 감소
4.수출 동맥의 저항(수축) ->사구체 여과율 약간증가
장기간이되면 콜로이드 삼투압증가 효과(단백농도증가) 정수압증가효과를이김
-> 순여과압 감소
/*******************************************************
표 26-2
사구체 여과계수 감소 -> GFR 감소 (신장병, 당뇨병, 고혈압)
보먼주머니 정수압 증가 -> GFR 감소 (신장에 돌)
사구체 모세혈관 콜로이드 삼투압증가 -> GFR 감소(신장혈액속도다운, 플라즈마단백질증가)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
1. 전신동맥압 감소 ->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암 감소(약한영향)
2.수출 소동맥 저항 감소->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 감소(약물의영향)
3.수입소동맥 저항 상승 -> 사구체 모세혈관 정수압 감소(아드레날린,아세트콜린)
신혈류
교감신경계활성은 사구체 여과율을 떨어뜨린다 ->혈관수축(급박한상황)
노르에프네프린 GFR감소
에피네프린 GFR감소
엔도텔린 GFR감소
안지오텐신 2 감소
산화질소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