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다문화교육의 등장
2. 다문화 사회의 도래와 교육적 과제
1) 인구 구성과 교육현장의 변화
2) 교육적과제
3.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쟁점
1)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Banks)
2) 다문화교육의 원리(Bennett)
3)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쟁점 - 보수주의적견해(용광로이론) vs 진보주의적 견해(샐러드이론)
4)다문화교육에 대한 오해
4. 다문화교육의 현황
1)다문화교육 정책과 문제점
2)교육과정 실태
3)교사교육의 실태
5. 다문화교육과 사회과
1) 다문화교육과정의 조직방법 (기여적 접근법, 부가적 접근법, 변혁적 접근법, 사회 행위적 접근법)
2) 사회과 교사의 역할 (Pang)
3) 다문화교육의 내용조직 시 유의할점(Banks)
4) 다문화교육의 과제
2. 다문화 사회의 도래와 교육적 과제
1) 인구 구성과 교육현장의 변화
2) 교육적과제
3.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쟁점
1)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Banks)
2) 다문화교육의 원리(Bennett)
3)다문화 교육과 관련된 쟁점 - 보수주의적견해(용광로이론) vs 진보주의적 견해(샐러드이론)
4)다문화교육에 대한 오해
4. 다문화교육의 현황
1)다문화교육 정책과 문제점
2)교육과정 실태
3)교사교육의 실태
5. 다문화교육과 사회과
1) 다문화교육과정의 조직방법 (기여적 접근법, 부가적 접근법, 변혁적 접근법, 사회 행위적 접근법)
2) 사회과 교사의 역할 (Pang)
3) 다문화교육의 내용조직 시 유의할점(Banks)
4) 다문화교육의 과제
본문내용
12.1.1 다문화사회의 도래와 교육적 과제
< http://www.mest.go.kr/main.do)2012년 3월13일 “보도자료” >
1. 인구 구성과 교육현장의 변화
Why?
1.외국인 근로자 고용 허가제(2004년)
2.중국 동포 대상 방문취업제(2007년)
3.2018년 평창동계 올림픽 유치
<중 략>
12.1.2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쟁점
3.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쟁점
1) 보수주의적 견해 (슐레징어, 블룸)
<용광로 이론>
국민적 일체감 저해
애국심 저해
분열과 분리 조장
주류문화 습득 강조
포섭, 동화의 원리 주장
<샐러드 그릇 이론>
다양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요건
상대적 가치 인정
자문화의 비판적 성찰
다양성에 대처하는
능력은 시민의 자질
사회의 잠재력 향상
다문화교육은
소수 집단만을 위한 교육이다?
다문화교육은 사회를 분열시킨다?
다문화교육은 반한국적인 교육이다?
정부의 사회문화적 소수집단에 대한 대응이 미비했다.
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만 수립되고 시행되고 있다.
주로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책에 국한되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사회 적응 및 동화에 맞추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적합하지 않은 민족적, 문화적
배타성을 가지고 있음
“우리민족은 세계에서 보기 드문 단일 민족
국가로서의 전통을~”
-고1, 국사-
<2007 개정 교육과정>
단일민족주의 관점 지양
다문화, 인권 내용 강화
‘문화적 다양성’, ‘다문화 지역’, ‘다양한 문화’
등의 내용을
사회과 교과서에 포함
<현직 교사의 실정>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부강의 경험 부족
교사연수시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경험 부족
다문화자녀 지도를
위한 준비 부족
<대 안>
*현직교사
교사연수기관에서
다문화 강좌를 개설
*예비교사
-학부강의 수강, 다문화
자녀 학교 교생실습
< http://www.mest.go.kr/main.do)2012년 3월13일 “보도자료” >
1. 인구 구성과 교육현장의 변화
Why?
1.외국인 근로자 고용 허가제(2004년)
2.중국 동포 대상 방문취업제(2007년)
3.2018년 평창동계 올림픽 유치
<중 략>
12.1.2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쟁점
3.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쟁점
1) 보수주의적 견해 (슐레징어, 블룸)
<용광로 이론>
국민적 일체감 저해
애국심 저해
분열과 분리 조장
주류문화 습득 강조
포섭, 동화의 원리 주장
<샐러드 그릇 이론>
다양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요건
상대적 가치 인정
자문화의 비판적 성찰
다양성에 대처하는
능력은 시민의 자질
사회의 잠재력 향상
다문화교육은
소수 집단만을 위한 교육이다?
다문화교육은 사회를 분열시킨다?
다문화교육은 반한국적인 교육이다?
정부의 사회문화적 소수집단에 대한 대응이 미비했다.
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만 수립되고 시행되고 있다.
주로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책에 국한되어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사회 적응 및 동화에 맞추고 있다.
다문화사회에 적합하지 않은 민족적, 문화적
배타성을 가지고 있음
“우리민족은 세계에서 보기 드문 단일 민족
국가로서의 전통을~”
-고1, 국사-
<2007 개정 교육과정>
단일민족주의 관점 지양
다문화, 인권 내용 강화
‘문화적 다양성’, ‘다문화 지역’, ‘다양한 문화’
등의 내용을
사회과 교과서에 포함
<현직 교사의 실정>
다문화교육에 대한
학부강의 경험 부족
교사연수시 다문화교육 관련 강의 경험 부족
다문화자녀 지도를
위한 준비 부족
<대 안>
*현직교사
교사연수기관에서
다문화 강좌를 개설
*예비교사
-학부강의 수강, 다문화
자녀 학교 교생실습
키워드
추천자료
영남대 인강(다문화교육과정책의이해)
다문화교육 관련 법령의 쟁점과 법령 개선을 위한 향후 과제
마티유 카소비츠의 영화 ‘증오’와 고등학교 고학년에서의 다문화교육
[영남대] 다문화교육과정책의이해 타이핑
다문화교육
다문화교육
한국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교육학개론] 다문화교육 정책 대상별 사례정리
(A+)다문화가정의 위기사례(다문화가정,국제결혼,다문화가정자녀교육,이주노동자문제,새터민...
다문화가정지원사업 - 청주시 다문화가족 지원센터, 다문화가정교육지원센터, 새날학교 PPT자료
2015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편견을 바꾸기 위한 아이디어)
다문화교육론 교재를 참고하여 ‘다문화주의적 준거’를 기반으로, 주변의 교육 프로그램이나 ...
2016년 1학기 다문화교육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 세가지)
[다문화교육론]다음에 제시된 도서 가운데 한권을 읽고 다음에 답하시오.-소수자와 한국사회
소개글