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11. Benedict - roth 형 Spirometer 기록속도 유형중 틀린 것? 5
①저속도 (32mm/min) : 폐기량 측정
②중속도 (160mm/min) : 최대환기량 측정
③고속도 (32mm/sec) : 노력성 폐활량
④저속도 (32mm/min) : 폐활량
⑤저속도 (32mm/sec) : 1초량
12. 경동맥 소체의 신경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 하는 것?
- 혈액의 이산화탄소
13. 폐활량 측정시 오차 원인은? 3
①검사도중 기침하였다.
②망설임과 시작점의 오류이다
③환자가 호기를 불완전하게 불었다.
④검사도중 숨을 들이마셨다.
⑤공기가 누출되었다.
14. 호식호흡에서 호기근(날숨근육)에 속하는 것은? 2
①외늑간근 수축 ②내늑간 수축
③횡경막 수축 ④늑골거근 수축
⑤상후거근 수축
15. N2 세척법에서 폐쇄용적에 해당하는 것은? 4
①제 Ⅰ상 ② 제 Ⅱ상 ③ 제 Ⅲ 상 ④ 제 Ⅳ 상 ⑤ 제 Ⅴ 상
16. CV의 위치는? 4
①제 Ⅰ상 ② 제 Ⅱ상 ③ 제 Ⅲ 상 ④ 제 Ⅳ 상 ⑤ 제 Ⅴ 상
17. 유량기량 곡선이다 예상 질환은?
가. 기관지 천식 나;. 폐섬유종
다. 폐기종 라. 폐렴
①가나다 ②가다 ③나라 ④라 ⑤가나다라
18. 사강 공기량은? 1
①1회 호흡량의 약 30%이다.
②1회 호흡량의 약 50%이다.
③약400ml
④예비흡기량의 약 30% 이다
⑤예비흡기량의 약 50% 이다.
19. 1차 기호의 의미 중 틀린 것 은?
①P - 분압 ②F - 혈류량 ③C - 폐탄성
④S - 포화도 ⑤V-용적
20. 체온 37℃, 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는? 2
①ATPS ②BTPS ③STPD ④검사실 가스량 측정 ⑤산소 섭취량 측정
21. 체온 37℃,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에서 검사되지 않은 것은? 1
①CO2배출량
②3초량
③폐활량
④노력성 폐활량
⑤1초량
22. 안정호기 위치 2.4 L, 안정흡기위치 2.9L, 최대흡기 위치 6.0L 일 따 예비흡기량은?
- 3.1L
23. 최대흡기위치까지 흡식하지 않는 측정 검사는? 5
①노력성 폐활량
②유속유량 곡석
③폐활량
④최대흡기위치
⑤최대 환기량 측정
24. 폐활량 설명 중 틀린 것은? 1
①최대흡량 + 1회환기량 + 예비호기량
②예측식은 성, 연령, 신장 필요
③VC ≥ FVC
④기록지 속도 32mm/분
⑤구속성 환기능령 평가지표
25. 폐기능 검사 설명 중 틀린 것은? 5
①노인 증가
②TLC - VC
③잔기율은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
④FRC= RV + 예비호기량
⑤기능적 잔기량은 선자세보다 앉은 자세로 측정하면 증가
26. 폐기능 검사 결과에 연결이 옳은 것? 3
①정폐탄성 증가 - 폐섬유종
②폐확산능 증가 - 만성 폐기종
③폐쇄용적 증가 - 만성 폐기종
④폐활량 감소 - 늑막 비후증
⑤기도저항증가 - 기관지 천식
27. 노력성 호기곡선에서 구할 수 있는 1초율은? 3
①40% ②50% ③60% ④70% ⑤80%
28. 13.5L 형 호흡계에서 최대 환기량이 32mm 이고 BTPS 계수가 1.102이다. 최대환기량은?
- 80ml/분
29. %VC 90%이상 1초율 50% 이하 일EO
①폐섬유종 ②폐령 ③흉막염 ④만성기관지염 ⑤간질성 육아종
30. 정상인의 폐전체 환기/관류의 비가 적합안 것은
- 0.8
31. 폐확산능검사 설명 틀린 것은? 2
①가스가 폐포에서 폐포모세혈관을 얼마나 용이하게 이동 하는 능력
②폐기종은 DLco 증가한다.
③혼합가스를 한번에 최대흡기위치까지 흡입 시킨 상태에서 10초간 멈춤
④호출초기의 약 750ml 버리고 채취하여 정한다.
⑤호출공기주머니 내의 Co 와 He 농도를 정한다.
32. 면역글로불린E항체에 대한 알레르기 검사는?
①기관지유발검사
②약물알레르기검사
③한냉알레르기검사
④전기안진검사
⑤알레르기피부반응검사
33. 기관지 유발검사에서 기준으로 이용하는 폐기량은? 1
①2초량
②1초량
③3초량
④잔기량
⑤기능적잔기량
34. 기관지 천식을 진단하기 위한 알레르기 검사는? 4
①시표추적 검사
②전기안진검사
③안저기능검사
④운동유발검사
⑤기립경사도검사
35. 알레르기 검사 종류 아닌 것? 4
①기관지우발검사
②약물알레르기검사
③안냉 알레르기 검사
④자발안진검사
⑤알레르기 피부 잔응 검사
36. 알레르기 피부 반응 검사에서 감작된 사람이 생성하는 항체로 비만 세포의 결합된 항체? 4
①IgA ②IgB ③IgD ④IgE ⑤IgF
37. 기관지 과민성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기관지 유발검사를 통해 진단 질환?
- 기관지 천식
< 초음파 >
1. 초음파를 이용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5
①안저기능검사
②뇌혈관 검사
③골밀도
④심장검사
⑤열화상검사
2. 망막색소 상피 기능 검사는?
- 안구전위도 검사
3. 뇌간청각 유발전위 파형 중 제 8신경이 유래한 파형은? 1
①Ⅰ파형 ②Ⅱ파형 ③Ⅲ파형 ④Ⅳ파형 ⑤Ⅴ파형
4. 미로성 난청 진단을 하기위한 보충 현상을 측정하는 검사? 1
①역치상 검사
②자발안진검사
③주시안진검사
④시표추적검사
⑤온도안진검사
5. 공다공증의 원인이 아닌 것? 1
①심장질환 ②당뇨 ③류마티스 ④카페인 과용 ⑤만성신부전증
6. 앉은 자세로 시력검사, 검사자는 왼쪽눈으로 피검자의 머리부분을 가볍게 고정시켜서 주시할 때 상대적으로 머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표를 이용하여 정면 좌우, 상하로 각각 30로 주시하여 안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는? 2
①자발안진검사
②주시안진검사
③두의 안진검사
④두의변환 안진검사
⑤온도안진검사
7. 직립검사, 족답검사는 무슨 검사인가? 1
①신체평형검사
②주시안진검사
③두의안진검사
④두의변환 안진검사
⑤자발안진검사
8. 위내시경 검사 틀린 것? 1
①연동운동 촉진제를 투여한다
②검사전 6시간 금식
③위장천공 있을 시 검사하지 않음
④항 혈소판제 복용중지
⑤인두에 국소마취제 사용
9. 비접촉 dudf화상 검사에서 검출하는 전자파는? 1
①적외선 ②자외선 ③X-Ray ④가시광선 ⑤초음파
< 심초음 >
1. 심장초음파 검사 설명 중 옳은 것? 1
①심장 내 압력을 측정헐 수 있다
②침습적인 검사
③검사시 항상 조영제 주입 필요
④심전도, 심음도 기록할 수 없다
⑤심장의 구조적 평가에 유용하지만 기능평가는 부적절하다.
2 초음파 검사 설명 중
11. Benedict - roth 형 Spirometer 기록속도 유형중 틀린 것? 5
①저속도 (32mm/min) : 폐기량 측정
②중속도 (160mm/min) : 최대환기량 측정
③고속도 (32mm/sec) : 노력성 폐활량
④저속도 (32mm/min) : 폐활량
⑤저속도 (32mm/sec) : 1초량
12. 경동맥 소체의 신경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 하는 것?
- 혈액의 이산화탄소
13. 폐활량 측정시 오차 원인은? 3
①검사도중 기침하였다.
②망설임과 시작점의 오류이다
③환자가 호기를 불완전하게 불었다.
④검사도중 숨을 들이마셨다.
⑤공기가 누출되었다.
14. 호식호흡에서 호기근(날숨근육)에 속하는 것은? 2
①외늑간근 수축 ②내늑간 수축
③횡경막 수축 ④늑골거근 수축
⑤상후거근 수축
15. N2 세척법에서 폐쇄용적에 해당하는 것은? 4
①제 Ⅰ상 ② 제 Ⅱ상 ③ 제 Ⅲ 상 ④ 제 Ⅳ 상 ⑤ 제 Ⅴ 상
16. CV의 위치는? 4
①제 Ⅰ상 ② 제 Ⅱ상 ③ 제 Ⅲ 상 ④ 제 Ⅳ 상 ⑤ 제 Ⅴ 상
17. 유량기량 곡선이다 예상 질환은?
가. 기관지 천식 나;. 폐섬유종
다. 폐기종 라. 폐렴
①가나다 ②가다 ③나라 ④라 ⑤가나다라
18. 사강 공기량은? 1
①1회 호흡량의 약 30%이다.
②1회 호흡량의 약 50%이다.
③약400ml
④예비흡기량의 약 30% 이다
⑤예비흡기량의 약 50% 이다.
19. 1차 기호의 의미 중 틀린 것 은?
①P - 분압 ②F - 혈류량 ③C - 폐탄성
④S - 포화도 ⑤V-용적
20. 체온 37℃, 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는? 2
①ATPS ②BTPS ③STPD ④검사실 가스량 측정 ⑤산소 섭취량 측정
21. 체온 37℃,대기압, 수증기 포화상태에서 검사되지 않은 것은? 1
①CO2배출량
②3초량
③폐활량
④노력성 폐활량
⑤1초량
22. 안정호기 위치 2.4 L, 안정흡기위치 2.9L, 최대흡기 위치 6.0L 일 따 예비흡기량은?
- 3.1L
23. 최대흡기위치까지 흡식하지 않는 측정 검사는? 5
①노력성 폐활량
②유속유량 곡석
③폐활량
④최대흡기위치
⑤최대 환기량 측정
24. 폐활량 설명 중 틀린 것은? 1
①최대흡량 + 1회환기량 + 예비호기량
②예측식은 성, 연령, 신장 필요
③VC ≥ FVC
④기록지 속도 32mm/분
⑤구속성 환기능령 평가지표
25. 폐기능 검사 설명 중 틀린 것은? 5
①노인 증가
②TLC - VC
③잔기율은 연령 증가에 따라 증가
④FRC= RV + 예비호기량
⑤기능적 잔기량은 선자세보다 앉은 자세로 측정하면 증가
26. 폐기능 검사 결과에 연결이 옳은 것? 3
①정폐탄성 증가 - 폐섬유종
②폐확산능 증가 - 만성 폐기종
③폐쇄용적 증가 - 만성 폐기종
④폐활량 감소 - 늑막 비후증
⑤기도저항증가 - 기관지 천식
27. 노력성 호기곡선에서 구할 수 있는 1초율은? 3
①40% ②50% ③60% ④70% ⑤80%
28. 13.5L 형 호흡계에서 최대 환기량이 32mm 이고 BTPS 계수가 1.102이다. 최대환기량은?
- 80ml/분
29. %VC 90%이상 1초율 50% 이하 일EO
①폐섬유종 ②폐령 ③흉막염 ④만성기관지염 ⑤간질성 육아종
30. 정상인의 폐전체 환기/관류의 비가 적합안 것은
- 0.8
31. 폐확산능검사 설명 틀린 것은? 2
①가스가 폐포에서 폐포모세혈관을 얼마나 용이하게 이동 하는 능력
②폐기종은 DLco 증가한다.
③혼합가스를 한번에 최대흡기위치까지 흡입 시킨 상태에서 10초간 멈춤
④호출초기의 약 750ml 버리고 채취하여 정한다.
⑤호출공기주머니 내의 Co 와 He 농도를 정한다.
32. 면역글로불린E항체에 대한 알레르기 검사는?
①기관지유발검사
②약물알레르기검사
③한냉알레르기검사
④전기안진검사
⑤알레르기피부반응검사
33. 기관지 유발검사에서 기준으로 이용하는 폐기량은? 1
①2초량
②1초량
③3초량
④잔기량
⑤기능적잔기량
34. 기관지 천식을 진단하기 위한 알레르기 검사는? 4
①시표추적 검사
②전기안진검사
③안저기능검사
④운동유발검사
⑤기립경사도검사
35. 알레르기 검사 종류 아닌 것? 4
①기관지우발검사
②약물알레르기검사
③안냉 알레르기 검사
④자발안진검사
⑤알레르기 피부 잔응 검사
36. 알레르기 피부 반응 검사에서 감작된 사람이 생성하는 항체로 비만 세포의 결합된 항체? 4
①IgA ②IgB ③IgD ④IgE ⑤IgF
37. 기관지 과민성을 객관적으로 조사한 기관지 유발검사를 통해 진단 질환?
- 기관지 천식
< 초음파 >
1. 초음파를 이용하는 검사가 아닌 것은? 5
①안저기능검사
②뇌혈관 검사
③골밀도
④심장검사
⑤열화상검사
2. 망막색소 상피 기능 검사는?
- 안구전위도 검사
3. 뇌간청각 유발전위 파형 중 제 8신경이 유래한 파형은? 1
①Ⅰ파형 ②Ⅱ파형 ③Ⅲ파형 ④Ⅳ파형 ⑤Ⅴ파형
4. 미로성 난청 진단을 하기위한 보충 현상을 측정하는 검사? 1
①역치상 검사
②자발안진검사
③주시안진검사
④시표추적검사
⑤온도안진검사
5. 공다공증의 원인이 아닌 것? 1
①심장질환 ②당뇨 ③류마티스 ④카페인 과용 ⑤만성신부전증
6. 앉은 자세로 시력검사, 검사자는 왼쪽눈으로 피검자의 머리부분을 가볍게 고정시켜서 주시할 때 상대적으로 머리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지표를 이용하여 정면 좌우, 상하로 각각 30로 주시하여 안진의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는? 2
①자발안진검사
②주시안진검사
③두의 안진검사
④두의변환 안진검사
⑤온도안진검사
7. 직립검사, 족답검사는 무슨 검사인가? 1
①신체평형검사
②주시안진검사
③두의안진검사
④두의변환 안진검사
⑤자발안진검사
8. 위내시경 검사 틀린 것? 1
①연동운동 촉진제를 투여한다
②검사전 6시간 금식
③위장천공 있을 시 검사하지 않음
④항 혈소판제 복용중지
⑤인두에 국소마취제 사용
9. 비접촉 dudf화상 검사에서 검출하는 전자파는? 1
①적외선 ②자외선 ③X-Ray ④가시광선 ⑤초음파
< 심초음 >
1. 심장초음파 검사 설명 중 옳은 것? 1
①심장 내 압력을 측정헐 수 있다
②침습적인 검사
③검사시 항상 조영제 주입 필요
④심전도, 심음도 기록할 수 없다
⑤심장의 구조적 평가에 유용하지만 기능평가는 부적절하다.
2 초음파 검사 설명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