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개석의 생애
2. 국민정부(국민당)
3. 시대상황
4. 장개석이 패한 이유
5. 맺으며
※참고 문헌
2. 국민정부(국민당)
3. 시대상황
4. 장개석이 패한 이유
5. 맺으며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공산당이 인민들의 생활에 밀접하게 다가가 그들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 있었다는 것과 반대로, 국민당은 자신들의 민주주의적 제도의 결핍과 그것의 개혁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항일전쟁과 국공내전시 줄곧 인민들의 생활을 피폐하게 하였고, 그들의 불만을 가중시켰다는 사실이다. 또한 장개석의 지방 군벌들에 대한 강압적인 태도는 군벌들의 불만을 사게 되었고 결정적으로 여러 군벌들이 그에게 등을 돌리는 원인을 야기 시켰다. 이 책에서는 대표적으로 운남성의 군벌이었던 용운(龍雲)을 그 예로 들고 있다. 역사를 통해서 봤을 때, 어떠한 정권이나 국가도 인민들의 요구를 무시하거나, 그것을 수용할 마땅한 제도가 미비할 경우에는 결국 몰락의 길을 걷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 책 역시 그러한 점들을 부분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결국 장개석의 국민당 정부는 대륙의 모든 정권을 모택동이 이끄는 공산당에 넘겨주고 대만으로 쫓겨나고 만다
5. 맺으며
나는 일전에 '현대중국의 이해' 라는 과목에서 모택동에 대해서 배운적이 있다. 모택동의 개혁사상을 배우면서 장개석에 대해서도 조금 배웠었다. 그러나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장개석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게 되었다. 장개석이란 인물을 나의 작은 식견으로 평가하자면 참 아까운 인물인거 같다. 국민당을 독재보다는 좀더 자유로운 정치를 하고 당 내부를 잘 통합하였다면... 또한 항일 전쟁이라는 극한 주변상황이 아니 였다면 나는 공상당 보다는 국민당이 중국의 정권을 잡았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렇게 되었다면 지금의 중국은 훨씬 더 잘사는 나라, 세계를 이끄는 나라가 되었을 거라고 생각된다. 장개석의 개인적인 욕심과 주변상황이 그를 패배로 이끈 거 같아서 안타깝다. 아무튼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중국의 근대사와 장개석이라는 인물을 좀더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던 거 같다.
참고 문헌
- 小島晉治 외(박원호역), {중국근현대사}, 지식산업사,1991.
- 신승하,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1990.
- 신승하, {중국근대의 서양인식}, 고려원,1985.
- 조병한 편저, {太平天國과 중국의 농민운동}, 인간,1981.
- 周策縱(조병한역), {五四運動}, 광민사, 1980.
- 강준영,전병곤,지세화 {한권으로 이해하는 中國} 지영사, 1997
- 로이드E. 이스트만 저 {蔣介石은 왜 敗하였는가} 지식산업사, 1986
5. 맺으며
나는 일전에 '현대중국의 이해' 라는 과목에서 모택동에 대해서 배운적이 있다. 모택동의 개혁사상을 배우면서 장개석에 대해서도 조금 배웠었다. 그러나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장개석에 대해서 좀더 자세히 알게 되었다. 장개석이란 인물을 나의 작은 식견으로 평가하자면 참 아까운 인물인거 같다. 국민당을 독재보다는 좀더 자유로운 정치를 하고 당 내부를 잘 통합하였다면... 또한 항일 전쟁이라는 극한 주변상황이 아니 였다면 나는 공상당 보다는 국민당이 중국의 정권을 잡았으리라고 생각된다. 그렇게 되었다면 지금의 중국은 훨씬 더 잘사는 나라, 세계를 이끄는 나라가 되었을 거라고 생각된다. 장개석의 개인적인 욕심과 주변상황이 그를 패배로 이끈 거 같아서 안타깝다. 아무튼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중국의 근대사와 장개석이라는 인물을 좀더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서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던 거 같다.
참고 문헌
- 小島晉治 외(박원호역), {중국근현대사}, 지식산업사,1991.
- 신승하,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1990.
- 신승하, {중국근대의 서양인식}, 고려원,1985.
- 조병한 편저, {太平天國과 중국의 농민운동}, 인간,1981.
- 周策縱(조병한역), {五四運動}, 광민사, 1980.
- 강준영,전병곤,지세화 {한권으로 이해하는 中國} 지영사, 1997
- 로이드E. 이스트만 저 {蔣介石은 왜 敗하였는가} 지식산업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