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 제품 유통경로 체계 실태 및 문제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전 제품 유통경로 체계 실태 및 문제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유통경로
1. 유통경로의 정의
2. 유통경로에 의한 이점
3. 전자제품 산업의 유통과정
Ⅱ. 유통채널 별 유통경로
1. 메이커 대리점 - 삼성전자의 디지털 프라자, LG전자의 Best Shop
2. 가전 양판점 - 하이마트
3. 가전 전문 집단상가 – 용산전자상가
Ⅲ. 해외 가전제품 유통사례 - 베스트 바이(Best Buy)
1. 기업 소개
2. 유통과정에서의 차별화 전략
Ⅳ. 현 유통경로의 문제점
1. 유통채널에 따른 제품 질의 차이
2. 진열제품과 재판매 제품
3. 유통경로상의 수평적 갈등
4. 유통경로상의 수직적 갈등
Ⅴ. 해결방안
1. 유통채널에 따른 제품 질의 차이
2. 진열제품과 재판매 제품
3. 본사의 정책

본문내용

스러운 경우가 많다. 다양한 옵션이나 치장 대신, 실용적이고 실속 있는 제품을 원한다면 대형 가전 양 판점이나 대형마트 등을 찾으면 된다. 싸다고 무조건 좋은 건 아니다. 싼 제품을 사고 나서 정작 필요로 했던 기능이 없을 수도 있다.
2) 모델명 정확하게 인지
모델명을 정확하게 아는 것도 중요하다. 모델명에는 해당 제품의 대략적인 정보가 모두 담겨져 있을 뿐만 아니라, 각 매장별로 가격을 비교하는 데도 가장 필수적인 정보다. 모 델명은 아무리 비슷하다 하더라도 한 두 글자에 따라 기능이나 색상이 달라진다. 단순히 '107㎝형 LCD TV'를 찾아 발품을 팔았다간 바가지 쓰기 십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홈 쇼핑 방송 중에는 기본정보인 모델명을 알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제 품 상세 정보를 찾아보는 게 좋다.
3) 패키지 구입을 할 경우 구성제품의 면밀한 비교 필요
혼수용 제품의 경우 조건을 잘 따져봐야 한다. 혼수 가전은 여러 품목을 한꺼번에 구입 하기 때문에 구 모델에서 가격을 더 받고 신 모델에서 할인해 주는 식으로 마진을 남기 는 경우가 적지 않다. 시중 대형마트 관계자는 "모델명이 같더라도 실제로 판매되는 가 격은 기획전이나 특판 같은 행사 때 수시로 바뀔 수 있다"며 "혼수가전 패키지의 경우 인기 품목은 몇 개 없고 재고품이나 비인기품을 끼워 파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잘 살펴 야 한다."고 조언했다.
4) 소비자가 구분하기 쉽도록 표기
제조업체의 경우는 소비자가 모양은 같으나 구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제품명 을 구분하기 쉽게 바꾸거나, 표시하는 제도를 도입해야한다. 유통 채널마다 모양이 같아 도 구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면 각 제품의 장단점을 감안하고 각 유통채널에서 구입할 것 이다. 동일한 제품을 싸게 판다는 거짓된 판매보다 제품 속성을 공개하고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에게 더 진실된 믿음을 보여 줄 것이다.
5) 소매업체의 제품 사양 공시
소매업체의 경우 소비자가 혼동하여 물건을 구매하지 않도록 제품의 사양을 정확하게 공 시해야한다. 소비자는 같은 제품일 것이라고 착각하고 구매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판매점 직원이 적절하게 설명 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2. 진열제품과 재판매 제품
1) 배송 시 제품 박스와 구입제품 모델명 확인
진열제품이나 재판매 되는 제품의 경우 박스를 보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박스를 대표 적으로 하나 두개정도만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박스와 제품이 다른 경우가 많다.
2) 배송 시 박스가 없이 바로 실려 오는 경우
이 경우는 드문 경우이나, 보통 진열 상품이 나가는 경우는 재고가 없다보니 급하게 나 가는 경우이므로 충분히 의심해 보아야 한다.
3) 사용시간 확인 가능한 제품은 직접 확인.
각 서비스 센터 직원에게 문의하여 벽걸이 tv 같은 경우 리모컨의 조작을 통해 사용 시 간을 확인할 수 있다. pc의 경우는 최초 부팅날짜가 나온다. 냉장고의 경우는 사용한 제 품의 경우 보통 냉장실이나 냉동실의 내부 고정 박스가 없을 시에는 의심해보아야 한다.
4) 외관 확인
진열제품의 경우 매일 아침에 오픈 전에 청소를 하기 때문에 외관에 작은 손상이 있다. 그래서 밝은 빛을 비춰보면 확연히 보인다. 재포장 제품도 물건이 손상되어 있지 않은지 구입 후 바로 확인해보아야 한다.
5) 각 제품 인증서
전문직원에게만 검사 받을 수 있는 가전제품 사용시간을 소비자가 물건을 구입할 때 알 려 주거나, 제품 인증서에 사용시간을 알 수 있는 조작법을 공개하여 투명한 제품 판매 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6) 확실한 진열판매, 재판매 금지 관리
진열해놓은 제품은 진열판매전문점과 연계하여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도록 하고, 재판매 하는 불법유통을 강력하게 법적제재를 가하여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3. 본사의 정책
1) 대리점 관리
고객인 대리점들의 요구를 알아내기 위하여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있어야 하며, 본사의 마케팅 정책을 충분히 알려주어 협조를 이끌어 내야 한다. 그리고 대리점 관계 관리 부 서를 별도로 설치하여 대리점의 불평, 불만을 들어 이를 해결하도록 하며, 신제품 개발, 제품 구색, 재고수준, 전시 및 진열, 판매원 훈련, 판촉 및 광고계획 등의 의사결정에 대 리점을 참여시켜 이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야 한다. 또한 대리점 인센티브 제도를 두 어 재고 수준, 매출, 고객서비스 성적에 따라 차별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2) 대리점과 제조업체를 파트너쉽 관계로 관리
(1) 대리점 소리 듣기(Listening)캠페인을 벌여 대리점과의 정기적 접촉을 제도화하여 대 리점의 불만 및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항상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2) 메이커(제조업체)의 동정과 시장 상황 등을 정기적으로 알려주는 뉴스레터(News letter)를 만들어 대리점에 배포하는 방법이다.
(3) 신제품이 나올 경우에는 신제품에 대한 해설, 판매 및 A/S요령 등을 담은 비디오 테 이프를 만들어서 배포하거나 또는 신제품에 대한 교육훈련을 본사의 지원 하에 실시하는 것이다.
(4) 대리점의 실 판매 증대를 지원하기 위하여 상품관리, 경리, 세무, 상권분석에 관한 컨 설팅이나 고객관리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어 제공하거나, 광고 및 판촉지원 그리고 점 포 이미지 관리 등에 대해 자문하는 방법이다.
(5) 대리점관리의 문제, 앞으로의 계획, 심지어는 인간적인 문제까지 같이 고민하고 상담 을 해 줌으로써 공동으로 문제를 해결한다는 인식을 심어주어야 한다.
(6) 공식적으로 대리점 관계 관리 부서를 두어 대리점의 불평, 불만을 듣고 이를 전담하 여 처리하는 제도를 두는 것이다.
※ 참고문헌
-삼성 디지털 프라자 동탄점 031-224-0412
-엘지 베스트샵 상계점 02-939-4444
-용산전자랜드 용산디에스3호점 02-707-4855
-하이마트 http://www.himart.co.kr/index.jsp
-이코노미스트, <하이마트 - 카테고리 킬러 성공 모델>
-<경영사례>, 신화社, <‘베스트 바이’의 경영비결>
-www.SERI.org, <이희준의 유통칼럼>
-시사저널, <‘헌집’ 주고 ‘새집’ 값 받는 노트북>

키워드

가전,   가전제품,   산업,   현황,   유통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11.30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