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과교육과정개정안확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학과교육과정개정안확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 학
2. 수학의 활용
3. 수 학Ⅰ
4. 미적분과 통계 기본
5. 수 학Ⅱ
6. 적분과 통계
7. 기하와 벡터

본문내용

덧셈, 뺄셈, 실수배를 할 수 있다.
벡터의 내적
① 두 벡터의 내적의 뜻을 알고, 이를 구할 수 있다.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
① 좌표공간에서 직선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② 좌표공간에서 평면의 방정식을 구할 수 있다.
<용어와 기호> 벡터, 시점, 종점, 벡터의 크기, 단위벡터, 영벡터, 실수배, 평면벡터, 공간벡터, 위치벡터, 벡터의 성분, 내적, 벡터방정식, 방향벡터, 법선벡터, , , ,
<교수학습 상의 유의점>
① 벡터를 사용하면 좌표공간에서 직선과 평면의 방정식을 간단히 나타낼 수 있음을 알게 한다.
4. 교수학습 방법
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배열 순서가 반드시 교수학습의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므로,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거나 학습 자료를 개발할 때에는 내용의 특성과 난이도, 학교 여건 및 다른 선택과목의 학습 상황 등을 고려하여 내용, 순서 등을 재구성할 수 있다.
나. 수업에서는 교육 내용과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발견 학습, 탐구 학습, 협동 학습, 개별 학습, 설명식 교수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할 수 있다.
다. 수업에서는 각 단원 내용의 특성과 난이도를 고려하여 학생의 수준에 알맞게 재구성하여 지도할 수 있으나, 그 내용이 통합적으로 이해되도록 한다.
라. 수업에서 의미 있는 발문을 하기 위하여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발문은 학생의 인지 발달과 경험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그에 대한 반응을 의미 있게 처리한다.
⑵ 경우에 따라 열린 형태의 발문을 하여 창의적인 답이 나올 수 있게 한다.
마.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의 교수학습에서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생활 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의 여러 가지 현상을 학습 소재로 하여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도입한다.
⑵ 구체적 조작 활동과 탐구 활동을 통하여 학생 스스로 개념, 원리, 법칙을 발견하게 한다.
바. 수학적 사고와 추론 능력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교수학습에서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귀납, 유추 등을 통해 학생 스스로 수학적 사실을 추측하게 하고, 이를 정당화하거나 증명해 보게 할 수 있다.
⑵ 수학적 사실이나 명제를 분석하고, 수학적 관계를 조직하고 종합하며, 학생 자신의 사고 과정을 반성하게 한다.
사.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수학습에서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수학 용어, 기호, 표, 그래프 등의 수학적 표현을 이해하고 정확히 사용하게 한다.
⑵ 수학적 아이디어를 말과 글로 설명하고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다른 사람과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게 한다.
⑶ 수학을 표현하고 토론하면서 자신의 사고를 명확히 하고 반성함으로써 의사소통이 수학을 학습하고 활용하는 데 중요함을 인식하게 한다.
아.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수학습에서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문제해결은 전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지도한다.
⑵ 학생 스스로 문제 상황을 탐색하고 수학적 지식과 사고 방법을 토대로 문제해결 방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게 한다.
⑶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한다.
⑷ 문제해결의 결과뿐만 아니라 문제해결 방법과 과정, 문제를 만들어 보는 활동도 중시한다.
⑸ 생활 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의 여러 가지 현상에서 파악된 문제를 해결하면서 수학적 개념, 원리, 법칙을 탐구하고, 이를 일반화하게 한다.
자.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수학습에서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여러 가지 현상에서 접할 수 있는 수학을 다룸으로써, 수학에 대한 가치를 인식하고 수학의 필요성을 느낄 수 있게 한다.
⑵ 수학에 대한 흥미, 관심, 자신감을 갖도록 학습 동기와 의욕을 유발한다.
차.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육 기자재의 활용은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⑴ 교수학습의 전 과정을 통하여 적절하고 다양한 교육 기자재를 활용하여 수학 학습의 효과를 높인다.
⑵ 계산 능력 배양을 목표로 하지 않는 경우의 복잡한 계산 수행, 수학적 개념원리법칙의 이해, 문제해결력 향상 등을 위하여 계산기, 컴퓨터, 교육용 소프트웨어 등의 공학적 도구와 다양한 교구를 확보하여 활용할 수 있다.
카. 각 학교에서는 학생 개인의 학습 능력과 수준, 적성, 희망 등을 고려하여 수준별 수업을 운영할 수 있다.
5. 평 가
가. 수학 학습의 평가는 학생의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생 개개인의 수학 학습과 전인적인 성장을 돕고 교사의 교수 활동과 수업 방법을 개선하는 데 활용한다.
나. 수학 학습의 평가에서는 학생의 인지 발달 수준을 고려하고,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의 수준과 범위를 준수한다.
다. 수학 학습의 평가는 수업의 전개 과정에 따라 진단 평가, 형성 평가, 총괄 평가 등의 적절한 평가 방식을 택하여 실시하되, 지속적인 평가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업에 활용한다.
라. 수학 학습의 평가에서는 획일적인 방법을 지양하고 지필 평가, 관찰, 면담, 자기 평가 등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통해 수학 교수ㆍ학습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마. 인지적 영역에 대한 평가에서는 학생의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하여 결과뿐만 아니라 과정도 중시하여 평가하되, 수학의 교수학습에서 전반적으로 요구되는 다음 사항을 강조한다.
⑴ 수학의 기본적인 개념, 원리, 법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
⑵ 수학적 표현의 의미를 이해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능력
⑶ 수학적 지식과 기능을 활용하여 타당하게 추론하는 능력
⑷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를 수학적으로 사고하여 해결하는 능력
⑸ 생활 주변 현상, 사회 현상, 자연 현상 등의 여러 가지 현상을 수학적으로 관찰, 분석, 조직하는 능력
⑹ 수학적 사고 과정과 결과를 합리적으로 의사소통하는 능력
바. 정의적 영역에 대한 평가에서는 학생의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신장시키기 위하여 학생의 수학에 대한 바람직한 가치관이나 수학 학습에 대한 관심, 흥미, 자신감 등의 정도를 파악한다.
사. 수학 학습의 평가에서는 평가하는 학습 내용에 따라 학생에게 계산기, 컴퓨터와 같은 공학적 도구와 다양한 교구를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자료

  • 가격12,600
  • 페이지수97페이지
  • 등록일2012.12.0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237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